한국 EFL 학습자의 경동사구문 사용 특성: 산출적 지식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FL learners when using light verb constructions through computative devices, and to seek measures to utilize the findings in an educational way by analyzing the errors as a r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FL learners when using light verb constructions through computative devices, and to seek measures to utilize the findings in an educational way by analyzing the errors as a result of that computation. To measure the ability to produce LVC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68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a test was given that could measure the students’ ability to use LVCs. The data gathered through this test was graded under verification of a native speaker and test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core of the test. The data needed for analyzing results were processed by SPS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as statistic measures.
The test result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the below conclusion was drawn. Firstly, using the test scores as a standard, Korean EFL learners are most fluent in using light verb take and make, although the ability to use light verbs is wanting compared to using receptive knowledge. Secondly, to EFL learners, the usage of grammatical knowledge of light verb constructions exists. Also, it was seen through the analysis of ungrammatical LVCs, that the combination of light verbs and eventive nouns was the biggest obstacle in using LVCs. Thirdly, when observing the ability to use light verbs and errors according to each four light verbs(have, take, make, do), errors were most prevalent with the usage of the combination of light verb make and the eventive noun, and the grammatical ability of using light verb do was the most limited. Also, the comprehensive ability of Korean EFL learners to detect contextual difference of LVCs wa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ly, regar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reaffirms that the learning of syntactic and grammatical fields takes place first, and the learning of semantic fields is more difficult than the syntactic and grammatical field. This was confirmed through the findings that semantic errors occurred two times more than grammatical errors, and the grammatical ability to use light verb do, whose test score is the lowest, was the most wanting. Secondly, interest is raised on how semantic properties of light verb make are built in the interlanguage of EFL learners. Korean EFL learners showed most sound grammatical abilities to use light verb make, whereas they made the most errors in the combination with eventive nouns. Succeeding research will be needed to determine how students with comparatively high English abilities learn the meaning and usage of light verb make.
Thirdly, light is shed on the teaching elements of LVCs that should be emphasized. The necessity to compare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when instructing light verbs which have similar properties when teaching semantic properties of LVCs is brought up, and the explicit teaching of restrictions in eventive nouns as per semantic properties of light verbs is underlined. Also, for practical usage of LVCs, it seems there is a need for explicit teaching on using articles, which do not exi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a chance to practice various articles and adjectives.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경동사구문 사용 특성산출적인 측면에서 확인하고 산출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여 경동사구문에 대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경동사구문 사용 특성을 산출적인 측면에서 확인하고 산출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여 경동사구문에 대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경동사구문 산출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 대학생 6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동사구문 사용능력을 측정해 줄 평가지를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원어민의 확인을 거쳐 채점하였고 피험자들의 평가지 점수를 바탕으로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에 필요한 통계치는 모두 SPSS를 통해 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EFL 학습자들은 경동사 take와 make를 산출적으로 가장 잘 사용하며, 경동사구문을 산출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 수용적 능력에 비해 부족하다. 둘째, 한국 EFL 학습자에게 경동사구문 문법적 사용능력이 산출적인 측면에서도 존재한다. 비문법적인 경동사구문의 경우,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은 경동사와 행위명사의 문법적 조합이다. 셋째, 경동사 make 사용 시 적절한 행위명사와의 조합에 오류가 가장 많으며, 경동사 do는 문법적인 사용능력이 가장 낮다. 또한 한국인 EFL 학습자는 문맥상 미세한 의미 차이가 있는 경동사를 서로 혼동하여 사용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제2언어 발달과 관련하여 통사, 문법적 영역의 습득이 먼저 일어나며, 의미 영역 습득이 통사, 문법적 영역보다 더 어렵다는 기존의 믿음을 재확인한다. 이는 의미 차이 오류가 문법적 오류보다 2배 이상 많이 발생한 점과 전반적 사용능력이 가장 부족한 경동사 do의 문법적 사용능력이 가장 낮았음을 근거로 한다. 둘째, EFL 학습자의 중간 언어에서 경동사 make의 의미 체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한국 EFL 학습자는 경동사 make에 대한 가장 높은 문법적 사용능력을 보여준 반면, 행위명사의 조합에서는 가장 많은 오류를 만들어냈다. 또한 모국어가 다른 EFL 학습자들도 경동사 make의 단어 조합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근거로 하여 영어 학습자들이 경동사 make의 의미를 어떠한 양상으로 배우고 사용하는가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강조되어야 할 경동사구문 교수 요소에 대해 조명한다. 경동사의 의미 특성에 의해 제한되는 행위명사를 명시적으로 가르치고, 특히 유사한 점이 많은 경동사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며 교수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경동사구문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관사 사용에 대한 명시적 교수와 함께 다양한 관사 및 형용사 사용을 연습할 기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