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을 위해 2012년 고시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도입 배경과 내용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논의점을 찾아보았다. 또 2013년부터 2014년까지 2년 동안 한국어(KSL) 교...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을 위해 2012년 고시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도입 배경과 내용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논의점을 찾아보았다. 또 2013년부터 2014년까지 2년 동안 한국어(KSL) 교육과정을 시범운영하였던 한국어(KSL) 교육과정 정책연구학교와 인천광역시교육청지정 다문화교육 벨트형 중점학교, 글로벌 거점학교 그리고 탈북학생교육 정책추진 학교의 한국어(KSL) 교육과정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검토한 후 일선 학교 교사들의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와 향후 적용 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해 봄으로써 앞으로 한국어(KSL) 교육과정이 일선 학교에 정착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몇 가지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한국어(KSL)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를 위해 인천지역의 한국어(KSL) 교육과정 정책연구학교 및 다문화 교육 중심학교들의 운영보고서와 홈페이지 탑재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담당교원들을 만나 면담하는 방법으로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런데 인천한누리학교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교에는 국제결혼 국내출생 다문화 학생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한국어 집중교육이 필요한 중도입국 학생과 외국인 가정 자녀들은 학교별로 산재해 분포하였다. 따라서 일선 학교에서는 주로 벨트형 중심학교 체제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지도는 주로 일선 교사들이나 교육청에서 배정한 이중 언어 강사 또는 학교가 자체적으로 고용한 한국어 강사들이 맡고 있었다.
또 일선 학교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과,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향후 운영 방안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을 받아 통계를 내고 유의미한 자료를 산출하였다. 교사들은 대부분 다문화 학생들에 대해 친화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으나, 학생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낮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과정 홍보 및 연수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마지막 5장에서는 앞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이 일선 학교에 정착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였는데, 먼저 학습대상자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는 탈북 학생을 포함한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 미국의 ESL 사례처럼 의무적으로 한국어 능력 진단평가를 받게 하고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 ‘한국어 학습자’를 구분해 내도록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며 객관적인 한국어 능력 진단평가 시스템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한다. 또. 누가 가르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교과 전문성과 학생 생활지도 능력을 갖춘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 연수과정을 개설하고 한국어 교사 자격증을 추가로 취득하게 하는 시스템을 교육부 차원에서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운영 사례에서 보았듯이 한국어 교육이 시급한 중도입국 학생이나 외국인 가정 자녀의 경우 소수가 여러 학교에 산재하여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운영 방안 면에서 추후 일선 학교에 모두 한국어 교실을 설치하기 보다는 지금처럼 예비학교나 벨트형 중심학교 체제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troduction background and the contents of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which was notified in 2012 for the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tried to seek a discussion according to this. Also, it f...
This study examined the introduction background and the contents of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which was notified in 2012 for the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tried to seek a discussion according to this. Also, it figured out the cases of operating KSL curriculum program for the Policy Research School of KSL curriculum, which had demonstrated KSL curriculum for 2 years from 2013 to 2014, for the multi-cultural belt-type core school designated by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for the global stronghold school, and for the policy driving school with the education of North Korean students, and then surveyed the first-line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KSL curriculum and opinion about future application plan, thereby having suggested a few operation methods for which KSL curriculum is settled in a first-line school and operated efficiently in the future.
For one thing, for a research on a case of operating KSL curriculum, it collected and analyzed the operation s and the materials loaded on homepage of the policy research school for KSL curriculum and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re schools in Incheon area, and surveyed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oblems of operating curriculum with a method of having an interview by meeting teachers in charge. By the way, most schools excluding Incheon Hannuri School had the mainstream as the multi-cultural students who were born at home with international marriage.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country halfway, and the children from foreign families were scattered and distributed by school. Accordingly, a first-line school was carrying out KSL education mainly with a belt-type core school system. Instruction was undertaken primarily by first-line teachers, bilingual lecturers, who were assign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or the KSL instructors whom it employed itself.
Also, in order to look for the first-line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recognition, understanding about KSL curriculum, and an opinion about an operation method henceforth, the significant data were calculated following the statistics by receiving questionnaires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s had the friendly propensity mostly on multi-cultural students, but had very low understanding about KSL education that is helpful substantially for students, thereby having been judged to be imminent in publicizing and training KSL curriculum targeting teachers.
Finally, Chapter 5 was made a few suggestions so that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can be settled in a first-line school and to be operated efficiently down the road. In terms of a problem about the learning subjects for one thing, it made a proposal of urging the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of including North Korean students to obligatorily receive the KSL Skill Diagnostic Assessment like a case of ESL in America and made it distinguish 'Korean language learner' who requires KSL education. To do this, a more systematic and objective system of the KSL Skill Diagnostic Assessment needs to be developed and supplied. Also, as for a problem about who will teach, there will be a need to institutionalize a system, which opens KSL training course targeting in-service teachers, who have having curricular professionalism and a student life guidance skill, and which makes them additionally acquire KSL teacher license, in the dimens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Finally, as having seen in the operation cases, a minority of students are scattered in many schools in case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country half-way and of the children from foreign families who are imminent in KSL education. Thus, it will be desirable to operate with a system of a preparatory school or a belt-type core school like now rather than installing KSL classroom in all the first-line schools after this in the aspect of the efficient KSL-education operation method.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