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동사를 상적 특성에 따라 어휘상을 분류한 후, 분류된 동사 부류와 통사적 구성 형식의 상 실현 양상을 비교 및 대조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의 실현이 ... 본 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동사를 상적 특성에 따라 어휘상을 분류한 후, 분류된 동사 부류와 통사적 구성 형식의 상 실현 양상을 비교 및 대조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의 실현이 문법상 범주, 어휘상 범주, 상의 표지 문제 등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상을 대조,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문법상의 범주에 이견이 많고 상 표지로 발달해 가는 과정의 과도기적 특성으로 인해 이들의 범주적 지위를 확정하기는 더욱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 고는 어휘상과 통사적 구성 형식을 기저로 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상의 실현 양상을 대조 분석하였다. 2장에서 서구의 상이 한국어와 중국어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러한 영향으로 두 언의의 상이 각기 어떤 방향으로 발전하였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휘상 유형분석과 이들 어휘상과 결합하게 될 통사적 구성 형식의 상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어휘상에 따라 통사적 구성 형식의 상이 실현되는 구체적 양상을 살펴 보았다. 이러한 실현 양상 분석은 결합하는 동사에 따라 통사적 구성 형식의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 수 있다. 5장에서는 어휘상에 따라 상이 달라지는 양상을 표로 정리하고, 한국어 교육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고의 어휘상과 통사적 구성 형식의 실제적 실현 양상의 분석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상과 시제의 혼동에서 오는 오류를 줄이고 그 차이를 이론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