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가족건강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D시와 G시에 거주하며 사회복지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결혼이...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가족건강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D시와 G시에 거주하며 사회복지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으로, 2016년 3월 29일부터 4월 16일까지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방법은 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캄보디아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총 1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1.5세이며, 배우자와의 나이차는 16-20살이 가장 많았다. 출신국은 베트남이 가장 많았고 학력은 고등학교가 가장 많았다. 혼인지속기간은 3년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경제수준은 ‘괜찮음’으로 인식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는 22.85명으로, 혈연집단이 9.07명, 지연집단이 13.79명이었다. 주요 관계망의 유형을 살펴보면 남편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관계망 유형에 따른 친숙도는 자녀가 가장 높았고, 한국의 친척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의할 점으로는 주요 관계망의 유형에서 남편을 가장 많이 선택했으나 친숙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 배우자의 연령, 배우자와의 연령차이, 가족형태, 혼인지속기간, 출신국, 학력, 한국어수준, 경제수준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삶의 질을 살펴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은 평균 3.81이며, 삶의 질은 평균 3.56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가족건강성과 삶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삶의 질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의 경우 크기가 아니라 유형에 따라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삶의 질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사회에 건강하게 통합되려면 1차적 관계망인 다문화 가족의 가족건강성이 높아야 구성원들이 사회에 원만히 적응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족건강성의 하위 요인 중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의사소통과 가족원과의 유대가 나타났으므로 결혼이주여성을 지원할 정책을 마련할 때 이 점을 중점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특히 가족 내 한국어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서적 차이를 고려한 합의가 필요하며 가족 내 통합을 이끌 수 있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The main concerns of this study are to confirm the affe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support network and affect of family health to quality of life. Data collecting period of this study is started from 29th of march to 16th of april in 2016. T... The main concerns of this study are to confirm the affe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support network and affect of family health to quality of life. Data collecting period of this study is started from 29th of march to 16th of april in 2016.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lived in D and G and the subject, marriage migrant women, who receive benefit from social welfare center. I studied by a personal visi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ranslated questionnaire in korean, chinese, vietnamese, filipino, cambodian. I made an analysis of one hundred sixty three person's data. The average age of this study's subjects are 31.5 years old and marriage duration is most common lower than 3 years and the common age difference between couples is 16 to 20 and they realized their economic level as normal. Collected data calculat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accomplised by standard deviation.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 the number of social support network is 22.85 persons and the social support network is divided into 9.07 persons of kin-group and 13.79 persons of local group. The main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are husband. As follows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the familiarity are highest with children and familiarity with relative are lowest. It is a point that they choose their husband as main social support network but familiarity with their husband are lower than the others. Second, as follow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network when we compare the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group and they showed the difference in age, spouse age, age difference with spouse, family type, duration of marriage, country of origin, academic ability, korean ability, economic level. But examine quality of life and family health with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s no meaningful difference. Third, family health of marriage migrant women scores are 3.81 and quality of life's average is 3.56. Correlation result shows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liarity and quality of life. Fourth, there's no relation between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quality of life. In case of social support network we don't need to consider the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but need to analysis the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As a rusult of this study that there's no relation between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quality of life. To be incorporated in korean culture, they need high family health as primary social network to adapted korean culture comfortably. Among the sub factor of family health communication and bond between family are the factor that gives much affect to quality of life. When government prepare policy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ey have to consider about this point. Specially, not only communication with family in korean language but also need cultural, emotional agreement and need to make a program that we can lead out integration between family.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