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main purposes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s of Korean syllable final consonant by Japanese learner. In the aspect of syllable structure, unlike Korean language having closed syllable(CVC), Japanese language has open syllable th...

The main purposes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s of Korean syllable final consonant by Japanese learner.
In the aspect of syllable structure, unlike Korean language having closed syllable(CVC), Japanese language has open syllable that has no coda. However, in some cases, the coda in Japanese language can be realized as special phoneme that is the ‘mora nasal /N/’ and the ‘mora obstruent /Q/’ with the sound of a following onset. This feature was used as a teaching plan of Korean codas pronunciation for Japanese learners. In other words, realization of [m, n, ŋ, p, t, k], which can be pronounced from Japanese special phoneme, could be helpful for pronouncing Korean codas [m, n, ŋ, p, t, k].
However, a single segment can be influenced by following adjacent element, moreover every language have different phenomenon with consonant clusters. Coda in Japanese are realized as place assimilated sound of following onset. On the other hand, coda in Korean are realized as their exact phonetic values except for specific phonological phenomenon in some case of consonant clusters. Also in Korean both manner of articulation assimilation and articulation place assimilation can appear, while in Japanese only articulation place assimilation can appear. If we ignore thi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teach Korean codas base only on presence of individual phones, learners will be in confus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undamental cause of aspect of realizing Korean final consonants [m, n, ŋ, p, t, k] through experiment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nalyzing result is focused on not only simple confirmation for possibilities of realization of individual phone, but also how Japanese learners realize codas by cluster patterns of phone. Also I wanted to compare phonological phenomenons during codas realization to find the correlation through them, and analyzing them synthetically.
Finally, I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coda pronunciation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experiments.

연구일본학습자가 자음 연쇄 내의 한국어 종성을 발음할 때 나타나는 양상과 그에 따른 원인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음절 구조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는 종성의 실현이 ...

연구일본학습자가 자음 연쇄 내의 한국어 종성을 발음할 때 나타나는 양상과 그에 따른 원인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음절 구조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는 종성의 실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지만 일본어는 기본적으로 음절 내의 종성 분포를 허용하지 않는다. 다만 일부의 경우 일본어에서도 특수음소인 ‘발음 /N/’과 ‘촉음 /Q/’를 통해 종성이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한국어 발음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발음 /N/’과 ‘촉음 /Q/’의 존재를 근거로 일본인 학습자들을 위한 종성 발음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해당 음의 음성적 속성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 음소의 유무만으로 발음 교육을 할 경우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실험을 통해 한국어의 자음 연쇄에서 나타나는 종성 [m], [n], [ŋ], [p], [t], [k]가 일본인 학습자에 의해 실현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본어의 음소 목록에 부재하는 각각의 종성들이 인접한 자음의 음성적 속성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종성이 후행하는 자음의 조음 위치 및 조음 방식에 따라 각각 다르게 실현되며 일본어에 없는 종성이라도 자음 연쇄 속에서 후행 자음이 가지는 조음 위치 및 조음 방식의 영향을 받아 실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