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내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교재 개발에 기반이 되는 기초 연구로 태국 내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대화문의 적절성을 분석하...

본 연구는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교재 개발에 기반이 되는 기초 연구로 태국 내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대화문의 적절성을 분석하고 적절한 대화문 제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를 학습하려는 자기주도적 태국인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분명한 동기가 있으며, 학습 동기에 맞는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교재가 필요하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대화문을 통해 한국어 의사소통을 학습한다. 그러나 태국 내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대화문에는 많은 오류가 있으며, 자기주도학습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대화문의 적절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본 연구의 대상 및 절차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초점화 하고 있는 자기주도학습에 대하여 살펴보고, 실제 대화에서 유창하고 자연스러운 발화를 위해 적용해야 할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한 이론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대화문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절성의 개념을 설정하고, 그 구성 요소를 문법 사용 적절성, 상황과 문맥 상 어휘 사용의 적절성, 실제 생활에서의 사용 적절성, 대화 상황에 따른 표현의 적절성, 교육적 차원에서의 적절성 등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대화문의 적절성을 분석하는 데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에 앞서 3장에서는 태국에서의 한국어교육 및 교재의 현황을 먼저 살펴보았다. 태국 내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현재의 현황, 그리고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학습 교재와 자기주도학습용으로 태국 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어 학습 교재의 현황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는 태국 대학에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와 공개하지 않는 자체 제작 교재를 사용하고 있고 태국 내 현재 판매되고 있는 자기주도학습용 교재는 106권이다. 4장에서는 태국에서 사용되는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교재에 실린 대화문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분석 대상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고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30개의 대화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화문은 앞서 설정한 5가지 적절성 요소인 문법 사용의 적절성, 상황과 문맥 상 어휘 사용의 적절성, 실제 생활에서의 사용 적절성, 대화 상황에 따른 표현의 적절성, 교육적 차원에서의 적절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어교육 또는 국어교육 전공자를 대상으로 적절성 검증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검증 결과를 통해 대화문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대화문의 적절성을 분석한 결과는 태국 내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적절하지 않은 대화문은 주로 문법적 또는 어휘적 사용의 문제로 나왔으며 이는 대부분 번역 간섭과 어휘의 어감도 및 뉘앙스의 차이로 인하여 일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학습 교재에 적절한 대화문 제시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alogue in Self-directed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 and to suggest the ways to present appropriate dialogues as the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Korean l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alogue in Self-directed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 and to suggest the ways to present appropriate dialogues as the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s. Thai self-directed learners who would like to study the Korean language have unequivocal motive and what they need is self-directed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 Thai Students study how to communicate in Korean using the dialogues in the material. Despite, there are many errors in the dialogue and it is not suitable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appropriateness of dialogue in various aspects. Chapter Ⅰ described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examined the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the study. Chapter Ⅱ examined the self-directed learning which is the character of the material, a subject for the analysis, and examined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theory which is which needed to apply in order speak fluently and naturally in the real conversation. This chapter also examined the definition of appropriateness, the appropriateness components are grammatical appropriateness, vocabulary appropriatenes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ppropriate use in real conversation, appropriateness in the context, appropriateness for education. These five components are the criteria for the appropriateness of dialogue analysis. Chapter Ⅲ examined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and in Thailand and also shows Korean language materials used in Thai institute and self-directed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s in Thailand. Chapter Ⅳ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dialogue in Thai self-directed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s. The subject for analysis selection is done before the analysis. This chapter analyzes the appropriation of dialogue together with the result of appropriateness verification which is done by participants majored in Korean education on 30 selected dialogues. Chapter Ⅴ summarizes the discussed contents, and also organized the appropriateness verification result, including the suggestion for presenting appropriate dialogue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