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중 인식 양태 표현 비교를 통해서 한·중 인식 양태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 사람들이나 중국어를 공부하는 한국 사람들에게 두 언어 간... 본 연구는 한·중 인식 양태 표현 비교를 통해서 한·중 인식 양태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 사람들이나 중국어를 공부하는 한국 사람들에게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했다. 1장은 서론이다.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 문제 및 제한점에 관해서 논의하였다. 2장은 한·중 인식 양태의 의미 영역과 체계에 대한 내용이다. 양태의 정의는 명제에 대하여 화자가 가지는 주관적인 심리 태도로 규정하고 양태의 의미 영역은 인식 양태와 행위 양태로 나누었다. 인식 양태는 화자가 자기의 지식이나 믿음을 통해서 명제의 확실성에 대해 판단하는 것이다. 인식 양태의 의미 영역을 판단 양태, 가정 양태, 앎 양태와 증거 양태로 나누었다. 3장에서는 어휘적 또는 문법적 표현 방법 측면에서 한·중 인식 양태 표현 방법을 논의하였다. 한국어 인식 양태의 어휘적 표현 방법으로는 양태 부사 ‘가령’, ‘과연’, ‘분명히’, ‘설령’, ‘아마’, ‘아무래도’, ‘어쩌면’, ‘정녕’, ‘정말’, ‘필경’, ‘혹시’, ‘행여’가 있다. 한국어에서 문법적 양태 표현 방법으로는 선어말 어미 ‘-겠-’과 ‘-더-’가 있고, 종결 어미 ‘-지’, ‘-네’와 ‘-구나’가 있고, 보문 구성 ‘-ㄹ 것이다’, ‘-ㄴ/는/ㄹ 모양이다’, ‘-ㄴ/는/ㄹ 것 같다’, ‘-ㄴ/는/ㄹ 듯하다’, ‘-ㄴ/는/ㄹ 듯싶다’, ‘-ㄹ 수 있다’, ‘-는 법이다’, ‘-ㄹ 법하다’, ‘-ㄹ지 모르다’와 ‘-나/는 가 보다’ 등이 있다. 중국어 인식 양태의 어휘적 표현 방법으로는 정태부사 ‘必然’, ‘勢必’, ‘一定’, ‘一準’, ‘準保’, ‘定然’, ‘絶對’, ‘看來’, ‘想必’, ‘明顯’, ‘顯然’, ‘難免’, ‘恐怕’, ‘大槪’, ‘多半’, ‘未必’, ‘好象’, ‘似乎’, ‘或許’, ‘也許’, ‘興許’, ‘如果’, ‘假如’, ‘萬一’, ‘難怪’, ‘怪不得’이 있다. 중국어 문법적 표현 방법으로는 어기조사 ‘吧’가 있고, 정태동사 ‘能’, ‘會,’, ‘要’, ‘得2’, ‘可能’이 있고, 가능보어 ‘V得/不C’와 ‘V得/不了’가 있고, 관용적 표현 ‘看起來’, ‘看上去’, ‘看樣子’가 있다. 4장은 한·중 인식 양태 표현의 비교이다. 인식 양태의 의미 영역(즉, 판단 양태, 가정 양태, 앎 양태, 증거 양태)에서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중 표현을 어휘적 표현과 문법적 표현으로 나누고 비교하였다. 어휘적 측면에서는 한국어 양태 부사와 중국어 정태부사를 비교하였다. 문법적 측면에서는 한국어 종결 어미와 중국어 어기조사를 비교하고,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보문 구성과 중국어 정태동사·가능보어·관용적 표현을 비교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