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Alzheimer's Type, 이하 DAT) 및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 환자의 일상적인 언어능력을 평가하는데 자발화 분석이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
알츠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Alzheimer's Type, 이하 DAT) 및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 환자의 일상적인 언어능력을 평가하는데 자발화 분석이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자발화 분석 시 다양한 분석 척도를 사용하였지만 각 분석 척도의 유용성을 제시하였을 뿐, 어떤 척도가 MCI와 DAT 집단의 언어 능력을 잘 반영하는지에 대한 비교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그림설명 과제를 통한 자발화를 기존 연구에서 사용빈도가 높았던 네 가지 분석 척도를 사용하여 일반 고령자, MCI, 경도 DAT 환자 집단 간의 수행 차이를 분석하고, 각 집단을 변별하는데 민감도와 특이도의 측면에서 가장 유용한 분석 척도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일반 고령자 30명, MCI 환자 30명, 경도 DAT 환자 30명씩 총 90명이었다. 모든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언어 능력의 차이를 고려하여 세 집단 모두 성비를 동일하게 하였다(남성 15명, 여성 15명). 연구 과제로는 보스턴 실어증 검사(Boston Diagnostic Aphasia Examination: BDAE) 항목에 포함된 Boston Cookie-Theft picture를 사용하였고, 분석 척도로는 CIU(Correct Information Unit, 이하 CIU) 어절 비율, CIU 낱말 비율, 주요개념 그리고 발화당 내용어수를 사용하였다.
그림설명 과제를 통한 자발화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 고령자 집단이 MCI 집단에 비해 발화당 내용어수 분석 척도에서만 유의하게 수행이 높았고, MCI 집단은 경도 DAT 집단에 비해 CIU 어절 비율에서만 유의하게 수행이 높았다. 반면에 일반 고령자 집단은 경도 DAT 집단에 비해 네 가지 분석 척도 모두 유의하게 수행이 높았다. 다음으로 ROC 곡선을 사용하여 일반 고령자와 MCI, 경도 DAT 집단 간에 민감도와 특이도 측면에서 변별도가 높은 분석 척도를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발화 분석 척도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ROC 분석 결과, 세 집단의 언어 능력을 반영하는 분석 척도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당 내용어수 분석은 민감도와 특이도 측면에서 일반 고령자와 MCI 환자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별해 낼 수 있는 유용한 척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MCI와 경도 DAT 환자의 경우에는 CIU 어절 비율이 이들을 변별해 낼 수 있는 유용한 척도로 분석되었다. 일반 고령자와 경도 DAT 환자의 경우에는 네 가지 자발화 분석 척도 모두 민감도와 특이도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변별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설명 과제 수행 시 네 가지 분석 척도를 통해 일반 고령자와 MCI, 경도 DAT 집단 간의 언어적 수행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과 둘째, DAT의 진행 과정에 따라 적절한 자발화 분석 척도가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임상적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