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 ‘어디’를 중심으로 한 한국어 담화표지 교육에 대한 연구 : 중국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문 초록 이 연구중국대학한국어학학생들이 효과적으로 담화표지 ‘뭐’와 ‘어디’를 학습할 수 있도록 설문조사를 통해서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맞추는 담화표지 교수...

국문 초록 이 연구중국대학한국어학학생들이 효과적으로 담화표지 ‘뭐’와 ‘어디’를 학습할 수 있도록 설문조사를 통해서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맞추는 담화표지 교수 방안을 제시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하고 한국어 담화표지 ‘뭐’와 중국어 담화표지 ‘什么’에 관한 연구와 한국어 담화표지 ‘어디’와 중국어 담화표지 ‘哪里’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분석 대상과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어휘론과 화용론 2가지 측면에서 한국어 담화표지 ‘뭐’, ‘어디’와 중국어 담화표지 ‘什么’, ‘哪里’를 대조하고 검토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담화표지 ‘뭐’, ‘어디’와 중국어 담화표지 ‘什么’, ‘哪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한국어 담화표지 ‘뭐’와 중국어 ‘什么’ 기능 비교를 통해서 한국어 담화표지 ‘뭐’의 이해 불가한 상황에 대한 의문 태도 표출 기능, 불확실성/비단정적 태도 표출 표시 기능, 평가절하의 태도 표출 기능, 무관심이나 비관여적 태도 표출 기능, 상대에 대한 도전적 태도 기능, 회의적 태도 표시 기능 등 6가지 기능은 중국어 담화표지 ‘什么’가 가지지 않다. 중국어 담화표지 ‘什么’의 멸시한 태도 표출 기능은 한국어 담화표지 ‘뭐’가 가지지 않다. 또한 한국어 담화표지 ‘어디’의 확인 욕구 표시 기능과 불신/의심의 태도 표출 기능은 중국어 담화표지 ‘哪里’가 가지지 않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정리한 내용을 이용해서 설문지를 작성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3가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번역할 때 담화표지를 회피하여 사전적 의미로 번역하거나 직접적으로 생략한 경우가 있다. 두 번째는 한·중 번역할 때 화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모국어 간섭하기 때문에 한국어 문장을 번역할 때 화자의 의도를 전체적으로 잘못 이해하거나 불완전이나 과도 이해한 경우가 있다. 세 번째는 중·한 번역할 때 담화표지를 사용해야 한 의식이 있지만 화자의 의도를 한국어로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국대학교 한국어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교수 방안을 개발하였다. TTT, PPP, III, ESA 이 4가지 교수 모형의 비교한 후에 ESA 교수 모형의 패치워크 유형은 이 연구의 교수 방안의 기준 모형으로 선정한다. ESA 교수 모형의 패치워크 유형을 적용하는 교수 절차는 ‘몰입-활성화-학습’ 이 3단계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수업 성역에 따라 다양한 창의적인 활동이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맥락은 담화표지 교육 한 중요한 요소를 고려하는데 학습자가 쉽게 학습하기 위해서 담화표지에 대한 이해력 향상시킨 교수 방안을 개발할 때 주제의 일관성과 계속성을 유지하는 줄거리 제시형으로 전개한다. 또한 담화표지에 대한 표현력 향상시킨 교수 방안은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발표한 방식으로 전개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이 연구의 내용을 결론으로 정리하며, 의의와 한계점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는 결과물 분석을 통해 중국대학교 한국어학과의 담화표지 교육 현황을 알아보며, 중국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생의 문제점에 맞추는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request speech act for the student who learn Korean in Chinese university. The current research work concerns the necessity of teaching Korean discourse markers to Korean language leaner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request speech act for the student who learn Korean in Chinese university. The current research work concerns the necessity of teaching Korean discourse markers to Korean language leaners. Special attention is placed on functions and usages of such discourse marker as 'what' and 'where'. Although there are some thing in common between Chinese discourse markers and Korean discourse markers, the meaning used is often different. Pl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se discourse markers are necessary. For this purpose, the frist chapter disco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nvestigate the existing studie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Korean discourse markers and Chinese discourse markers. The second chapter show the common and different between the Chinese discourse markers and the Korean discourse markers. According to the summary of the second chapter to design a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 who learn Korean language in Chinese university. And after one month, capture the data and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 show there are three questions in it. Frist is when the student make Korean translated into Chinese, they often leave the discourse makers out or just to translated the dictionary definition. Second is when the student make Korean translated into Chinese, they can not get what the speaker wanted to express precisely. Third is when the student make Chinese translated into Korean, they can not express by a complete sentence. To solve these problems, at the forth chapter found that ESA teaching procedure model is the most fitting teaching procedure model by comparing between TTT teaching procedure model, PPP teaching procedure model, III teaching procedure model and ESA teaching procedure model. ESA teaching procedure model is such adjustable because i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ir nee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lso it is more effective comparison by other teaching procedure models because it calls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ll class members to communicate. As a conclusion, the last chapter restates and summarizes briefly main point as well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for this study to suggest a new teaching plan based on ESA teaching procedure model for the student learn Korean in Chinese university. And it is expected that will be done more vigorously in future.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