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四字成語) 습득 양상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가 사자성어 습득에 주목한 이유는 한·중 사자성어에 관한 연구가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조, 분석이나 사자성어 교육 방안에 중심에 두고 있는 사자성어 습득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I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한·중 사자성어를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II장에서는 우선 사자성어의 정의와 범위를 정하였다. 다음으로 사자성어의 분류 기준을 검토해서 사자성어의 형태와 의미를 분류 기중으로 정하였다. 그렇게 분류한 사자성어 유형은 네 가지로, 동형동의, 동형이의, 이형동의, 이형이의 사자성어다. 그리고 사자성어의 결합 양상에 따라 고유어 접사(하다, 되다), 한자 접사(적, 식, 격), 조사(의, (으)로, 에, 이/가, 을/를, 은/는, Ø) 등과 결합하는 사자성어가 있다. III장에서는 사자성어 유형을 바탕으로 실험 문항을 구성하여, 중국어권 학습자 4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중 중국어권 학습자는 숙달도 변인을 살피기 위해 숙달도 검사를 실시하여 상집단 22명, 하집단 22명으로 나누었다. 실험에는 총 24개의 사자성어를 사용하였다. 실험 문항은 사자성어의 이해와 사자성어의 사용을 2부분으로 나눠서 각 24 문항씩이다. IV장에서는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 1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이해는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응과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연구 문제 2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사용은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응과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연구 문제 1에 대하여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응과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이해에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 또한 개별 사자성어의 정답률을 통하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한자음을 참조해서 주어진 한국어 사자성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사자성어를 선택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연구 문제 2에 대하여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응과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사용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평균과 정답률을 통해서 학습자가 문장이 있는 상황에서 한국어 사자성어를 선택할 때 문맥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자가 실제 대답한 사자성어 결합양상을 통하여 학습자의 사자성어 사용 오류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던 중국어권 학습자의 사자성어 습득 양상을 밝힌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면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사자성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