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문화 간 차이에 따른 개념적 은유 표현의 이해도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쓰이고 있는 한국어의 개념적 은유 표현을 접하게 될 때, 단순한 문자적 의미만으로는 그 뜻을 충분히 이해할 수 없어서 의사소통에 실패할 확률이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쓰이고 있는 한국어의 개념적 은유 표현을 접하게 될 때, 단순한 문자적 의미만으로는 그 뜻을 충분히 이해할 수 없어서 의사소통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보다 동기부여 될 수 있는 방법으로 개념적 은유 표현을 교수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그 이전에 과연 그들은 개념적 은유 표현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이해도를 보이는지 파악하는 작업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외국어 교육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보이지 않는 문화 간의 장벽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간문화적 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두 문화 사이의 차이를 깊이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문화 차이에 대한 교육은 매개물이 필요하다. 본고의 주제인 개념적 은유 표현은 바로 문화 차이 인식의 매개물 역할을 할 수 있다.
개념적 은유에 관한 교육 내용은 최근 인지언어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에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하였으나, 나타난 성과가 한국어 교육에 반영되는 것은 아직 많지 않고, 교육현장에 전략적으로 서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제적 자료로서 기능하기에는 연구의 성과가 아직 미비하다. 한편, 제2언어로서의 영어교육 연구 분야 에서는 개념적 은유와 관련하여 수업에서의 동기부여도와, 인지전략 훈련 효과 등의 연구 성과물들이 있는 반면에, 한국어 교육 연구 분야 에서는 학습자 반응 조사를 통한 개념적 은유와 관련한 논의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 간 차이에 따른 개념적 은유 표현을 고찰해 봄으로써 1) 한국어 교실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 2) 한국어를 배우는 다양한 언어-문화권 학습자에게 보다 동기부여 될 수 있는 형태로 제시하여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하게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에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특정 언어 표현이 개념적 은유 표현으로 인해 동기부여 되는가?
연구문제 2: 문화적 속성에 따라 개념적 은유 표현의 친밀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문화적 속성에 따라 개념적 은유 표현의 이해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개념적 은유 표현의 친밀도와 이해도는 학습자 모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의 실험에서는 유형A-1 [일반적인 “시” 감상], 유형A-2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시” 감상]과 유형 B-1 [‘사랑/愛情’에 대한 한·중 공통적 표현], 유형 B-1 [‘감정’에 대한 한·베 공통적 표현], 유형 B-2 [‘사랑/愛情’에 대한 한국어 특유의 표현], 유형 B-2 [‘감정’에 대한 한국어 특유의 표현], 유형 B-3 [‘사랑/愛情’에 대한 중국어 특유의 표현], 유형 B-3 [‘감정’에 대한 베트남어 특유의 표현]의 5가지 유형과 기초 설문을, 중국어 모어 학습자와 베트남어 모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문화 간 차이에 따른 개념적 은유를 활용함에 있어 학습자들의 언어문화 특성에 따라 개념적 은유를 받아들이는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특정 언어표현의 동기 부여도를 높이는 데 개념적 은유 표현이 효과적 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개념적 은유 표현에 대한 학습자들의 친밀도와 이해도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 간 차이에 따른 개념적 은유 표현의 유형별 사례에 나타난 표현과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며, 이를 통해 좀 더 효과적인 개념적 은유의 활용을 고려해야 하겠다.

When non-native Korean learners come to face conceptual metaphors in Korean of being used in daily life, they cannot fully understand its meaning simply just with a literal meaning, thereby having high probability of failing in communication. Accordin...

When non-native Korean learners come to face conceptual metaphors in Korean of being used in daily life, they cannot fully understand its meaning simply just with a literal meaning, thereby having high probability of failing in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conceptual metaphorical expressions will need to be taught with a method available for becoming more motivation to non-native Korean learners. This study was begun from the recognition as saying of requiring a work, which grasps how much understanding, if so, they really show about conceptual metaphors, ahead of it.
What is most problematic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a point on how an invisible barrier between cultures can be solved. In order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o be successfully made, it is important to deeply recognize a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s. Education on such cultural difference requires a medium. A conceptual metaphorical expression, which is the theme of this study, can play a role of medium just in recognizing a cultural difference.
The educational contents on conceptual metaphors began to be recently raised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a research by cognitive linguists. There are few cases yet that the appeared performance is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erformance of a research is incomplete yet enough to be available as actual data for helping the strategically mutual understanding in the education field. Meanwhile, in a field of research on English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there are research results such as a motivating level in instruction and a cognitive-strategy training effect in relation to conceptual metaphors. On the other hand, in a field of a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discussion related to conceptual metaphors through a survey on learners' response tends to be relatively weak.
Henc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having possibility of giving implication as saying of being able to make communication successful by 1) offering basic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classroom field 2) suggesting it with a form available for giving more motivation to diverse linguistic-cultural zone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through considering conceptual metaphors according to a culture-based difference. Thus, a researcher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Research problem 1: Is a specific language expression motivated due to a conceptual metaphor?
Research problem 2: What about the familiarity with conceptual metaphors according to cultural property?
Research problem 3: What about the understanding about conceptual metaphors according to cultural property?
Research problem 4: Is there a difference depending on a learner's mother tongue between familiarity and understanding about conceptual metaphors?
To prove research problems, a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targeting Chinese native-speaking learners and Vietnamese native-speaking learners as for the basic questionnaire along with 5 types in type A-1 [appreciation of general “poetry”], type A-2 [appreciation of "poetry" using a conceptual metaphor], type B-1 [Korean·Chinese common expression on ‘love/affection(愛情)’], type B-1 [Korean·Vietnamese common expression on 'feeling'], type B-2 [unique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on ‘love/affection(愛情)’], type B-2 [unique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on ‘feeling’], type B-3 [unique expression in Chinese language on ‘love/affection(愛情)'], type B-3 [unique expression in Vietnamese language on ‘feeling’]. Summarizing the finding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is, they are as follows.
It could be kn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accepting conceptual metaphors according to learners' linguistic-cultur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using conceptual metaphors depending on a culture-based difference. Also, the conceptual metaphorical expression could be confirmed to be effective for increasing motivation of specific language expression. It could be kn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familarity and understanding about conceptual metaphors. Consequently, it is certainly necessary process to confirm the expressions, which were shown in a type-based case of conceptual metaphors depending on a difference between cultures, and the learners' response to thi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application of a little more effective conceptual metaphors through thi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