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중도입국청소년 현황과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oday we live in the age of migration, unlike in the past cross the border into a country, migrate and settle down by our own interests and Korea is no exception. As Korea also evaded 3D(Difficult, Dangerous, Dirty) industries and became more globaliz...

Today we live in the age of migration, unlike in the past cross the border into a country, migrate and settle down by our own interests and Korea is no exception. As Korea also evaded 3D(Difficult, Dangerous, Dirty) industries and became more globalized, lots of foreign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s increased rapidly and while Korea joins the ranks of the advanced countries, there is a dramatically growing influx of workers from overseas into our country. According to Ministry of the Interior's statistical data,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lived in Korea was 1,741,919 on January the 1st, 2015. 608,116 of them were foreign workers, accounting for 34. 9% and 239,698 of them were married immigrants(involving naturalized citizens by marrying), accounting for 13.8%. Both groups were nearly half of the total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accounting for 48.7%. The resident foreigners' children were 207,693, accounting for 11.9% and the number was boosted by 7.2% in comparison with 192,795 in 2014.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5, 67,465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were in school in 2014. Since it survey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for the first time(9,389 students of 2006), the number has drastically increased by more than 7 times and if we include the foreign schools excluded from the survey, we predict that it will be above the 70,000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ust as, like this, Korea's multicultural members have sharply increased, so the number of children from migration also goes on growing rapidly. However, the policy on the teenagers in multicultural family was focused on the children born and grown in Korea to a Korean father and a foreign mother. For this reason, immigrant youths from various immigration were excluded in supporting policy and immigrant youths and foreign worker's children greatly increased, so their problem was not to receive the benefits of multicultural children support policy. Presently,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 the rate of remarriage is growing as well. However, with the visitor's visa, the status of their stay is insecure a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y grew in their own country and so they aren't familiar wit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are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language, career, and poverty. Generally, in order for immigrant youths entering Korea at school age to settle down as a sound member of the society, the most fundamental prerequisite is education. We should focus on the education to strengthen the strength and make up for the weakness, of immigrant youths. That is, they can speak over two languages and grow between various cultures, so if we first must develop their talents and breed the adapt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y will be valuable human resources as talented world citizens in the globalized multicultural society. But if we leave the immigrant youths in the dead zone of education, they will be a burden in Korea. If they are poor at Korean language and don't adapt the Korean culture, it is hard to get a job and even though they find a job, they continue to accept low pay and poor working conditions and they will fall so low as to become the poor, and so Korea will make a grave national loss. Therefore, Korea must prepare the policy on immigrant youths for them to early adapt Korean society. Now and forever the serious issue on 1.5 or second generations from various migration will emerge along with the Korean society integration. Consequently, it is time to trying to discuss social issues, lay the policy direction of immigrant youths and make an alternative proposal. The policy on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doesn't set limits only to children born an grown in Korea, but like the national youth policy, we must provide all youths from migration with equal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strengthen their ability. Also, Korea must compliment each policy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to this end will separately need the decision-making body to take the lead at the policy on the youths from migration.

우리나라는 세계화가 되면서 3D업종의 기피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와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하였고, 선진국 진입으로 인한 다양한 이유로 외국인의 국내유입이 급증하고 있...

우리나라는 세계화가 되면서 3D업종의 기피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와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하였고, 선진국 진입으로 인한 다양한 이유로 외국인의 국내유입이 급증하고 있다. 2015년 1월 1일 기준으로 행정자치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은 주민등록인구의 3.4%에 해당하는 1,741,91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외국인 근로자는 34.9%인 608,116명, 결혼이민자(혼인귀화자 포함)는 13.8%인 239,698명이다. 이 두 집단이 48.7%로 전체 거주 외국인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외국인 주민등록 인구 중 자녀의 경우 11.9%인 207,693명이며, 2014년 192,795명 대비 7.2%가 증가한 수치이다. 2015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4년 다문화가정 학생 67,465명이 재학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것은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을 처음 조사한(2006년-9,389명) 이래로 7배 이상 급등한 숫자이며,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 외국인학교 등을 고려할 경우 다문화가정 학생이 7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다문화 구성원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이주배경을 가진 자녀들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의 자녀에 관한 정책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국내에서 성장한 자녀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이주배경을 가진 중도입국청소년들과 외국인 근로자의 자녀가 급증함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자녀의 지원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어 혜택을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국제결혼 중 재혼비율이 증가하면서 부모와 함께 살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 입국을 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방문·동거 비자(F1, F2, F3)로 입국해 체류신분이 불안정하고 일정 기간 동안 본국에서 성장하다가 입국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정체성의 혼란, 언어와 진로문제, 그리고 경제적인 빈곤문제 등을 겪고 있다. 일반적으로 학령기에 입국한 중도입국청소년들이 우리나라의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제 조건은 교육이다. 중도입국청소년들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는 교육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즉 두 개 이상의 언어 구사와 두 가지 문화에서 성장하고 있는 그들의 다양한 재능을 키워주고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조기에 보강한다면 우리나라의 국제화된 다문화사회에서 우수 인재로 성장하는 국가의 귀중한 인적 자원이 될 것이다. 그러나 중도입국청소년들을 교육의 사각지대에 그대로 내버려 둔다면 그들은 우리사회의 부담스러운 존재가 될 것이다. 서투른 한국어와 한국문화 적응하지 못하면 취업이 어렵고 취업하더라도 저임금 직종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일함으로써 사회 빈곤층으로 전락하게 되어 국가는 그들에게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중도입국청소년들이 우리나라사회에 조기 적응하도록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정책은 반드시 필요하다. 앞으로도 다양한 이주배경을 가진 1.5세대 또는 2세대들은 한국사회통합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교육정책 방향과 교육방법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정책대안을 모색할 시기가 된 것이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책은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국내 출생 다문화가정 자녀들만으로 한정하지 말고, 일반 청소년정책과 마찬가지로 모든 이주배경을 가진 청소년에게도 균등한 교육 기회보장과 그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의 정책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각 부처 간 개별정책을 보완하고, 부처 간 연계하는 지원정책이 있어야하고 이를 위해 이주배경을 가진 청소년에 관한 정책을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정책결정기구가 별도로 필요하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