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 아동은 나이가 어린 정상 아동이나 기능적인 조음 장애를 가진 아동들보다도 훨씬 낮은 조음 능력을 보인다. 연결발화 평가는 자연스러운 형태의 말소리에서의 명료도와 중증도를... 지적장애 아동은 나이가 어린 정상 아동이나 기능적인 조음 장애를 가진 아동들보다도 훨씬 낮은 조음 능력을 보인다. 연결발화 평가는 자연스러운 형태의 말소리에서의 명료도와 중증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연결발화에서 고빈도로 나타나는 형태소에는 치경마찰음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지적장애 아동의 조음 능력, 조음 오류 형태에 관한 연구들은 많이 있는 반면에 형태소의 특성을 포함한 조음 능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아동들이 학령전기와 학령기에 고빈도로 나타나는 문법형태소를 중심으로 가장 늦게까지 발달하는 치경마찰음의 오류 특성을 연결발화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경기 지역 초등학교 1~3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과 생활연령 일치집단 및 언어연령 일치집단 각각 13명으로 총 3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목표 문장의 그림을 제시하며 목표 문장을 들려주고 그림을 소거하고 아동의 연결발화를 유도하였 다. 각 과제는 문법형태소 ‘시, 서, 세, 써’와 어휘형태소 ‘시, 서, 세, 써’를 동일한 빈도로 나타나도록 제작되었다. 검사는 소음이 없는 방 안에서 진행하였고 스마트폰(삼성 SM-G928L)을 사용하여 발화를 모두 녹음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8.0(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치경마찰음의 오류가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내에서 형태소에 따라 오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간 형태소에 따른 오류 빈도의 차이와 집단 내에서 형태소에 따른 오류 형태의 차이, 형태소와 모음에 따른 오류 빈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 집단의 치경마찰음 조음 오류 빈도가 생활연령 일치집단과 언어연령 일치집단에 비해 높았다(p<.05). 또한 집단 내 형태소에 따른 치경마찰음의 조음 오류 형태는 경도 지적장애 집단의 경우 생략과 왜곡에 비해 대치가 더 많았고(p<.05), 언어연령 일치집단의 경우 생략에 비해 대치가 더 많았다(p<.05). 둘째, 집단 간 형태소의 유형에 따른 치경마찰음의 조음 오류 빈도는 경도 지적장애 집단에서 생활연령과 언어연령을 일치한 집단보다 어휘형태소에 비해서 문법형태소에서 더 높았고(p<.05), 집단 내 형태소 유형에 따른 치경마찰음의 조음 오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p>.05). 셋째, 경도 지적장애 집단의 치경마찰음 조음 오류 빈도 /써/가 /시/, /서/, /세/에 비해 높았다(p<.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조음 능력이 더 지체되어 있고 일반 아동과 조음 오류의 형태는 유사하나 그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나이가 더 어린 일반 아동보다 낮은 조음 발달을 보이며 언어능력이 증가되어도 형태소에 따른 조음 오류가 계속 된다는 것은 말 발달이 이루어져도 형태소에 대한 미묘한 통사적 차이는 부담으로 남을 수 있다고 유추된다. 한국어의 문법형태소는 자발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높은 빈도로 출현된다. 일상 구어생활에서 /써/는 출현 빈도가 높은 문법 형태소이다. 따라서 산출 오류 기회도 많고, 느린 말발달 특성으로 인해 오랫동안 오류가 지속되면서 말명료도를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자발화에서 고빈도로 나타나는 문법형태소가 조음 음운 평가에 포함된다면 출현 빈도를 고려한 치료를 위한 목표 음소 선정, 일반화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된다.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 far less articulation capability compared to normal children aged younger or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Evaluation on connected speech can examine the clarity and seriousness in na...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 far less articulation capability compared to normal children aged younger or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Evaluation on connected speech can examine the clarity and seriousness in natural speech-sounds and its morpheme contains many alveolar fricative. Though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articulation capability and disorder types of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there are not many studies explaining the articulation competenc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raits of morphemes. So this study, in regards to connected speech, aims to explain traits of errors in alveolar fricative that lasts the longest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which morpheme appears frequently before and throughout the school year. 1st to 3rd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long with groups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 and language age (13 people in each group, total 39) were the subject of this analysis. By showing the picture of target sentence along with letting them hear its sentence, and then erasing the picture, connected speech was induced. Each task was designed to show grammatical morphemes of ‘시, 서, 세, 써’ and lexical morphemes of ‘시, 서, 세, 써’ in equal frequency.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in a quiet room and smart phones(Samsung SM-G928L) were used for recording. Also, SPSS 18.0(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 of alveolar fricative error among the groups, mono dispersion analysis was done, and t-test as an independent sample was done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errors inside each group. Also, for the difference of frequency in errors regarding morpheme among the groups and inside each group, and that between morpheme and consonant, repeated disper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following w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First, the rate of frequency in articulation errors in th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two groups(p<.05). Also, there were more contradictions than omission and distortion in the same group regarding articulation error types of alveolar fricative based on morpheme inside groups(p<.05), while that of same age group had more contradictions than omission(p<.05). Second, in th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ate of frequency in articulation errors of alveolar fricative based on morpheme turned out to be higher in the sentence morpheme than word morpheme compared to other groups(p<.05),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side each group(p>.05). Third, the rate of frequency in articulation errors of alveolar fricative in th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er in /써/ compared to /시/, /서/, /세/(p<.05). This study revealed that articul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less developed while the types of error may be similar but slower than normal childre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slower development rate of articulation compared to children of younger age. Also it can be inferred that slight syntactical difference may still be burdensome since articulation errors based on the types of morpheme sustain as with language development. In Korean language, grammatical morpheme not only takes an important role in spontaneous speech but also appears in a high frequency. /써/ is a grammatical morpheme that appears very often in ordinary spoken language. Thus there were a lot of calculation errors. Also, such being sustained due to slow language development, it seems to be one of the factors in degrading the language clarity. Once grammatical morpheme which appears frequently in spontaneous speech can be contained in articulation phoneme evaluation, it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in generalization as well as selection of target phoneme in regards to treatment based on emergence frequency.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