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reactions to compliment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students who study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compliments. China and Korea are close geo... (A) comparative study of reactions to compliment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students who study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compliments. China and Korea are close geographically, but the way of thinking will be different because of thei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Language ha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i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are influenced by their mother tongue. Nowadays, there are many s that focus on the difference between language and language as the study of Korean compliments ha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mothers and Chinese learners. This study analyzes the intimacy and social status as variables. Social status is composed of three variables: senior, friend, and junior. In this way, we analyzed how the speakers of the two languages respon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intimacy and social status. In Chapter 1, we review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prior research.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compliments, comparative studies on complaints of Chinese learners have not been done y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ompliments of Korean learners with those of Korean learner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using a discourse completion type test DCT questionnaire. In Chapter 2, we first look at the theory of actuatio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n examine the concept of praise and the functions and features of complimenting actuation. Then, the concept of praise respon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aise response expression were described. Finally, we briefly introduced the types of praise and praise response. In Section 3, we describe the research methods, the subjects and the period of research, and the procedures of the research. This study is a study of Chinese learner and Korean learner. A total of 60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DCT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Here, an example of the DCT situation is also presented. Chapter 4 analyze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example, when responding to compliments about appearance, we compared the types of responses used according to the praise items, such as a friendly senior, a not very good senior, a close friend, a close junior, and a very unfriendly junior. In the last chapter, we tried to summarize and conclude again. There will be a shortage in the number of subjects to be tested, but we will make more improvements in the future.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응답 화행 비교 연구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칭찬 응답 화행을 비교하는 연구다.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응답 화행 비교 연구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칭찬 응답 화행을 비교하는 연구다.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라지만 서로의 사회,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사고방식이 다를 것이다. 언어는 그 안에 사회나 문화적 배경, 정서적 특징을 담고 있다. 의사소통할 때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영향을 받는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요즘 한국어 칭찬 화행에 대한 연구가 점점 대두되면서 언어권 간의 차이에 중심으로 연구된 논문들이 많다. 본 연구는 한국어의 칭찬 응답을 중심으로 한국어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응답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친밀도와 사회적 지위를 변인으로 분석한 것이다. 사회적 지위는 선배, 친구, 후배 3가지 변인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친밀도와 사회적 지위에 변화에 따라 두 언어권의 화자가 어떻게 응답하는지 분석을 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대상, 연구 방법 그리고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칭찬 화행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국인 학습자의 대상으로 한 칭찬 응답 비교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지 못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칭찬 응답 화행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담화 완성형 테스트 DCT 설문지를 이용해서 실현한 것이다. 2장에서는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화행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그 다음은 칭찬의 개념과 칭찬 화행의 기능 및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본 연구의 중심인 칭찬 응답 화행에 대한 개념 및 칭찬 응답 표현의 특징에 대한 기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칭찬 및 칭찬 응답 화행의 유형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를 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방법과 연구의 대상 및 기간, 그리고 연구의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각 30명씩 총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DCT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여기서 DCT 상황예시도 함께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의 결과에 대한 분석하였다. 상황마다 변인에 따라 칭찬 응답 유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 분석을 하였다. 예를 들어, 외모에 대한 칭찬 응답할 때, 친한 선배, 별로 친하지 않은 선배, 친한 친구, 친한 후배, 별로 친하지 않은 후배 등 칭찬하는 대상에 따라 사용하는 응답의 유형을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를 하였다. 마지막 5장에서는 다시 정리하고 결론을 내리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 수 가 한계가 있으므로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겠지만 앞으로 더 보완하도록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