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낭독과 자유 발화의 운율 특성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korean speech patterns,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using speech corpus.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led to a more accurate observation for korean...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korean speech patterns,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using speech corpus.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led to a more accurate observation for korean prosodic features in spontaneous speech focusing on the corpus which contained speaker’s explanation while looking at a map. For this, the study carried out random sample methods of 20 males and 20 females from the large corpus L2KSC, and conducted experiments on recordings of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In reading speech, the speakers read the script of “Wind and Sun”, while performing tasks in which they described a map in spontaneous speech. After that, all of spoken sentences were divided into accentual phrase and prosodic phrase, and found that the prosodic composition patterns, forming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are different each other. To measure differences in sentence patterns, 6 variables (articulation length and speed, pause length and frequency, pause length among statements, statement F0) were set, and statistical analysis compilations like t-test, correlation analysis, r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fter t-test comparing mean values among variables, prosodic factors distinguishing readnig and spontaneous speech are articulation length, pause duration and frequency. The analysis of Influence among the variables showed that the longer script, the slower speech speed because articulation speed and articulation length seem to highly correlate with each other in reading. In spontaneous speech, articulation length and pause frequency were closely related, thus the longer articulation length, the more pause frequency. The other variable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wo types were the vowel length of penultimate syllable & boundary syllable in first prosodic phrase (prosodic phrase showed at first in a sentence) and final prosodic phrase (prosodic phrase showed at last in a sentence) and F0. Finally, result showed that the prosodic factor distinguishing two speech patterns was the boundary syllable length of final prosodic phrase in reading speech. While in spontaneous speech, penultimate syllable length of first prosodic phrase, boundary syllable F0 of first prosodic phrase and boundary syllable F0 of final prosodic phrase were the main prosodic factors.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sentence composing factors were in common at F0 both in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In reading speech, penultimate syllable of first and final prosodic phrase and F0 of boundary syllable ha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Reading speech showed a “structured pattern” which had solid F0 formation among factors, whereas spontaneous speech showed a relatively “flexible pattern”. The examination for the boundary intonation in the first and final prosodic phrase demonstrated a ascending pattern in reading speech, whereas spontaneous speech displayed similar distribution of ascending and descending patterns in case of first prosodic phrase. In case of final prosodic phrase, reading speech showed all descending patterns and spontaneous speech had overwhelming descending patterns and a few ascending patterns, which represented the differences between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연구는 음성 말뭉치를 활용하여 한국어의 발화 유형 즉, 낭독과 자유 발화에 나타나는 운율의 특징과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자유 발화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

본 연구는 음성 말뭉치를 활용하여 한국어의 발화 유형 즉, 낭독과 자유 발화에 나타나는 운율의 특징과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자유 발화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지도를 보며 자신의 생각을 발화한 말뭉치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한국어 자유 발화의 운율적 특성을 더 정확히 살펴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용량 음성 말뭉치인 L2KSC에서 한국인 남자 20명, 여자 2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낭독과 자유 발화에 대한 녹음 자료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발화자들은 낭독에서는 ‘바람과 해님’의 스크립트를, 자유 발화에서는 지도를 보며 목적지까지 가는 과정을 설명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후 모든 발화 문장들을 휴지를 중심으로 운율구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문장 안에서 낭독과 자유 발화를 구성하는 운율구의 구성 형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문장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첫 번째로, 문장 단위 측면에서 조음 길이, 조음 속도, 휴지 길이와 휴지 빈도, 문장 간 휴지 길이, 문장 F0값 등 6가지를 변인으로 설정하고 값을 측정한 다음, 이를 통계적 기법-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들의 평균값을 비교한 t-test 결과, 낭독과 자유 발화를 구별해 주는 운율 요소로는 조음 길이, 휴지 길이, 휴지 빈도가 나타났다. 이후 각 변인들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낭독에서는 조음 길이가 짧으면 조음 속도가 빠르고 조음 길이가 길면 발화 속도도 느려졌는데, 이는 조음 속도와 조음 길이가 서로 관련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 발화에서는 조음 길이와 휴지 빈도 사이의 관계가 높았으며, 이를 통해 조음 길이가 길어질수록 휴지 빈도가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화 유형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두 번째 변인으로 문장 내 구성 요소 측면에서 문초운율구(문장 맨 처음에 나오는 운율구)와 문말운율구(문장 맨 마지막에 나오는 운율구)의 끝 앞음절과 끝음절의 모음 길이와 F0를 설정하고 통계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낭독에서는 문말운율구의 끝음절 길이가, 자유 발화에서는 문초운율구의 끝 앞음절 길이와 문초운율구의 끝음절 F0, 문말운율구의 끝음절 F0가 발화 유형을 구별해 주는 운율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문장 내 구성 요인들의 관계에서는 낭독, 자유 발화 모두 F0에서 서로에게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낭독의 경우 문초운율구와 문말운율구 끝 앞음절과 끝음절의 F0가 서로에 대한 관계가 높았다. 이를 통해 낭독은 F0의 조직이 견고한 ‘정형화 된 틀’을 보이는 반면, 자유 발화는 낭독에 비해 각 F0의 관계가 낮아 상대적으로 ‘유연한 틀’의 형태로 나타났다. 문초운율구, 문말운율구의 경계 성조에 나타나는 억양 유형을 살펴 본 결과, 문초운율구의 경우 낭독에서는 상승 유형이, 자유 발화에서는 상승과 하강 유형이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고, 문말운율구의 경우에는 낭독의 경우 모두 하강 유형만, 자유 발화에서는 압도적인 수의 하강과 적은 수의 상승 유형이 나타남을 통해 낭독과 자유 발화의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