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을 위한 취학 후 학습부진 예방 목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역량과 흥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전래동화를 선정하여 적합한 한국어 말하...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을 위한 취학 후 학습부진 예방 목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역량과 흥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전래동화를 선정하여 적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스토리텔링은 말하기 교수의 객관적인 원칙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스토리 자체가 갖는 매력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자극한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듣고 말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듣기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말하기 교수 텍스트로는 전래동화를 제시하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및 모의수업이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기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에게 한국어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면 의사소통에 대한 문제와 그에 따른 학습부진, 사회적인 문제까지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표 아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다문화가정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발달 특징과 스토리텔링과 전래동화를 활용한 연구, 그리고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주요 연구들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고찰해 보고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해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 스토리텔링의 연관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스토리텔링을 교육에서 활용할 때 이미 논의된 학습지도모형들을 토대로 새로운 스토리텔링 활용 방법을 모색했다. 그리고 전래동화의 언어적 특징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지 여부를 살펴보고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의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전래동화를 활용하기에 앞서 전래동화 선정 기준을 정하여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적합한 스토리텔링용 전래동화를 선정하였다. 전래동화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한국의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선택한 전래동화 목록 가운데 전체 전래동화 중에서 빈도수를 기준으로 선정한 목록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4장에서는 2장의 이론적 배경과 3장의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을 위한 스토리텔링용 전래동화 선정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한국어 말하기 학습지도모형을 제시하고,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에게 적합한 전래동화 스토리텔링방법의 모의수업을 진행하고 인터뷰를 통해 그에 따른 결과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에 대한 연구자의 의견을 제시하고 논문이 갖는 한계점과 과제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활용할 수 있는 학습지도모형을 다양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소수 인원의 학습자 대상으로 진행한 모의수업은 본고의 한계점이나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학습부진의 가장 큰 원인인 언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래동화와 스토리텔링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ppropriate ways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through selecting traditional fairy tales utilizing storytelling to enhance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ers’ capabilities of, and interest in, the Korean la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ppropriate ways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through selecting traditional fairy tales utilizing storytelling to enhance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ers’ capabilities of, and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m from underachieving after they enter school. Storytelling not only meets the objective principles of teaching speaking skills but also stimulates the learners’ interest and learning motives with its own attractiveness. And it has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s’ formation of hearing attitude through repeated hearing and speaking processes. Accordingly, this research presented traditional fairy tales as the text of teaching Korea speaking skills and attempted to enhance the learners’ Korean speaking abilities through the Korean speaking education method utilizing storytelling and mock classes. I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systematically provided for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ers, then communication problems and the resultant school underachievement problems and even social problems can be prevented. For these purpos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In Chapter 1,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were presented. First, the researches utilizing the overall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storytelling and traditional fairy tales, and the related previous researches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les storytelling were examined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major researches were examined and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fairy tales storytelling for the languag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ers was discussed. In Chapter 2,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speaking education and the storytelling was discussed. Based on the learning guidance model that was already discussed when utilizing the storytelling in education, the new method of utilizing the storytelling was explored. 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airy tales and whether or not those characteristics are suitabl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criteria of selecting traditional fairy tales storytelling were prepared. In Chapter 3, before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l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riteria for selecting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prepared and the traditional fairy tales to be used for storytelling suitable for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er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were selected. Among the traditional fairy tal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are using the most traditional fairy tales and the lists of traditional fairy tales sele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ers, the basis of the lists of traditional fairy tales selected based on their frequency in the entire traditional fairy tales was prepared. In Chapter 4,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2 and on the selec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used for storytelling for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ers, the detailed Korean speaking learning guidance model was presented, and mock classes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storytelling method suitable for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er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reviewed through interviews. Finally, in Chapter 5,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nd this researcher’s opinion about the Korean speaking education method research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les storytelling was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the tasks were presented. The failure of presenting learning guidance models that can be utilized diversely and the mock classes conducted on small numbers of learners ar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However,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les storytelling to solve the language problem, which is one of the biggest causes of school underachie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er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