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재의 다의어 의미 분석에 대한 연구 : 동사 다의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ducational status of polysemous words in Korean textbooks focused on the most frequently used polysemous verbs and propose the polysemous verbs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n Chapter 1, the purpo...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ducational status of polysemous words in Korean textbooks focused on the most frequently used polysemous verbs and propose the polysemous verbs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n Chapter 1, the purpose, necessity and previous literature of the study and proposes research questions were revealed. Literature review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studies related to polysemous verbs, polysemous nouns and studies related to polysemous words education according to the language group. In Chapter 2, balanced corpus, raw corpus, tagged corpus were examined, and the theory of polysemy and lexical collocations were summarized to define the concept of basic meaning, extended meaning, collocation, collocate for this study. In Chapter 3, Korean language textbook corpus and balanced corpus as research subject are revealed. The selection of the most frequently used polysemous verbs, ‘하다, 보다, 가다, 되다, 오다’ was explained and proposes methods and procedures of analyzing the meaning, meaning frequency and collocation of the 5 selected verbs. In Chapter 4, the configuration of collocation of the 5 verb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divides meaning of each verbs were first analyzed. Then, meaning frequency of the 5 verbs was analysed from Korean language corpus and balanced corpus. Finally, the aspects of meaning presentation of the five verb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hapter 5, sugges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education field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include applic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collocation in teaching plan, supplementation of meaning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presentation of meaning by proficiency level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pter 6 summarizes and concludes the study and discusses limitation of the study. This study result provides useful resources for both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sher.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동사 다의어를 선정하여 한국어 교재에서의 다의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활용한 다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동사 다의어를 선정하여 한국어 교재에서의 다의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활용한 다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다의어 연구가 일부 동사와 명사에 대한 연구, 학습자의 언어권별 다의어 교육에 대한 연구 중심이었다는 점을 바탕으로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다의어의 의미가 한국어 교재에 적절히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해 필요한 균형 말뭉치, 원시 말뭉치, 주석 말뭉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다의어와 연어에 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기본의미, 확장의미, 연어구성, 연어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대상으로 삼은 한국어 교재 말뭉치와 균형 말뭉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동사 다의어를 선정하기 위해 ‘UTagger’와 ‘Excel’의 ‘피벗 테이블’ 기능을 사용하여 다의어 ‘하다, 보다, 가다, 되다, 오다’를 선정하는 과정을 밝혔다. 또한 ‘Antconc’를 사용하여 연어구성을 분석하고 ‘Editplus’와 ‘Excel’을 활용하여 5개 동사의 의미와 의미 빈도를 분석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방법 및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5개 동사의 연어구성을 분석하여 각 동사의 의미 항목을 나누고 의미 항목별로 어떠한 연어구성이 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어 교재 말뭉치와 균형 말뭉치에서 5개 동사의 의미 항목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어 교재의 등급별로 5개 동사의 의미 제시 양상을 분석하였다. 동사의 각 의미가 한국어 교재의 어떤 등급에서 처음 제시되는지 교재별로 비교하고 한국어 교재의 등급별로 동사의 어떤 의미까지 제시되는지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보다’의 연어구성을 활용한 수업 방안,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하는 의미 항목의 보완 방안, 한국어 교재의 등급별로 ‘되다’의 의미 항목을 제시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6장에서는 ‘균형 말뭉치’에 나타난 의미 빈도를 참고하여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다의어의 의미가 한국어 교재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등급별 연계성을 고려하여 의미 항목을 제시해야 한다는 결론을 언급하였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서의 다의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어 수업을 하는 교사에게 적절한 참고 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으며 교재 편찬자들에게도 교재 편찬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