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므로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지화 교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동안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므로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지화 교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동안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쓰기 교육 및 읽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베트남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본고는 현지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급 통합 교재 내 듣기 자료의 실제성 및 듣기 과제의 다양성, 베트남 현지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지화 듣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기존 연구 및 듣기 교재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 베트남 중부지역에 위치하는 다낭외국어대학교와 후에외국어대학교의 교원 및 학생 현황, 교육과정, 듣기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3장 1절에서 듣기의 개념과 특성, 듣기의 중요성, 듣기 자료 구성, 듣기 과제 활동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 2절에서 베트남 중부지역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세대학교의 ‘연세 한국어 3-1, 연세 한국어 3-2’와 고려대학교의 ‘재미있는 한국어 3’, 한국국제교류제단에서 개발된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3’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교재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4장에서 교재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재의 116개의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3종의 한국어 교재는 숙달도에 적합한 주제를 잘 다루지 못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 비하면 실제성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43개의 듣기 문항을 분석한 결과, 참조, 개방, 시각형 질문에 비해 제시, 초점, 비시각형 질문 유형의 비율이 더 많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활동 유형 가운데 ‘들은 내용 OX 하기’가 과반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조언어학적 관점과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은 A교재와 B교재에서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반면에 C교재에서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한국 문화와 베트남 문화의 비교문화론적 관점은 3종의 교재에서 심도 있게 다루지 않았고,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텍스트가 아니라 한국 문화에 대한 텍스트를 학습자에게 듣거나 읽게 한 후에 베트남의 문화가 어떠한지 등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데에 그친다. 5장에서 다낭외국어대학교와 후에외국어대학교 베트남인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두 학교의 학습자가 한국어 사용 환경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가 아주 적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57.1%의 학습자와 35.7%의 교사는 교재의 녹음 자료가 실제 대화와 다르다고 대답하였으므로 교사에 비해 학습자가 듣기 교재의 자료와 실제 대화의 괴리감을 더 많이 느낀 것을 알 수 있다. 교사와 학습자들이 교재에 대한 보완점 중에서 담화 주제와 상황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았다. 본고는 교재 분석 결과 및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베트남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듣기 교재를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첫째, 교재를 14개 단원으로 구성하고, 한 단원에 3개의 소주제를 제시하였다. 교재는 혼합 교수요목으로 구성하며, 각 단원의 구성은 학습 목표 → 듣기1 → 듣기2 → 듣기3 → 문법 → 어휘의 순으로 다루며, 듣기는 듣기 전 단계 → 듣기 단계 → 듣기 후 단계의 순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14개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베트남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상황으로 더 많이 다루었다. 셋째, 교재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조언어학적 관점,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 한국 문화와 베트남 문화의 비교 문화론적 관점을 반영하였다. 문법 설명과 단어를 베트남어로 번역함으로써 한-베 언어대조 관점을 반영하였다. 특히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고 양국의 문화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본고는 한국 문화와 베트남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대화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교재와의 차이점이 있다. 넷째, 학습자가 여러 가지 상황에서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제공하였다. 다섯째, 교재는 구어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였다. 여섯째, 질문 유형, 듣기 활동 유형, 이해과정을 다양하게 다루었다. 특히 ‘대학생활’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시각적 자료는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상황의 모습을 반영하므로 학습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지 대학교의 교육 환경 조사, 교재 분석,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베트남 현지에 맞는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가 되었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한정된 수의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개발한 듣기 교재로 실제 수업을 해보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앞으로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