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설득적 말하기 교육 연구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대학 수학을 위해 논증을 바탕으로 한 설득적 쓰기를 선행한 후 설득적 말하기를 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설득적 말하기 교육 연구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대학 수학을 위해 논증을 바탕으로 한 설득적 쓰기를 선행한 후 설득적 말하기를 했을 때의 효과를 실험을 통해 밝히고 이러한 방법이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각 장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쓰기와 말하기의 통합 교육 및 설득적 쓰기와 설득적 말하기 통합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검토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2장에서는 설득적 말하기와 설득적 글쓰기의 기초가 되는 논증 구조, 논증 도식 및 논증 표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실험에서 사용할 논증 구조, 논증 도식, 논증 표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설득적 말하기인 토론과 설득적 쓰기인 논설문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실험에 사용될 토론 개요서와 설득적 쓰기 모형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 방법을 설계하였다. 실험은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5급을 수료한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두 가지 논제를 주제로 실험 집단에서는 ‘설득적 말하기’, ‘설득적 글쓰기 후 설득적 말하기’의 순으로 평가를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서는 ‘설득적 말하기’, ‘토론 개요서 작성 후 설득적 말하기’의 순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토론 논제는 수업에서 이미 다룬 논제 중 학생들이 관심이 있는 논제로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할 토론 개요서 및 논설문은 2장에서 살펴본 설득적 말하기와 쓰기의 특징을 반영하여 설정하였고 실험 결과 분석에 사용될 평가 도구는 기존 연구의 분석을 통해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를 동시에 실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자료 수집 도구를 기초로 실험을 실시한 후, 설정한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ACTFL OPI 평가자 자격증을 소지한 세 명의 채점자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실험이 학습자들의 설득적 말하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평가 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분석은 통계적 분석과 함께 논증 구조, 도식, 표지의 사용 양상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고자 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집단별 두 차례의 말하기 평가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실험 집단은 숙달도 ‘상’ 집단에서 담화적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중’ 집단에서는 사회 언어학적 능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제 집단은 숙달도 ‘하’ 집단에서는 담화적 능력의 실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토론 개요서 작성과 설득적 글쓰기가 말하기 평가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설득적 쓰기 후 말하기 평가를 실시한 실험 집단의 숙달도 ‘상’ 집단에서는 담화적 능력과 사회 언어학적 능력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숙달도 ‘하’ 집단에서는 사회 언어학적 능력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에 토론 개요서 작성보다 논설문 작성이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설득적 글쓰기가 설득적 말하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설득적 글쓰기 성적과 설득적 말하기 성적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언어적 능력과 담화적 능력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설득적 글쓰기가 설득적 말하기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통계 결과 분석을 통해 말보다 체계성을 갖춘 쓰기를 선행하여 설득적 말하기 교육을 실시할 경우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숙달도에 따라 논설문 쓰기와 토론 개요서 쓰기가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로 실험이 각 집단별, 숙달도별로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토론 개요서 작성 후 말하기 평가와 설득적 글쓰기 후 말하기 평가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논증 구조 및 논증 도식, 논증 표지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2차시 말하기 평가에서 논증 구성 요소인 주장, 이유, 근거, 반론 수용 및 반박을 고르게 사용한 집단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숙달도 ‘상’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학습자들의 실제 발화 분석을 통해 근거와 주장의 구성이 탄탄하게 연결되어 있는 논증의 형태는 실험 집단의 숙달도 ‘상’ 집단 학생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숙달도 ‘하’ 집단의 경우에는 실험 집단보다 통제 집단의 학습자들이 더 다양한 논증의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었는데 이는 통제 집단의 숙달도 ‘하’인 학생들이 실험 집단 숙달도 ‘하’인 학생들에 비해 2차시 말하기 평가에서 발화량이 배로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과, 비교, 예시, 권위의 논증 도식 사용량의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2차시 말하기 평가에서 모든 논증 도식을 고르게 사용한 집단은 실험 집단의 ‘상’ 집단에 한정되어 있었다. 통제 집단의 숙달도 ‘상’ 집단도 모든 논증 도식을 2차시에 더 많이 사용하였으나 그 증가폭이 고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 집단의 숙달도 ‘중’인 학생들은 2차시 평가에서 오히려 논증 도식을 적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증 표지의 사용 양상을 비교해 본 결과, 2차시 말하기 평가에서 새롭게 사용한 논증 표지 수가 가장 많은 집단 또한 실험 집단의 숙달도 ‘상’ 집단 학생들이었고 사용된 논증 표지도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 집단의 숙달도 ‘중’ 집단의 경우에는 2차시보다 1차시에 더 많은 논증 표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논설문 작성은 숙달도 ‘상’, ‘중’ 집단에 유의미하게 작용을 하며 토론 개요서 작성은 숙달도 ‘하’인 학생들의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평가 과정을 거쳐 학습자들의 숙달도에 따라 설득적 쓰기가 설득적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름을 밝혀냈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의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숙달도별로 교육 방법을 달리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 번째로 학습자들은 설득적 말하기 실험을 통해 토론 개요서 작성과 논설문 쓰기가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에 어떤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 결과, 일부 학습자들은 실험에서 작성한 토론 개요서 및 논설문이 영향을 미쳐 실험 전후에 논제에 대한 난이도 인식에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논설문 작성과 토론 개요서 작성이 2차시 말하기 평가에 미친 부분에 대해 묻는 질문에 논설문 작성은 내용적인 면과 표현적인 면에 모두 영향을 미쳤고 토론 개요서는 내용적인 면에 더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설득적 말하기의 내용적인 면과 표현적인 면을 고르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논설문 작성이 더 효과가 있으며 논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내용적인 면에 도움을 받기에는 토론 개요서 작성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5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설득적 쓰기와 연계한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단계와 교육 방안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교육 단계는 논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논제 이해 단계’, 논증 구성 요소들에 전체적인 내용을 논리적, 체계적으로 배열하는 ‘내용 배열 단계’, 배열한 내용들을 적절한 논증 도식과 표지를 사용하여 논설문을 작성하는 ‘텍스트 구성 단계’, 글로 작성한 내용을 토론을 통해 설득적 말하기로 실현시키는 ‘담화 구성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실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숙달도 ‘상’, ‘중’ 집단은 설득력 있는 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해 토론 전에 논리성과 체계성을 갖출 수 있는 논설문 작성을 위주로 교육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에 반해 숙달도 ‘하’ 집단에서는 설득력 있는 설득적 말하기를 실현하기 위해 논리성과 체계성을 기르는 동시에 내용적인 측면에서 논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필요로 하므로 토론 전에 토론 개요서 작성과 논설문 작성을 동시에 실시하는 교육 단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육 단계를 반영한 교육 모형은 모둠 활동 모형과 개별 활동 모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1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모둠 활동은 모든 숙달도의 학습자들이 한 학급에서 학습하는 교육 현장을 반영하여 기존의 토론 수업과 같이 그룹 토론을 실시하는 형식으로 구성하였고 2차 토론인 개별 활동은 수업에서 다룬 토론 논제를 활용하여 학습자 개인의 숙달도에 따라 설득적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 별도의 시간을 할애해 진행하는 방안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개별 활동 시 토론 전에 논증 교육을 실시한 후 논증 구조와 논증 도식, 논증 표지가 제시된 논설문을 작성하게 하여 학습자들의 설득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숙달도 ‘하’인 학생들의 경우에는 논설문 작성 전 수업 시간에 토론한 내용을 반영하여 논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다시 한 번 정리할 수 있도록 토론 개요서를 수정하는 과정을 추가하였다. 이와 같이 숙달도별로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교육 모형을 달리해 제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