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서 비교적 다문화가정이 많이 밀집되어있는 서울시 광진구를 조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PRECEDE-PROCEED 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서 비교적 다문화가정이 많이 밀집되어있는 서울시 광진구를 조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PRECEDE-PROCEED 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다문화가정 구강건강증진사업 및 관리 모형을 개발할 목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번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문헌 조사 후 서울시 광진구에 등록된 전체 다문화 가구원의 약 6.4%인 280명을 조사 가능 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이 중 조사에 성실히 응답한 외국인 이주 배우자 152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구강건강실태 검사와 구강건강행동에 관한 설문을 조사 하였으며, 맞춤형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이를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향요인과 실현요인에 따른 구강건강행동은 구강건강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구강보건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이닦기횟수가 유의하게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p<0.05). 2) 행위요인과 환경요인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는 한국어사용장애와 주관적구강건강인식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5), 한국어사용장애가 적을 수록 구강건강상태가 양호하였다. 3)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은 지역사회치주가료필요지수, 구강건강장애인식, 구강건강민감성인식 순으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4) 프로그램 실시 후 대상자들의 성향요인 중 문화적신념은 증가하였고, 민감성인식은 감소하였으며(p<0.05), 실현요인 중 구강보건지식이 증가하였고 장애인식은 감소하였으며(p<0.05), 주관적구강건강인식이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안된 구강건강증진 모형을 활용하여 다문화가정의 지속적 구강건강관리를 시행한다면 더 향상된 구강건강상태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stomized oral health promotion model which was providing oral health education, dental treatment and reassement based on PRECEDE-PROCEED model for multiculture family in Seoul. Multicultural family oral health, ...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stomized oral health promotion model which was providing oral health education, dental treatment and reassement based on PRECEDE-PROCEED model for multiculture family in Seoul. Multicultural family oral health, 152 immigrant foreign spouses (3.5% number of whole multicultural family number (4,383) registered in Gwangjin-gu, Seoul) were providing oral health educating and dental treatment based on oral examination and survey following re-assessment during 6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alience and tooth brushing frequency (p<0.05), and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score showed increased the number of tooth brushing frequency. 2) Oral health behavior and environment factors,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and barrier of Korean language ability was significant (p<0.05). Being the condition of lack of recognizing barrier of Korean language lead to perceive oral health status good. 3) 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 perceived barrier of oral health belief, perceived susceptibility of oral health belief were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related oral health (p<0.05). 4) Cultural belief score, oral health knowledge score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roviding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p<0.05), but perceived barrier of oral health belief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of oral health belief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oral health education and treatment programs of oral disease lead to maintain oral health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multicultural familie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