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생산요소를 활용한 한국문화 현장학습 방안 연구 : 노량진 공간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 Study on Measures for Korean Cultural Field Study Utilizing Space Production Elements: Focusing on Spaces in Noryangjin This study is to provide measures for field study to achieve an overall understanding on cultural aspects of the spaces in Nor...

A Study on Measures for Korean Cultural Field Study Utilizing Space Production Elements: Focusing on Spaces in Noryangjin

This study is to provide measures for field study to achieve an overall understanding on cultural aspects of the spaces in Noryangjin, which is a region containing social/cultur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
A space contains not only geographical and physical properties, but also the life and social/cultural backgrounds of the people living in the space. Thus, analyzing a space containing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created by the people can be helpful in establishing a curriculum to study general culture. It can also help people's understanding on the real world using the language, and make people feel closer to the subject.
One of the most suitable activity to utilize a space containing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go visit the place. A field study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bring students outside the classroom, where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an integrated education combining linguistic and cultural studies, which is widely sought aft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owadays, through direct contacts with actual study goals and subjects. However, the students must become familiar with the overall culture contained in the space in order to practice such method of an integrated education.
Thus, the space production elements (representation of space, spacial practice and representational space) from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ce Production, in which spaces are analyzed in a same context with the perspectiv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s used in this study to help cultural understanding of a field study space. Utilizing Lefebvre's space production elements can be a fair measures to raise the overall understanding on the subject space.
Urban planning of the upper class that has affected the space production in Noryangjin and social/cultural changes in the region can be learned through representation of space among Lefebvre's space production elements (representation of space, spacial practice and representational space). Lives and cultures of merchants in the fish market and students, those who take up the major population in the region, can be learned through spacial practice, and lastly, the movements of the students and merchants against the plans of the upper class to produce a better space and culture can be learned through representational space. An analysis of the spaces in Noryangjin and its cultural properties through the three elements can be utilized in establishing a content for field study in Noryangjin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s, advancing stages in connection with classroom education and organizing a field study cours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it has provided a new perspective in establishing a content for Korean cultural field study, which is an efficient field activity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but lacked concrete criteria for its contents and stage progress, through Henry Lefebvre's Theory of Space Production and also in a sense that it has established a field study measures focusing on spaces in Noryangjin,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before even though it is a region well-containing social/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lives and cultures of the people living in the region.

공간생산요소를 활용한 한국문화 현장학습 방안 연구: 노량진 공간을 중심으로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변천 모습과 특징이 잘 담겨 있는 노량진 공간을 한국문화교육의 현장학...

공간생산요소를 활용한 한국문화 현장학습 방안 연구: 노량진 공간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변천 모습과 특징이 잘 담겨 있는 노량진 공간을 한국문화교육의 현장학습 대상지로 선정하여 대상 공간의 총체적인 문화 이해를 위한 현장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간은 눈에 보이는 지리적이고 물리적인 것뿐만 아니라 해당 공간을 생활하는 주체들의 일상과 사회·문화적 배경을 담고 있다. 따라서 주체들이 만들어 내는 물리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이 모두 담겨 있는 공간을 분석하는 것은 문화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문화 학습 내용 마련에 도움 줄 수 있으며, 이는 언어를 사용하는 실세계 장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거리감을 낮춰줄 수 있다.
문화를 담고 있는 공간을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활용하기 좋은 활동 중 하나는 현장학습이다. 현장학습은 교실이라는 제한적인 공간을 벗어나 실제 학습 목표, 학습 대상과 접촉하며 근래 한국어 교육이 추구하는 언어 능력과 문화 능력의 통합 교육이 이뤄질 수 있는 효과적인 실세계 교수 방안이다. 하지만 통합 교육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언어 능력을 사용하기 이전에 해당 공간의 전반적인 문화를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장학습 공간의 문화 이해를 돕기 위해 공간을 한국문화 교육의 시각과 같은 맥락으로 분석하는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 내 공간생산 요소(공간 재현, 공간적 실천, 재현 공간)를 활용하고자 했다. 르페브르의 공간 생산 요소를 활용하는 것은 대상 공간의 전반적인 문화 이해를 돕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르페브르의 공간생산 요소(공간 재현, 공간적 실천, 재현 공간) 중 공간 재현을 통해 노량진 공간의 중심 지역인 역사 주변을 살펴보면 공간 재현을 통해 노량진 공간 형성에 영향을 준 상위 계층들의 도시 계획과 이로 인한 노량진 사회문화의 변화 모습을 알 수 있다. 공간적 실천을 통해서는 대상 공간의 주요 주체인 학원생들과 수산물 시장 상인들의 일상 문화를 파악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재현 공간을 통해서는 공간의 주체들이 더 나은 공간과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상위 계층들의 계획에 저항하는 움직임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세 가지 요소들을 통해 노량진 공간을 분석하고 문화 관련 내용을 정리하는 것은 이후 노량진 공간의 한국문화 현장학습 내용 구성, 교실 수업과 연계되는 진행 단계와 현장학습 코스 구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 교육에서 효율적 실세계 활동 방안이지만 내용 구성과 단계 진행에 있어 구체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은 현장학습을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으로 접근하며 한국문화 현장학습 내용 마련에 새로운 시각을 제안하였다는 점과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주체들의 일상 문화가 공간에 잘 반영되어 있지만 그동안 한국문화교육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노량진 공간을 중심으로 현장학습 방안을 구성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