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의 정도부사 사용양상과 교육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thesis is examined about the usage of degree adverbs for korean learners and prepare the education methods to help more fluent communication skill. The research method is examined what is the learners’ preference of adverbs and the learners...

This thesis is examined about the usage of degree adverbs for korean learners and prepare the education methods to help more fluent communication skill. The research method is examined what is the learners’ preference of adverbs and the learners’ necessity of adverbs by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fifty seven intermediate level learners in Korea and twenty three native speakers. The surveys are asked if the learners have an ability to select right degree adverbs in the sentences, the preference of the degree adverbs in many college textbooks, an ability to use various a synonym degree adverbs, recognition and an ability to use the degree adverbs that is not frequently used in the textbooks, and their necessity of adverbs. The respondents are mostly the students, the office workers, and housewive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are the stude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eference of adverbs in the sentence which is included comparative destination is ‘aju〉jeongmal〉jeil〉gajang〉jogeum〉deo〉neomu〉maeu〉cham’. It showed that the most learners have a difficulty to distinguish the comparative degree adverbs and not comparative degree adverbs. Also, it showed that the learners’ preference of the degree adverbs that are often used in college textbooks is ‘aju〉jeongmal〉neomu〉deo〉jinjja〉goengjanghi〉kkwae=doege=cham=jogeum〉sangdanghi〉gajang’. Though it is appeared the same preference of native speakers as korean learners, the order of the preference is different. Also, it showed 36.1% of learners responded ‘unknown’ about the degree adverbs in two college textbooks, and 55.7% responded ‘unknown’ about the degree adverbs in one college text book. 84.2% of respondents answered ‘yes’ about the necessity of educating the degree adverbs. According to this result of survey, the most learners need various educations about the degree adverbs. I suggest the education methods of the degree adverbs with the result of survey. First, it is learned naturally to change the degree adverbs in posterior parts when it is frequently repeated in anterior parts of the textbook. Second, it is set on the basis of the degree adverbs’ times after consider preference of leaners and native speakers. Third, it is to make the leaners to use unfamiliar synonyms when they use the preferred degree adverbs. The meathod is to use ‘game’ to learn various degree adverbs. Forth, it is to learn connected with degree adverbs to use before when educate not preferred degree adverbs. Lastly, it is to use literary work to learn various degree adverbs. These education methods help the learners to use various degree adverbs and to development communication skill. The more education methods need to be researched by educators to improve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 The key words: degree adverbs, preference, the comparative degree adverbs, synonym, education methods.

본 논문에서는 한국학습자들의 정도부사 사용양상을 알아보고,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급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정도부사 사용양상을 알아보고,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급 수준에 있는 외국인학습자 57명과 모국어화자 2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해서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정도부사와 정도부사에 대한 요구분석을 파악한다. 설문의 내용으로는 비교대상을 가지고 있는 문장 안에서 학습자들이 비교대상 정도부사를 선택하는데 있어서의 사용 능력, 여러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자주 출현하는 정도부사 중에서 선호도에 대한 것, 유의어 정도부사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대학 교재 등에서 자주 언급되지 않는 정도부사에 대한 인식정도와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파악하는 것으로 한다. 설문에 응한 학습자들은 학생과 직장인 그리고 주부로 구성되어있는데, 가장 많은 응답자는 대학교에 학업목적으로 온 학습자들이다. 응답결과를 보면, 비교대상을 포함하는 문장에서 선호도를 보면 ‘아주〉정말〉제일〉가장〉조금〉더〉너무〉매우〉참’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 대부분이 비교대상 정도부사와 비교대상이 아닌 정도부사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능력이 부족했다. 대학 교재에서 자주 언급되는 정도부사에 대한 선호도는, ‘아주〉정말〉너무〉더〉진짜〉굉장히〉꽤=되게=참=조금〉상당히〉가장’ 순으로 결과를 보였다. 모국어화자에게서 선호도가 높은 것들이 외국인학습자들에게도 나타났지만 선호도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대학기관 교재 2권 정도에서 언급되는 정도부사에 있어서 ‘모른다’는 응답이 36.1%이고, 대학기관 교재 1권에서 언급되는 정도부사에 대해 ‘모른다’는 55.7%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학습자의 정도부사 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는 ‘교육에 대한 찬성’에 응답자의 84.2%가 ‘예’라고 대답했다. 이런 결과물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정도부사에 대한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 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도부사 교육방안은 첫째, 교재의 앞부분에서 정도부사가 반복해서 언급이 될 때 , 뒷부분에서는 앞에서 사용한 정도부사와 교체함으로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습득 할 수 있게 한다. 둘째, 교재에 외국인학습자들의 선호도와 모국어화자의 선호도를 고려해서 정도부사의 사용횟수에 대한 기준을 정한다. 셋째, 선호도가 높은 정도부사를 표현 할 때, 자주 사용되지 않는 유의어 표현도 함께 표현함으로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방안으로, 게임을 활용해 유의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자주 사용하지 않는 정도부사를 교육할 때, 앞에서 배운 정도부사를 연계해서 활용함으로 사용을 익히도록 한다. 다섯째, 문학을 활용함으로 정도부사의 사용을 익힌다. 위와 같은 교육방안을 통해 학습자로 정도부사의 활용을 높이고 의사소통향상에 도움을 주고자함이 연구의 목적이다. 학습자의 의사소통향상을 위해 앞으로 더 다양한 교수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핵심어: 정도부사, 선호도, 비교대상, 유의어, 사용빈도, 교육방안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