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신체상과 성생활의 영향요인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body image, sexuality and related factor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stoma. This study tried to provide a baselin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germane to body image and sexuality af...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body image, sexuality and related factor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stoma. This study tried to provide a baselin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germane to body image and sexuality after stoma formation.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applied with 102 ostomates using self- questionnaires from June to November in 2015.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body image scale(BIS), The Derogatis interview for sexual functioning self (DISF-SR), and ostomy-related problems selected from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loRectal Cancer Module(EORTC-QOL-CR29.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Pe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body image and sexuality with SPSS/WIN 20.0 program(IB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erception of the body image of the ostomate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as intermediate level on average 14.20 ± 7.51 (range 0-30).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men and women for more detailed items, women had more negative body image than men.
2. The mean score of sexuality was low at 23.27 ± 7.91(range 20-75).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men and women for the five domains of sexuality, the men had the higher scores than women in the domains of sexual cognition/fantasy(t = 3.67, p <.001), and sexual arousal(t = 4.33, p <.001).
3. The relation among body image and sexuality to ostomy-related problem was examin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ostomy-related problem and sexuality (r=.33, p=.001). More severe ostomy-related problem was linked to more negative body image.
4. The influencing factors for body image were need for preoperative sexual education and sexual counseling(t = -3.07, p = .003), and clinical stage II of colon cancer (t = -2.79, p = .006). The men had more negative body image with severe ostomy-related problems(t = 3.37, p = .001), and the women had negative body image if the caregiver was a spouse (t=3.25, p=.004).
5. The influencing factors for sexuality was educational level(college education or more)(t=1.99, p=.02). Marriage duration(t= -3.02, p = .004), education level(t= -2.27, p= .028), and postoperative sexual education and sexual counseling(t = 2.18, p = .03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en. There was no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s for sexuality in women.
This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stoma had negative body image. My findings demonstrated that patients need nursing interventions to help adapt to changed body image by preoperative educa tion. Further study should consider physic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aspects that influence on body images of patients with a stoma. In addition, the sexual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ostomates should be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gender characteristics. The tailored counseling and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support women ostomates who tend to hesitate to open up their sexual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장루를 보유한 대장암 환자들의 신체상과 성생활을 파악하여 관계를 분석하고 신체상과 성생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장루조성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신체...

본 연구의 목적은 장루를 보유한 대장암 환자들의 신체상과 성생활을 파악하여 관계를 분석하고 신체상과 성생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장루조성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신체상과 성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간호 중재를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소재 E병원과 Y병원에서 대장암을 진단받고 장루조성술을 시행받은 환자에게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설명을 한 후 연구에 동의한 10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15년 6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 작성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신체상의 측정도구로 김창엽(2013)이 수정·보완한 Hopwood, Fletcher, Lee, & Al Ghaza(2001)의 개발도구를 사용하였고, 성생활 측정도구로는 Derogatis(1997)가 개발한 성기능 자가보고 도구인 The Drogatis Interview for Sexual Functioning Self Report(DISF-SR)를 본 연구자가 한국어 번역작업을 한 후 전문가 감수를 거쳐 검증을 한 후 사용하였으며,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loRectal Cancer Module(EORTC-QOL-CR29)의 장루관련문제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검정, 분산분석, 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신체상 손상에 대한 인식정도는 평균 14.20±7.51(범위 0~30)로 중간 수준이었고, 세부항목에 대해 남성과 여성을 비교한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의 신체상이 더 부정적이었다.
2.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성생활 평균 점수는 23.27±7.91(범위 20~75)로 낮았으며, 성생활의 5개 영역에 대해 남성과 여성을 비교한 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성생활 하부영역인 ‘성적 인지/환상’(t=3.67, p<.001), ‘성적 흥분’(t=4.33, p<.001) 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3.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장루관련문제, 신체상, 성생활과의 관계에서 장루관련문제와 신체상(r=.33, p=.001)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장루관련문제가 심할수록 신체상이 부정적이었다.
4. 신체상의 영향요인은 수술 전 성교육 및 성상담 필요성(t=-3.07, p=.003)과 2기 병기(t=-2.79, p=.006)였고, 남성의 경우 장루관련문제(t=3.37, p=.001)가 많을수록, 여성의 경우 장루관리자가 배우자(t=3.25, p=.004)인 경우 신체상이 부정적이었다.
5. 성생활의 영향요인은 대졸 이상의 학력(t=1.99, p=.02)이었으며, 남성의 경우 결혼기간(t=-3.02, p=.004), 고졸 학력(t=-2.27, p=.028), 수술 후 성교육 및 성상담 필요성(t=2.18, p=.033)으로 확인되었으나, 여성의 경우 확인된 성생활 영향요인은 없었다.
연구결과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신체상은 부정적이며 수술 전 교육을 통해 신체상 변화에 적응을 돕는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하며, 향후 장루보유자의 신체상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문화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반복 연구 및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찾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장루보유자를 위한 성생활 상담이나 교육 시 성별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하며 성문제를 노출시키는 것을 주저하고 꺼려하는 경향을 보이는 여성 장루보유자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간호 중재가 제공되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