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구어에서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강조 정도부사와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정도부사를 대상으로 구어 말뭉치를 통하여 한·중 정도부사와 피수식어의 공기 관계를 대조함으...
본 연구는 한국어 구어에서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강조 정도부사와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정도부사를 대상으로 구어 말뭉치를 통하여 한·중 정도부사와 피수식어의 공기 관계를 대조함으로써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비슷한 의미의 정도부사를 잘 구분하여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한·중 정도부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며 본 연구의 연구 방향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도 같이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 정도부사 전체를 대상으로 다루는 대표적인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서 한·중 정도부사의 정의와 기능, 그리고 하위분류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그 다음에 의미 운율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의미 운율의 정의 및 분류, 그리고 의미 운율에 관한 선행 논의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중 정도부사의 대조 체계의 설정에 대하여 다루었다. 먼저 기존의 사전에서 한국어 정도부사 '되게, 너무, 아주, 굉장히'에 대한 제시 상황을 살펴보고, 사전이나 연구자의 직관에 의하여 대응되는 중국어 정도부사를 설정하는 데 한계점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한·중 드라마 병렬말뭉치를 사용하여 '되게, 너무, 아주, 굉장히'에 관련된 모든 용례를 분석하여 가장 높은 빈도로 대응되는 중국어 정도부사를 '很,挺,好,太,非常' 5개로 한정하여 대조 체계를 설정하였다.
4장에서는 국립국어원 언어정보나눔터에 등재된 21세기 세종 균형 말뭉치 중의 현대구어 형태분석 말뭉치와 중국 베이징 대학에서 구축한 CCL 말뭉치 중의 당대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중 정도부사와 공기할 수 있는 피수식어를 품사별로 계량적 분석하였다. 그 다음, 실제 구어 말뭉치에 나타나는 용례를 분석하면서 구체적으로 형용사, 동사, 부사, 명사, 관형사 등 5가지 유형의 피수식어와 공기함에 있어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대조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중 정도부사와 공기할 수 있는 피수식어의 특성과 개별 정도부사의 공기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한국어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를 줄일 수 있겠다.
5장에서는 대용량 구어 말뭉치에서 한·중 정도부사와 자주 공기하는 피수식어를 대상으로 한·중 정도부사의 피수식어에 대한 선호도와 자주 공기하는 피수식어의 영향으로 한·중 정도부사가 나타나는 의미 운율에 대하여 대조 분석하였다. 먼저 한·중 정도부사와 공기하는 피수식어 중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 15개정도의 피수식어를 목록화하여 이들 피수식어의 특성을 대조 분석함으로써 한·중 정도부사가 피수식어에 대한 선호도에 있어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지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개별 정도부사의 상위 목록에만 나타나는 피수식어도 같이 살펴보았다. 이어서 평균 빈도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즉 정도부사와 연어성이 높은 피수식어를 대상으로 정도부사와 공기하여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중 정도부사의 의미 운율을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의미 운율에 있어서 어떠한 대응 관계를 이루고 있는지도 같이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앞의 논의의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밝혔다. 기존의 대조 연구와 달리 처음으로 대용량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계량적 분석과 구체적인 용례 분석을 결합하여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중 정도부사와 피수식어의 공기 관계를 대조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공기 관계에 있어서 단순히 품사별 공기 제약을 대조 분석했을 뿐만 아니라 의미 운율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y contrasting the co-occurrence rel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egree adverbs and modifiees through the corpus of spoken language targeting degree adverbs used very frequently 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