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발화 동사의 의미 분류 체계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emantic features of Korean Utterance Verbs for establishing the Korean Utterance Verbs category. The correlation of semantic features with syntactic structures is identified it as belonging to a particular verb class. 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emantic features of Korean Utterance Verbs for establishing the Korean Utterance Verbs category. The correlation of semantic features with syntactic structures is identified it as belonging to a particular verb class. The actual meaning of individual verbs is related to contextual factors including participants relations, and utterance situation. The study particularly was verified a basic meaning of each utterance verb through semantic analysis. As a result, the semantic system of Korean Utterance verbs provided that semantic featur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lexical meaning. In chapter 2, the category of Utterance verbs is semantically established. The study examined the Utterance verbs propert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conceptual meaning, syntactic structure, and contextual inform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semantic system of Korean utterance verbs, the list of utterance verbs are provided. The criteria for Utterance verbs are provided for setting limits utterance verbs to 178 which are based on Korean native words and Sino-Korean words in contemporary Korean vocabulary. The top ontological concept of <Communication> is inherited its concept to the domain category of <Utterance> verbs which involved speakers and listeners communicate in verbal language for transferring some messages within contextual situation. In chapter 3, the semantic analysis of individual utterance verbs is attempted at verifying a basic meaning of each verb. As a result of the semantic analysis, the basic meaning of individual verbs is identified and the distinctions between polysemy and homonym is realized. In chapter 4, the utterance verbs are classified into lexical meaning which based on semantic properties of individual words. The semantic properties affect syntactic structures which related to NP arguments, complement clauses and adverbs on the individual verbs. The co-occurrence information what is called syntagma rel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semantic properties of each verb. The main factors of semantic features are utterance messages and utterance participants so that the semantic classification is attempted by the those criteria. As a matter of fact, the lexical meaning properties are correlated to syntactic structures. It shows the interface between lexicon and syntax in natural verb class. In 5 chapter, the semantic system of utterance verbs is established which based on the basic meaning of individual verbs. The distinctive features are provided the three kinds of aspects of lexical, syntactic, and pragmatic meaning. Those distinctive features are semantically divided into inclusion, synonym, and antonym relation which related to semantic features of verb subtypes. Consequently, the semantic features are established semantic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utterance verbs. Key words: Utterance Verb, Lexical meaning, Semantic property, Syntactic structure, Contextu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peaker, Listener, Message, Utterance situation, Situation context, Basic meaning, Semantic analysis, Semantic feature, Semantic relation, Semantic system, Semantic classification system.

연구한국발화 동사의 범주를 확립하고 이들 동사들이 지니는 의미 특성을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화 동사의 의미 속성이 통사 구조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실제 맥락 ...

연구한국어 발화 동사의 범주를 확립하고 이들 동사들이 지니는 의미 특성을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화 동사의 의미 속성이 통사 구조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실제 맥락 요소가 의미 해석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파악하였다. 발화 동사의 의미 분석을 통하여 개별 동사의 기본 의미를 평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발화 동사의 의미적 분류 나아가 의미 체계를 수립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의 동사 체계 내에서 발화 동사의 의미 범주를 확립하고 발화 동사의 개념 및 범위를 한정하고 그것의 개념 의미, 구문 구조, 맥락 정보 특성을 살폈다. 기존 연구에서는 발화 동사가 보문을 선택하는 통사적 특징, 수행 의미를 지닌다는 화행적 특징에만 주목하여 발화 동사의 의미적 특징이 다소 간과되어 왔다. 본 연구는 발화 동사가 지니는 의미적, 통사적, 화용적 특징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발화 동사의 상위 개념으로 <의사소통>을 상정하였으며 여타 동사 부류(인지, 기록, 몸짓 동사)와의 시차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적, 형식적 기준에 의해 발화 동사의 범위를 한정하였고 계통별 발화 동사 목록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개별 발화 동사의 의미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상이 되는 개별 발화 동사의 기본 의미를 평정하였는데 대규모 사전의 뜻풀이를 바탕으로 동음이의어, 다의어 판별을 시도하여 개별 동사의 의미를 대표하는 기본 의미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의미 분석은 의미적 분류 및 의미 체계를 위한 기준이 되는 의미 단위를 상정하는 데 필수적인 작업이었다. 4장에서는 발화 동사의 의미적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는 기존에 구문적인 기준에 초점을 둔 것과는 달리 의미 특성에 중점을 두어 발화 동사와 결합하는 명사구 논항 특성과 보문의 의미 특성, 부사어와의 공기 관계를 살펴보았다. 발화 동사의 의미 특성을 보이는 중요한 요소로는 ‘발화 내용’과 ‘발화 참여자’가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의미적 분류를 시도하였다. 발화 동사의 의미적 분류를 통해 하위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특징을 고찰하였다. 발화 동사의 의미 속성은 구문 구조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개별 동사를 통해 입증하였는데 이는 어휘부가 통사부의 상관관계를 보이기 위한 시도였다. 실제로 발화 동사가 문장에서 실현될 때 명사구 논항뿐만 아니라 보문을 선택하는 특징을 지니는데 개별 동사의 의미에 따라 선택하는 결합 요소가 각기 다름을 밝혔다. 5장에서는 기본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 발화 동사의 의미 체계를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의미 자질 표시를 논하였고 아울러 하위 영역별로 공통 특성과 시차 특성을 살폈다. 발화 동사의 의미 변별을 위한 방법으로 계열적 정보 및 결합적 정보의 어휘 내적 정보뿐만 아니라 어휘 외적 정보인 화맥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였다. 발화 동사가 화자, 청자, 발화 상황을 전제로 하는 동사라는 점에서 맥락적 의미에 관여하는 요소들을 살폈다. 발화 동사의 의미 특성을 어휘, 문맥, 화맥 차원으로 구분하여 발화 동사의 의미 체계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의미 체계를 바탕으로 개별 동사 부류에서 나타나는 포함 관계, 유사 관계, 대립 관계를 살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