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중 판정의문문의 화행 의미에서 나타난 특징을 정리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한·중 판정의문문의 문화적 차이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것에 목표를 두었다...
이 논문은 한·중 판정의문문의 화행 의미에서 나타난 특징을 정리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한·중 판정의문문의 문화적 차이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것에 목표를 두었다.
판정의문문에 속하는 가부의문문과 선택의문문 위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또한 판정 의문문의 형태적, 담화적 특징의 차이를 접근하여 그 반응을 분석하였다.
의문문은 사람이 모든 세상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의문’을 잘 풀어나가기 위해 상대방에게 질문하는 것을 문법화 시키는 언어 형식이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의문문은 질문이 갖는 기능뿐 아니라 추측이나 의심, 확인, 요청, 감탄 등 다양한 화행적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
그리고 한국 판정의문문은 의문어미에 의하여 주로 문장 유형이 실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의문어미들이 의문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형태적 기능과 의미 기능도 같이 수행한다. 주어 인칭, 서술어 구도에 따라 같은 의문어미라고 할지라도 다른 의미 기능을 이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의문에서의 어미는 시제/상의 상대적인 문어체와 공기관계의 제한에서 많이 받기도 하고 적게 받기도 하는 어미도 있다. 이와 반대로 중국어 판정의문문(시비의문문)은 문장 끝에 연결된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가 한국어 의문어미보다 자유롭게 실현할 수 있다. 문장에서 어기조사는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문장에서 의문요소로 다른 어기조사를 의문문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의미 기능면을 생각하지 않으면 의문문에서 어기조사는 의문문의 기능으로써 꼭 필요한 요소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의문 어기조사가 주어 인칭, 서술어 성격에 제한 없이 자유롭게 쓰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선행연구 검토, 연구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중의문문, 한·중 대조연구 현황, 판정의문문의 사례들을 검토하고 연구방법을 논했다.
제2장에는 이론적 배경으로 의문문의 전체적 화행이 한국어 교육으로서의 가치를 논의하고 학자들이 제시한 정의를 검토하였다. 거시적인 측면에서 사회언어학을 다루는 것이 아닌 미시적인 측면으로의 사회언어학에 속하는 화행이 한·중 판정의문문에 나타난 형태적, 담화적인 관계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화행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와 정의를 논의 하였다. 또한 의문문의 정의와 유형을 나누고 유형에 맞는 학자들의 논의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 판정의문문과 중국 시비의문문을 같은 유형으로 보고 그 하위부류인 한국의 선택의문문과 중국의 정반의문문의 형태적 특징과 의미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중 판정의문문의 형태와 화행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화행에서는 직·간접화행과 담화적인 측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연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 분석한 내용을 정리하고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해 한?중 판정의문문의 화행 의미를 이해하게 하여 추후 실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주제어 : 한국어교육, 판정의문문, 한?중 대조 연구, 화행
The goal of this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act meaning of yes-no question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nd enhanc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in judgment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fro...
The goal of this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act meaning of yes-no question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nd enhanc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in judgment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Korean as foreign language. The discuss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yes-no and altern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both a form of a yes-no question, approached the differences morphological and textual characteristics of yes-no question and analyze their responses.
An interrogative sentence is a grammatized form of language in which we ask audiences to solve ““questions”” that arise from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world. During communication process, interrogative sentences not only function as purely asking questions but also performvarious speech-meaning acts such as speculate, doubt, confirm, request and exclaim.
Moreover, in a yes-no question in Korean language, the sentence type is determined at the end of a sentence. The sentence-ending interrogative syllable not only performs interrogative functions but also morphological functions as well. Also, depending on perspective and the nature of narrative language, the same sentence-ending syllable can perform disparate functions. In addition, some sentence-ending interrogative syllables are less constrained by tense and aspect in an integrated relationship with other writing rules while some are heavily limited by them.
Unlike yes-no question in Korean language, in interrogative sentences in Chinese language (right-wrong interrogative sentences), ? and ? interrogative root particles connected to the ending of sentence can be used more flexibly than in Korean counterpart. Root particles may or may not be used in a sentence. In a sentence without root particles, other elements can be used to build an interrogative sentence. If meaning-function is not considered, interrogative root particles are not an element that is absolutely needed to construct an interrogative sentence. Moreover, it is clear that interrogative root particles can be used with unlimited freedom regardless of the subject’s person or the nature of narrative.
In the preface, the goal of research, th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s and the method of research were suggested. First,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 and Chinese interrogative sentences, the status of comparative research in Korea and Chinese language and the cases of yes-no question were reviews and its research method was discussed.
In Chapter 2, as theoretical background, the value of overall speech-act of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discussed and the definitions offered by various scholars were reviewed.
Theoretical review and definition of speech-act was discussed to examine what kind of differences exist inthe context of morphology and discourse that appear in yes-no question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in terms of sociolinguistics from micro-perspective rather than from macro-perspective. Also, definition and type of interrogative sentences were classified and the discussions of scholars for each classification were presented accordingly.
In Chapter 3, judgment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were considered a same type in right-wrong interrogative sentences in Chinese language. Then, the suggested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I Korean language, its subcomponent, and right=wrong interrogative sentences in Chinese language.
In Chapter 4,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orphology and speech-act of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direct and indirect speech meaning and textual aspect in speech-act were analyzed. Finally, the contents of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summarized to draw and present conclusion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ould facilitate better understanding of speech-act in yes-no question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thus contributing to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Keyword: Korean language education, yes-no question,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speech act meaning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