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화제화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인간은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 도구인 언어를 통해서 정보를 얻거나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전달의 수월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게 된다. 그 중에 진술대상 문두배열이라는 어순구조는 강력...

인간은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 도구인 언어를 통해서 정보를 얻거나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전달의 수월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게 된다. 그 중에 진술대상 문두배열이라는 어순구조는 강력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에서 문장의 문두에 위치하는 요소를 화제라고 보고, 어떤 요소가 문장 문두에 이동하여 화제의 구실을 하게 되는 것을 화제화라고 한다.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명사구의 문법적 기능이 조사로 나타나기 때문에 각 논항들 간의 뒤섞임이 자유롭고, 화자가 말하고자하는 바를 문두로 이동하여 문장의 나머지 부분에서 이 문두성분에 대해 설명하는 화제구조가 비교적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중국어는 고립어로서 내부 형태의 변화가 없고 문법적 관계는 주로 어순에 의해 나타내기 때문에 화제화의 변형과정에서 제한을 받는다.
본고는 한국어에서 속격어와 목적어, 여격어 등 구문 내 논항의 화제화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화제화가 실현되는 방법과 특징을 비교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제1장에서는 지금까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의 화제와 화제화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본 다음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화제의 개념과 특성을 제시하고 화제, 주어와 화제어의 관계, 화제의 기능과 화제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자가 무엇에 대하여 무엇을 말한다고 할 때의 그 대상이 '화제'라고 한다. 주어를 화제인 것과 화제가 아닌 것으로 나눈다면 '화제주어'와 '비화제 주어'로 나눌 수 있고, 화제를 주어인 '주어 화제'와 주어가 아닌 '비주어 화제'로 나눌 수 있다. 화제화는 화제가 아닌 어떤 성분이 문장의 문두에 전출하여 보통 '-은/는'과 결합함으로써 화제가 되는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에서 속격어와 목적어, 여격어의 화제화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화제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속격의 주격 화제화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다 되는 경우와 다 안 되는 경우, 한국어에서만 되고 중국어에서 안 되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에 목적어의 화제화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다 되는 경우와 한국어에서만 되고 중국어에서 안 되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여격어의 화제화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다 되는 경우와 한국어에서만 되고 중국어에서 안 되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정리하고 남은 문제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Humans make great efforts for the convenience of delivery while obtain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through a language, the most important communication tool. Among the efforts, the word order structure called head position of statement object can be...

Humans make great efforts for the convenience of delivery while obtain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through a language, the most important communication tool. Among the efforts, the word order structure called head position of statement object can be a powerful tool. In Korean, elements placed at the front of the sentence are considered as a topic, and topicalization means that some elements serve as a function of topic by moving to the front of the sentence.
Since Korean as an agglutinative language presents grammatical function of noun phrases using particles, it is free to mix in each argument structure and topic construction explaining the constituents at the front of the sentence can be relatively freely constructed in the rest part of the sentence by moving what a speaker intends to tell to the front of the sentence. Because Chinese as an isolated language is not changed in morpheme and its grammatical relations depend mainly on word order, it is limited in transformation process of topicalization.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s to be topicalized by investigating the topicalization of argument structure including genitive, object, and dative in sentence structure and its corresponding aspect in Chinese.
   Chapter 1 revealed the purpose, range, and method of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studies on topic and topicalization in Korean and Chinese.
   Chapter 2 sugges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opic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topic-non subject, the function of topic, and topicalization.
It is said that 'topic' refers to the specific object when a speaker talks about something. The subject can be divided into 'topical subject' and 'non-topical subject' while the topic can be divided into topic as subject and topic as non-subject. Topicalization occurs when some non-topical constituents move to the front of the sentence, by usually having them combine with a particle -un/nun.
Chapter 3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topicalization in Chinese corresponding with the topicalization of genitive, object, and dative in Korean. First, the examination for subjective topicalization of genitive was divided into topicalization available in both Korean and Chinese, topicalization not available in both Korean and Chinese, and topicalization available not in Chinese but only in Korean. Next, the investigation for the topicalization of object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topicalization available in both Korean and Chinese and topicalization not available in Chinese but only in Korean. Finally, the investigation for topicalization of dative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topicalization available in both Korean and Chinese and topicalization not available in Chinese but only in Korean.
   Chapter 4 summarized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remaining problems and limitation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