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직업교육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변화 비교연구 : 한국폴리텍 다솜학교와 서울다솜학교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21stcentury Korea has been accustomed to the term,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re are 55,780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in 2013. The number is not able to be socially ignored, including the immigrated childr...

21stcentury Korea has been accustomed to the term,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re are 55,780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in 2013. The number is not able to be socially ignored, including the immigra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outside the public education.
The Government, in this situation, established Seoul Dasom School and Korea Polytechnics Dasom School in 2012 for vocational education. The two multicultural schools, becoming 4 years old in 2015, have been developed as the alternative schools which are in charge of a secondary school and a vocational school.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case study of the two schools to figure out the developed curriculum of the schools and the fundamental reason of changes, and to find out the methods to compensate the drawback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mmon and differentiated factors of curriculum changes in the two schools.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schools have allocated lots of time numbers to Korean language class for immigrated multicultural students and increased the specialized subjects, compared to that of school opening. This shows the success of graduate students’ career i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healthcare and psychological therapy for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have organized in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distinctiveness of multicultural students.
Besides, the two schools have conducted distinguishingly developing afterschool classe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t curriculum.
Moreover both school have held the annual instructor workshop for mutual feedbacks, and reflected the results in each curriculum.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several issues from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curriculum changes such as the subjects of establishment (public or private), geographical factors, students’ low linguistic ability, and insufficient standard academic level.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mmon and differentiated factors in two multicultural school’s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limitations and development directions in the curriculum.
At the same time, Tyler’s theory who is a representative in tradi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nd Banks’ theory about multicultural curriculum reorganization approach were applied to the curriculums of the two schools.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essential points and operational methods when the increasing multicultural school constitutes the curriculums and to provide the considered points for Education Office to approve the multicultural schools.

‘대한민국은 단일민족’이라는 가르침을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던 시대에서 이제는 다문화사회라는 말이 익숙하게 들리는 시대로 한국사회는 들어섰다. 교육부는 2013년 55,780명의 다문화가...

‘대한민국은 단일민족’이라는 가르침을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던 시대에서 이제는 다문화사회라는 말이 익숙하게 들리는 시대로 한국사회는 들어섰다. 교육부는 2013년 55,780명의 다문화가정 학생 수를 발표하였고, 학교 밖 중도입국 다문화청소년들까지 포함하면 그 수가 사회적으로 간과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이런 현상 속에서 정부는 직업교육을 근간으로 하는 서울다솜학교와 한국폴리텍 다솜학교를 2012년에 개교시켰다. 2015년 올해 4년차가 되는 두 다문화 학교는 취업을 준비하는 직업형 학교이면서 ‘중등학교’, ‘대안학교’ 등의 수식어가 붙는 특수성을 지닌 대안학교가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두 학교의 교육과정 변화 사례연구하여 개교 시부터 4년에 걸쳐 두 학교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변화시켜왔고, 그 이유와 이를 보완하는 요소들을 찾아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두 학교 교육과정 변화의 공통점과 차별적인 요소는 무엇인지도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 분석 결과 두 학교 모두 중도입국 중심의 다문화학생들을 위해 한국어 수업을 수준별로 많은 시수를 배당하고 있었으며 취업 지원을 위한 전문교과를 개교 시보다 많은 단위를 늘려 배치한 것도 나타났다. 이는 졸업생들의 진로에 대한 성패 등이 전문교과 시수에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다문화학생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심리 정서적 안정을 위한 보건 및 심리 치료 등을 교육과정에 편성하고 있었다. 더불어 두 학교는 기숙형학교 또는 비기숙형 학교로서의 각기 특징을 살려 방과후 수업 및 창의적체험활동 등을 특색 있게 개발하여 교육과정을 보완하고 있음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두 학교는 매년 교직원들의 공동 워크숍을 통해서도 교육과정에 대한 상호 피드백을 통해 교육과정 변화에 반영하고 있음을 알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교육과정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소에서 공립과 사립의 설립주체에 따른 교원 운영, 서울과 지방의 지리적 요소, 학생들의 언어적 문제와 기초학력 부족에서 기인한 교과목 편성의 변화 등을 찾아냈다.
이에 두 다문화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변화에 있어 공통적인 요소와 차별적인 요소를 비교 분석하고 각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에 한계점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전통적인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대표자인 타일러(Tyler)의 이론과 뱅크스(Banks)의 다문화적 교육과정 개편 접근법 이론을 토대로 두 학교의 교육과정 변화를 투사시켜 보았다.
더불어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늘어가는 타 다문화 대안학교들의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 고려해야 할 중점사항과 운영방법, 그리고 보완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텍스트가 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교육부 및 교육청의 다문화 학교 인가 시 잣대가 될 수 있는 한국어 수준별 수업이나 교과 교원의 확보, 교육과정 운영의 타당성 등을 판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