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실정에 맞는 한국어 교육실습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에 대한 요구조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통합프로그램... 본 연구는 한국의 실정에 맞는 한국어 교육실습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에 대한 요구조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세 그룹, 즉 교육실습 수강자,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강사, 사회통합프로그램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세 그룹 모두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의 도입 및 참가에 찬성하는 비율이 높았고 특히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강사는 보충수업에서의 서비스러닝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요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서비스러닝을 효율적인 교과과정 구성에 대해 제안한다. 각 장별로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 장의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혔다. 한국어 교육실습이 교사를 양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짧은 실습 시간과 제대로 구비되지 않은 환경을 지적하면서, 한국어 교육실습의 개선방안으로서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을 제시하고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에 대한 요구 조사가 본 연구의 목적임을 밝히며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한다. 첫째,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에 대한 각 집단별 요구를 조사한다. 연구하는 대상은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세 그룹, 즉 교육실습 수강자,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강사, 사회통합프로그램 학습자에게 요구 조사를 실시한다. 둘째, 교육실습 수강자,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강사, 사회통합프로그램 학습자의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의 효율적인 실시 방안에 대해서 제언한다. II 장의 이론적인 배경에서는 서비스러닝,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용어를 정의하고 서비스러닝의 이론적 관점과 서비스러닝 관련 연구, 사회통합프로그램 관련 연구 등 선행연구를 고찰한다. 미국, 일본, 한국에서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서비스 러닝의 실시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 실습 제도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III 장의 연구 방법에서는 본 연구에서의 요구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절차에 과한 논의로서 연구 대상과 방법 및 설문 조사 분석 방법 등을 밝혔다. 연구대상별로 설문지의 문항 구성을 표로 나타내고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IV 장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해 나타난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에 대한 요구를 빈도 분석을 사용하여 표로 제시하고 질적 보완이 필요한 질문에는 후속적으로 전화 인터뷰를 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V 장 결론 및 제언에서는 본고의 연구 방법 및 절차와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 대상이 되었던 세 그룹 모두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러닝의 도입 및 참가에 찬성하는 비율이 높았고 특히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강사는 보충수업에서의 서비스러닝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서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의 운영자 및 교육실습 수업 교습자의 요구 조사와 법률적인 측면에서 서비스러닝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실습의 가능여부에 대한 검토 등을 제안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