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의어 '잡다' 교육 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icient method of the educational plans of the verb 'Japta' for Thai learners of Korean. As 'Japta' is highly polysemic, foreign learners frequently have difficulty learning it. In particular, many Thai l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icient method of the educational plans of the verb 'Japta' for Thai learners of Korean. As 'Japta' is highly polysemic, foreign learners frequently have difficulty learning it. In particular, many Thai learners of Korean have difficulty in learning 'Japta' because 'Japta' has 25 meanings while its Thai counterpart 'จับ[ca:b]' has just 7 meanings. Thus,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to efficiently teach the meanings of 'Japta' for Thai learner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an efficient method of the educational plans of 'Japta' for Thai learners of Korean.
First of all, this study clarifies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the Korean verb 'Japta' and its Thai counterpart 'จับ[ca:b]' by looking at their dictionary meanings and examining and contrasting their prototypical and extended meanings. Also, after consider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educational plans of the polysemic verb 'Japta' by analyzing some textbooks of Korean, this study analyzes the frequency of its usage in the Dictionary of Semantic Frequency, some textbooks of Korean, and the 21stSejong Project for Balanced Corpus based on the semantic items of the Yonsei Dictionary of Korean, and presents and arranges the meaning-based learning steps for the polysemic word 'Japta' after carrying ou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a number of Thai learners of Korean.
This study takes it as desirable to first teach the semantic items more frequently encountered and used in actual life for Thai learners. This is because it is more effective for actual communication to first teach semantic items with frequent usage if difficulty levels of learning and other conditions are similar. As the higher a word’s frequency of usage, the more increased the necessity of learning,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ose semantic items of the polysemic word 'Japta' that show high frequencies. That is to say, each semantic item of the polysemic word 'Japta' is primarily determined for learner levels on the basis of the ranks of the overlapping of its semantic items in the textbooks of Korean, and its semantic frequency ranks found in the 21st Sejong Project for Balanced Corpus. Furthermore, the study investigates the Thai learners’ semantic recognition of 'Japta'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second list of semantic learning in considering their recognition of each mea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lso,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identifies and analyzes the reasons of the difficulty in learning 'Japta', the necessity and requirement of the semantic learning etc.,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t puts forth the learning list of 'Japta'–related constructions and representative example sentences to provide supporting data for the contents of learning with respect to 'Japta'. Then, in order to present the class model for each level, this study proposes an appropriate and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the polysemic verb 'Japta' for Thai learners in terms of constructions and example sentences of 'Japta' and 'จับ[ca:b]' based on the four types of expressions including general phrases, collocations, semi-idiomatic phrases, and idiomatic phra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class models for the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ith the educational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learners who are native Thai speakers.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its educational method, this study has carried out an experiment with some Thai learners using the intermediate level class model among other models. In the experiment, the Thai learners’ semantic recognition, the aspects of their acquisition of meaning, and their response to the experimental class have been observ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the final learning order of 'Japta' appropriate and effective for Thai learn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and proposes an efficient method of the education of 'Japta' for Thai learners of Korean. More effective teaching is expected for the polysemic word 'Japta' if the semantic learning order for 'Japta' proposed by this study is applied to actual scenes of the education of Korean for Thai learners.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the educational plans of polysemic words for Thai learners in general.

본 연구는 태국한국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동사 ‘잡다’ 다의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잡다’는 다의성이 많은 동사로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학습하는 데 어려움...

본 연구는 태국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동사 ‘잡다’ 다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잡다’는 다의성이 많은 동사로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다. 특히 한국어 ‘잡다’가 25가지 의미를 가지는 데 비해 태국어 ‘จับ[ca:b]’가 7가지 의미만을 가지기 때문에 많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잡다’의 학습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잡다’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교수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잡다’의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잡다’와 이에 대응하는 태국어 ‘จับ[ca:b]’의 사전의미를 살펴보고 원형의미 및 확장의미를 검토, 대조함으로써 대응 관계를 밝혔다. 또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다의 동사 ‘잡다’에 대한 교육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본 후, 『연세 한국어 사전』의 의미 항목을 기준으로 『의미 빈도 사전』, 한국어 교재, 『21세기 세종계획 균형 말뭉치』의 사용빈도를 분석하고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의어 ‘잡다’의 의미별 학습 단계를 제시하여 배열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인 학습자를 위하여 실제 생활에서 더 자주 접하고 많이 사용하는 의미 항목을 먼저 가르치는 것이 좋다고 보았다. 학습상의 난이도나 여타의 조건이 비슷하다면 사용빈도가 높은 의미 항목부터 가르치는 것이 실제 의사소통을 위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다의어 ‘잡다’의 높은 사용빈도를 보인 의미 항목을 살펴보았다. 즉 『의미 빈도 사전』에 나온 빈도순위, 한국어 교재에서의 ‘잡다’ 의미 항목 중복도 순위, 『21세기 세종계획 균형 말뭉치』에 출현하는 ‘잡다’ 의미 빈도순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의 동사 ‘잡다’의 각 의미 항목을 수준별로 1차 선정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태국인 학습자의 다의어 ‘잡다’의 의미 인지도를 조사하고 그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의미 학습 목록을 2차적으로 선정, 제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잡다’ 의미 학습이 어려운 원인, 의미 학습의 필요성, 요구 등을 확인하여 분석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의미 학습 순서, ‘잡다’ 관련 결합구성 학습 목록, 대표 예문을 제시하여 ‘잡다’와 관련하여 학습할 내용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수준별로 수업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각 의미 항목에 따라 한국어 ‘잡다’와 태국어 ‘จับ[ca:b]’의 대응되는 표현, 일반구절, 연어, 상용구절, 관용구절 네 가지 유형에 따른 결합구성, 대표 예문 등을 통해 태국인 학습자들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인 다의 동사 ‘잡다’ 교육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에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여 초·중·고급 단계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교육 방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 중 중급 수업 모형을 이용하여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태국인 학습자의 의미 인지도와 의미 습득 양상, 실험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등을 살펴보았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태국인 학습자들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인 ‘잡다’ 의미 학습 순서를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잡다’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의미 학습 순서를 태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에 적용한다면 ‘잡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태국인 학습자 대상의 다의어 교육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