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classified as "predicative case marker" by current Korean grammar regulation and object the 'ida', which is classified as part of the predicate, from Korean Educational expression grammar to examine the use of 'ida' construction in aspec...
This study is classified as "predicative case marker" by current Korean grammar regulation and object the 'ida', which is classified as part of the predicate, from Korean Educational expression grammar to examine the use of 'ida' construction in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it aims at organize the contents of the 'ida' construction, which is suitable for Korean education field, and style of efficient description to present.
Currently, about the 'ida' construction in Korean linguistics field is still controversial and a discussion on the grammatical category set of 'ida' is not even over yet.
The current study can be seen as start from be concern about this 'ida' construction and, currently, most types of 'ida' construction is the phrase that is sugges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s "A eun/nun B." or "A i/ka B".
However, from a real Korean utterance situations, 'ida' constructional sentences occurs and show in various way, then it discovered to contain a variety of means and functions.
Eventually, when the end goal of Korean learners have related for increase of communication skills, the problems required to be concerned the level of language education at least once. If it aims the reality of contents for the education were considered, this information is required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the basis of such research in the following order: from the discourse on the actual phrase used aspect the 'ida' construction, the present condition of 'ida' construc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rror data analysis of 'ida' constructio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conducted.
In Chapter I, prior to beginning the stud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have summarized for reference, summarized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methods associated with this study.
In Chapter II, about the modern Korean language 'ida' construction, how to accept the 'ida'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organized how to approach the theory and presented the organized theory related to grammar education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ed the study.
In chapter III, in the case of the Korean Education, present the plan of 'ida' construction education, the base data of sentence error have collected for learners to attempts analysis, then present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work, the study was the opportunity to know the certain errors have been made by real Korean leaners about 'ida' construction.
In Chapter IV, based on the error analysis presented in Chapter III, the causes of typical errors occur to learners were searched and actual Korean discourse with the 'ida' construction from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examined the construction realizable aspects.
Through the study, the type of 'ida' construction that occur on the actual discourse as 'A eun/nun B' used as variety of means in addition to the basic meaning of the form. In the case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ida' has described and suggested and for the designated meaning with extra meaning of the 'ida' have found lack of virtually description.
Continually, in Chapter V, based on the issues mentioned in Chapter Ⅳ,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 plan has proposed for 'ida' construction in Korean Education.
Finally, in Chapter Ⅵ, the study has concluded the proposal of the implication and suggestion of the 'ida' construction in the Korean education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는 현행 국어 문법 규정상 ‘서술격 조사’로, 한국어 교육용 표현 문법에서는 용언의 일부로 분류되어 있는 ‘이다’를 대상으로 하여 ‘이다’ 구문의 사용 양상을 살피고 그 결과...
본 연구는 현행 국어 문법 규정상 ‘서술격 조사’로, 한국어 교육용 표현 문법에서는 용언의 일부로 분류되어 있는 ‘이다’를 대상으로 하여 ‘이다’ 구문의 사용 양상을 살피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다’ 구문을 한국어 교육적으로 어떻게 연결 지을 수 있으며 한국어 교육 분야에 어울리는 ‘이다’ 구문의 내용 정리 및 효율적인 설명 방식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재 ‘이다’ 구문에 대해서 국어학 분야에서는 여전히 논쟁거리가 되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이다’의 문법 범주 설정에 대한 논의는 끝이 나지 않은 상황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다’ 구문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다. 현재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되고 있는 ‘이다’ 구문의 유형은 “A은/는 B이다.”, “A이/가 B이다.”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 한국인의 발화 상황에서는 ‘이다’ 구문의 형태로 발생되는 문장이 매우 다양하고, 의미나 기능 면에서도 다양한 의미 및 기능을 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한국어 학습자가 목표하는 바라 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과 연결 지었을 때 언어 교육적 차원에서 한번쯤 고민해 봐야할 문제이며 실제성을 고려한 내용의 교육을 지향한다고 보았을 때 논의가 필요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담화상에서의 ‘이다’ 구문 사용 양상, 한국어 교육에서의 ‘이다’ 구문 제시 현황, 한국어 학습자들의 ‘이다’ 구문 오류 분석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를 시작하는 데 앞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 정리 및 연구 방법 등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현대 국어 ‘이다’ 구문에 대하여 국어학의 관점과 한국어 교육학의 관점에서 ‘이다’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피고, 본 연구와 관련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 교육과 관련한 이론을 정리하고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이다’ 구문 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는 학습자 오류 구문을 수집하여 분석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다’ 구문에 대하여 어떤 오류들을 범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에게 이러한 오류 유형이 발생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 원인을 찾아보고자 실제 한국어 담화와 한국어 교재에서의 ‘이다’ 구문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실제 담화상에서 발생되는 ‘이다’ 구문 유형이 ‘A은/는 B이다’ 꼴의 기본 의미 외에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과 한국어 교재에서 ‘이다’를 설명하고 제시함에 있어 ‘이다’가 갖는 지정의 의미 외의 의미에 대해서는 실질적인 설명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Ⅲ장에서 이루어진 오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등급별 ‘이다’ 구문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이다’ 구문이 갖는 의의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언하며 본 연구를 정리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