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한국어 ‘X하다’형 용언의 교육 내용 연구
본고는 ‘X하다’형 용언을 연구 중심 대상으로 하여 ‘X하다’의 어기 ‘X’를 범주화함으로써 ‘X’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한...
국문초록
한국어 ‘X하다’형 용언의 교육 내용 연구
본고는 ‘X하다’형 용언을 연구 중심 대상으로 하여 ‘X하다’의 어기 ‘X’를 범주화함으로써 ‘X’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한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X하다’형 용언의 교육 내용을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X하다’형 용언의 구성은 ‘X/하다’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데 한국어 교육에서는 ‘X’와 ‘하다’가 결합하여 용언이 형성되는 규칙을 알고, 이 결과 형성된 서술어 ‘X하다’가 문장 내에서 나타내는 의미적, 통사적 쓰임에 대해 바르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 ‘X하다’형 용언의 구성과 ‘X하다’의 어기 ‘X’에 대해 살펴보고, 어기 ‘X’의 형태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자립성, 품사, 어종, 음절수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서 ‘X’의 형태적 특성만으로 ‘X하다’형 용언이 문장 내에서 쓰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어렵고, 한국어 학습자에게 설명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적 측면에서 어휘 교육을 고려한 적절한 기준을 마련하여 ‘X하다’형 용언의 교육 내용을 구축하였다.
‘X하다’형 용언의 어휘적 특성과 ‘X하다’형 용언과 관련한 학습자 오류분석을 토대로 목적격 조사 ‘-을/를’에 의해 의한 어기 분리 가능성과 ‘안’ 부정문의 형태라는 두 가지 분류 기준에 입각하여 크게 ‘깨끗하다’ 유형, ‘공부하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심리 형용사에서 파생된 동사로 문장의 통사 구조의 변화가 나타나는 ‘좋아하다’ 유형, 의존적 성격으로 항상 관형형 어미와 함께 쓰이는 ‘-을 만하다’ 유형은 앞의 두 유형과 다른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따로 분류를 하였다.
그 결과 ‘X하다’ 유형은 ‘깨끗하다’ 유형, ‘공부하다’ 유형, ‘좋아하다’ 유형, ‘-을 만하다’ 유형의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깨끗하다’ 유형은 ‘*깨끗을 하다’와 같이 목적격 조사에 의한 어기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안’ 부정문의 경우, ‘안 깨끗하다’의 형태로 실현된다. 이러한 특성은 ‘깨끗하다’ 유형이 한 단위로서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하나의 어휘로 가르치는 것이 더 유용한데, ‘X’가 ‘하다’와 결합하여 형용사가 되는 어휘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공부하다’ 유형은 ‘공부를 하다’와 같이 목적격 조사에 의한 어기 분리가 가능하며, ‘공부(를) 안 하다’의 형태로 ‘안’ 부정문이 실현된다. 주로 명사 어기가 ‘하다’와 결합하여 동사가 된 어휘들로 이들은 문장 내에서 ‘공부하다’와 ‘공부를 하다’의 두 유형이 비교적 자유롭게 쓰인다.
다만 ‘공부하다’ 유형의 경우, 한국어 학습자들은 두 유형이 모두 가능하다고 여겨 관형어가 선행하는 ‘어려운 공부를 한다’의 경우에도 ‘*어려운 공부한다’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적 차원에서는 관형어가 선행하는 경우에 ‘공부를 하다’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
‘좋아하다’ 유형의 경우, ‘*좋아를 하다’와 같이 목적격 조사에 의한 어기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안’ 부정문의 경우 ‘안 좋아하다’로 실현된다. ‘좋아하다’ 유형은 심리형용사 ‘좋다’에 ‘-어지다’가 결합하여 ‘좋아하다’라는 동사를 형성하는데, 이 경우 통사적으로는 ‘(나는) -이/가 좋다’에서 ‘-은/는 -을/를 좋아하다’로 문형이 바뀌는 특징이 있다. ‘싫어하다, 슬퍼하다, 무서워하다, 아쉬워하다’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을 만하다’ 유형의 경우, ‘-을’과 ‘만하다’ 사이에는 부정 부사 ‘안’이 들어갈 수 없으며 이 둘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하나의 정형화된 어구(formulaic sequences)로 제시한다.
‘-을 만하다’ 유형은 그 성격에 따라 형용사적 성격이 강한 것과 동사적 성격이 강한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형용사적 성격이 강한 ‘-을 만하다’의 경우 ‘*먹을 안 만하다, *먹을 만 안 하다’와 같이 단형 부정형이 불가능하며 장형 부정인 ‘먹을 만하지 않다’만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동사적 성격이 강한 유형은 ‘-(으)ㄴ/는 체하다01, -(으)ㄴ/는 척하다’가 해당되며 ‘-(으)ㄴ/는 체를 하다01’, ‘-(으)ㄴ/는 체 안 하다01’가 가능하다.
‘X하다’형 용언의 네 가지 분류 중 ‘좋아하다’ 유형과 ‘공부하다’ 유형은 단어의 형성 방식을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것이 비슷한 원리에 의해 형성된 다른 어휘들의 문장 내 쓰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 논의를 통해 마련된 교육 내용을 기준으로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4종의 각 유형별 ‘X하다’형 용언의 제시 항목과 이와 관련된 문법 항목을 살펴보고, 각 교재별로 이들이 제시된 방식, 단어 형성 방법, 교수 내용과 교수 방식에 대한 것을 분석하고, 한계점과 보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