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중 교류가 활발해지는 요즘 양국에서는 서로의 언어를 구사하려고 하는 학습자 수가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두 언어의 학습자를 교육시킬 교육자가 나날이 필요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

한중 교류가 활발해지는 요즘 양국에서는 서로의 언어를 구사하려고 하는 학습자 수가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두 언어의 학습자를 교육시킬 교육자가 나날이 필요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외국으로서의 언어교육 분야에서는 같은 동양권에 속하는 한국어교육과 중국어교육이 뜻밖에 공통점보다는 차이점이 더 많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의 언어교육과정을 참고해 비교, 대비하면서 더 합리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한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와 중국에서의 중국어교육과의 학문적인 정책을 밝히고 소개했으며, 설립한 배경과 발전을 살펴봤다. 1986년에 창립된 국제한국어교육학회는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가장 선도적인 역할을 해 왔으며, 90년대 후부터 지금까지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이 더 널리 퍼지면서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한국어교육학이라는 학과도 개설하게 되었다. 이에 비해 외국어로서 중국어교육은 1950년에 설립하였지만 70년대 ‘대외한어학과(對外漢語專業)' 즉 대외중국어학과가 개설되면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을 본격적으로 확립하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제 Ⅲ 장에서는 한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정과 중국에서의 중국어교육과정을 4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하면서 비교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교육대상에 대해서 한국어교육과정의 현황과 중국어교육과정의 현황을 검토하여 비교했다. 교육대상에 있어 비원어민과 원어민을 구별하는 것이 큰 차이라고 봤다. 한국에서는 비원어민과 원어민을 구별하여 교육과정을 재수정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는 교육과목의 설계에 있어 한국어교육과정과 중국어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장단점을 분석했다.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서 먼저 교육대상에 있어 원어민과 비원어민을 구별하여 각자의 장단점에 맞춰 바람직한 언어교육 과목을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의 합리성을 확인했다. 대학원과정에서 기초과목이 필수과목으로 지정된다면 학과의 전문성을 더 보여줄 수 있다. 세 번째는 두 교육과정의 교육실습 제도를 알아보았다. 한국어교육과정에서 교육실습 시간이 짧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원자격증과 중국어교원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분석했다. 교원자격증을 취득하는 데에 중국어교육체계가 한국어교육체계보다 절자가 더 번거롭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민족 국가인 중국에서는 표준어 외에도 많은 방언이 존재하기 때문에 중국어교육자가 되려면 중국의 표준어인‘보통화’ 발음이 정확한지를 먼저 검토해야 한다. 그러므로 ‘보통화' 즉 표준어능력시험이라는 검증시험이 필요하다. 단일민족인 한국에서는 원어민인 한국인에게 이러한 표준어시험을 굳이 시행할 필요가 없지만 비원어민인 외국인에게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제대로 된 한국어교육자를 배양하기 위해서 말이다.
제 Ⅳ 장에서는 위의 비교분석한 내용을 전제로 한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정을 개선하고자 제안했으며, 학부와 대학원과정을 나눠서 교육과정을 재수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원어민과 비원어민 대상을 구별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과목을 선택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원어민 대상에게 한국어 언어능력을 제일 먼저 중요시해야 하며 ‘발음시험’이라는 공인 시험도 필요할 듯하다고 판단된다.
본고를 통해 국제 중국어교육과정의 정보를 알 수 있었으며, 또 한국어교육과정과 중국어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향후 한국어교육과정의 개선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while the communic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is getting closer.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there are more and more people want to master these two languages. In this case, an availabl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ajor of Teaching Korea...

while the communic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is getting closer.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there are more and more people want to master these two languages. In this case, an availabl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ajor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TKSL) is really needed. In this , I suppose to compare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KSL with the Major of teaching Chinese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TCSL) in order to find a best way to improve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KSL.
In the second chapter, the introduction of these two curriculums will be focused on. As we know, while the International Korean education instiute was founded in 1986,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was started. In the another side, the major of Teaching Chinese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was opened in 1950, but it was developing firmly until 1970s.
In the third chapter, the comparison of these two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focused on. There are four aspects in this chapter. The first point is to see the education curriculum is samely designed for native speakers and non native speakers, or designed in two different curriculums. The second point is to check subjects and courses in curriculums. The third point is to discuss the education intern system of these two curriculums. The last point is to compare the details of request how to get a certificate of language teacher.
In the fourth chapter, the improvement plan of the curriculum of Teaching Korea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will presented in this .

Key Words: Teaching Korea language as Second Language, native speaker, non native speaker, Teaching Chinese as Second Language, the Certificate of language teacher.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