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a classroom, stud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students by teacher, other students or audiovisual equipment for the classroom such as projection television and speakers. Also, acoustical environment of classrooms is a critical factor that effects...
In a classroom, stud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students by teacher, other students or audiovisual equipment for the classroom such as projection television and speakers. Also, acoustical environment of classrooms is a critical factor that effects study effici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So, classrooms should be designed to minimize acoustical barriers.
According to ‘Yearly Business Plan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4’, an educational policy that focussed on speaking and listening in English class is suggested powerfully unlike in the past. In addition, the number of students who belong to multi-cultural family increases gradually. So, these phenomenons are the reason why the acoustical environment of classrooms is important.
However, there are no standards of acoustic performances in classrooms in the present except for the standard of background noise, which is can't exceed 55 dBA in schools. So, precise measurement methods, acoustic performance indicators and guidelines of classrooms design considering acoustic environment are needed for study effici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acoustical performance measurements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that shape, interior and floor area are similar to those of other classrooms are performed. Also, correlations between two different acoustical performance indicators, reverberation time used in U.S., U.K., and other indicators such as C50, D50 and STI, are analyzed for applying appropriate acoustical performance indicators and determining optimal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sults showed that mean T30 at middle frequencies at 500 Hz to 2 kHz measured in 9 classrooms was about 0.75 s, which exceeds a regulation specified on American National Standards(ANSI); 0.60 s. Mean D50, C50 and STI were 60 % to 66 %, /2 dB to /3 dB, and 0.65.
2) In a classroom, the differences of T30 according to receiver points are measured as 0.01 s to 0.03 s, which are no longer than 0.05 s, Just noticeable difference. The maximum difference in D50 and C50 according to different receiver points in a classroom was 13 % and 2.5 dB, while the maximum difference in T30 was 0.03 s. As evaluating acoustical performance according to receiver points in a classrooms, it is expected that D50 and C50 are more useful indicators than reverberation time.
3) The differences of D50, C50 according to receiver points in a classroom are very similar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etween two indicators is R2=.9964, almost 1. It means that both indicators can be used to evaluate acoustical performance according to receiver points of elementary classrooms.
4) T30 and C50 were fitted well as logarithmic regression curve with R2=.9610. In case of T30 and D50, R2=.9570 at 1 kHz. It was /3.73 dB in C50 and 68 % in D50 which are the value corresponding to 0.60 s in T30 on this curv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T30 and C50, T30 and D50 could be used to determine standard of acoustic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5) Results of STI according to receiver points differ from the case of D50 or C50. The result of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C50 and STI showed that significance is low, R2=.1749. Henceforward, the measurement of STI according to signal to noise ratio and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 data and subjective evaluation will be needed for reliable results.
Based on above results, background noise and reverberation time can be used to evaluate acoustical environment of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generally. As applying the guidelines that minimize differences of acoustical performance according to location of listeners in a classroom, however, using only two indicators, background noise and reverberation time, could have problems. So, standards of reverberation time, D50 or C50 are needed for precise evaluation, besides standard of background noise, 55 dBA.
교실에서 학습정보는 주로 교사나 학생, 시청각 기자재에 의해 음성언어를 통하여 전달된다. 또한 교실 내 음향환경은 학생들의 학업능률 및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
교실에서 학습정보는 주로 교사나 학생, 시청각 기자재에 의해 음성언어를 통하여 전달된다. 또한 교실 내 음향환경은 학생들의 학업능률 및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교실은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 음향적인 장애 요소가 최소화 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의 2014년도 주요업무계획에 따르면, 외국어 수업의 경우 읽기, 쓰기 위주의 수업이었던 과거와 달리 말하기, 듣기 위주의 음성언어 중심의 교육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어로 이루어지는 수업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다문화가정의 취학아동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실은 교실 음향성능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에 마련되어 있는 교실 음향성능 관련 기준은 학교보건법에서 교사 내의 소음을 55 dBA로 제한하는 수준이다. 이에 구체적인 측정방법이나 평가지표, 음향성능을 고려한 교실 설계안 및 관련법안 등의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교실 음향성능 평가 시 평가지표 도입 및 적정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서 교실의 형태나 마감, 면적 등이 유사한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음향성능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평가지표의 특성을 분석하고 현재 미국과 영국에서 교실 음향성능 평가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잔향시간 및 그 외 실내음향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측정 대상 초등학교 9개 일반교실의 음향성능 실태 조사 결과, 평균 T30는 옥타브밴드 중주파수 대역 500 Hz ∼ 2 kHz에서 약 0.75 s로 조사되었다. 평균 D50와 C50의 경우 옥타브밴드 500 Hz ∼ 4 kHz에서 60% ∼ 66%, /2 dB ∼ /3 dB로 나타났으며, 신호 대 잡음비 15 dB 이상의 조건에서 측정한 평균 STI는 ‘Good’에 해당하는 0.65로 나타났다.
2) 동일한 교실 내 수음점 위치에 따른 측정결과, 교실 내 위치에 따른 음향성능의 분포를 확인하는 데에 있어 D50와 C50가 잔향시간에 비해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D50와 C50의 수음점 위치에 따른 JND 대비 차이가 유사하게 나타나 측정 대상 교실과 유사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국내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음향성능 평가 시 큰 특징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4) T30와 C50, T30와 D50의 상관관계가 대수적으로 표현될 때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미국 음향학회 잔향시간 권장 기준인 0.60 s를 도출된 C50와 D50의 대수 회귀식에 적용하면 각각 1 kHz 기준 /3.73 dB, 68%로 평가되었으며, 향후 기준 설정 시 참고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5) STI의 경우 교실 내 수음점 위치에 따른 상대적인 측정값의 차이가 D50와 C50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단순 선형 회귀분석결과 역시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미국과 영국에서 교실음향 평가 시 사용되고 있는 잔향시간과 배경소음 기준을 활용할 경우 전반적인 교실의 음향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동일 교실 내 청취자의 위치에 따른 음성명료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교실 음향설계안의 적용에는 분명히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현재 학교보건법에서 정하고 있는 배경소음기준 55 dBA 이외에도 잔향시간과 D50 혹은 C50를 교실 음향성능 평가지표로 도입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