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공익광고를 활용한 가치문화 교육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V 공익광고활용가치문화 교육 방안 연구: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에게 한국 가치문화 교육을 통한 상호문화 이해와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TV 공익광고활용한 가치문화 교육 방안 연구: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에게 한국 가치문화 교육을 통한 상호문화 이해와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교육 목표로 두고, 교실 수업에서 적절히 교육할 수 있는 수단으로 TV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성하여 연구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중도입국청소년은 한국에서 중장기 체류 혹은 영구 체류를 하며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해야 하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고는 그 문화권 사람들의 생각, 사회, 가치관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 가치문화 교육의 유의미한 교육 자료임을 확인하고 교육 매체로 선정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TV 공익광고를 활용한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치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한 이론적 논의를 살폈다. 우선 가치문화의 개념과 교육적 중요성을 명료히 하였고 중도입국청소년의 현황과 특성을 바탕으로 가치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중도입국청소년의 대표적인 교재인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총 4권)에서 가치문화 교육의 비중을 검토하고 실제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를 대상으로 가치문화 교육의 실태와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중도입국청소년이 가치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이 꼭 필요하다는 점과 원활하게 교육될 수 있도록 지도 자료와 방법이 좀 더 구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치문화 교육의 텍스트로서 선택한 TV 공익광고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며 그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앞서 선정한 총 9가지의 가치문화 범주 중 ‘가족문화’, ‘정문화’, ‘우리문화’, ‘변화하는 가치의식’ 총 4가지 범주에 집중하여 그 내용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각 범주별 내용 요소를 가지고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제작된 TV 공익광고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TV 공익광고를 활용한 가치문화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고 5장에서는 앞서 살펴 본 내용을 정리하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혔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교육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가치문화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 그리고 이를 교실에서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수단으로 TV 공익광고를 활용하여 수업 과정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 Study on Plans for Value Culture Education based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For Immigrant Adolescents Under the educational goal of helping immigrant adolescents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s and their smooth commun...

A Study on Plans for Value Culture Education based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For Immigrant Adolescents

Under the educational goal of helping immigrant adolescents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s and their smooth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education of South Korea's value cultur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educational plans based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s a means of proper education in classroom lessons. For that purpose, the study organized the research content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ed a need for and goal of research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reviewed, immigrant adolescents are in South Korea for mid- or long-term stay or permanent stay and thus have to engage in direct communication, thus needing the value culture education of the nation more than anyone else. There is, however, a shortage of researches on them. Advertising has the thoughts, societies, and values of people in the concerned cultural area inherent in it, which means that advertising can be significant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value culture education of South Korea. The study thus selected advertising as an educational medium.
Chapter 2 examined theoretical discussions to raise a need to provide immigrant adolescents with value culture education based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s part of Korean education. The study clearly defined the concept and educational importance of value culture and examined a need for value 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es and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adolescents. It also reviewed the percentage of value culture education in "Standard Korea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total four volume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xtbooks for immigrant adolescent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and need for value culture education for teachers who taught it. The findings point to a definite need for education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value culture among immigrant adolescent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nd for more specific researches on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smooth provision of educat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selected as texts for value culture education and confirmed their usefulness.
Chapter 3 focused on four of the total nine value culture categories chosen earlier, namely "familism culture," "jeong culture," "we-ism culture," and "changing value consciousness," and sorted their content elements out.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of each category, the chapter analyzed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between 2005 and 2014.
Chapter 4 designed educational plans for value culture targeting immigrant adolescents based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Chapter 5 arranged what had been reviewed so far and cover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The study claims its significance by focusing on value culture education, which had not been covered much in culture education for immigrant adolescents, and proposing a lesson process plan based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s a means of efficient culture value education in the classroom.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