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is the contrast of Korean and Uzbek kinship terms. This study clarifi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kinship terms systems of both languages through contrast from morphological, semantic and systematic aspects.
The s...
The purpose of this is the contrast of Korean and Uzbek kinship terms. This study clarifi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kinship terms systems of both languages through contrast from morphological, semantic and systematic aspects.
The study is organized in four chapters, including 1 chapter of introduction. In chapter 2, Korean and Uzbek kinship terms are divided into four lines: paternal, maternal, wife's, and husband's lines; and this chapter examines the systematic, morphological structure, indication meaning as well as referent of kinship terms. Chapter 3, which is a core chapter, contrast two languages by mention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stated in chapter 2.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and Uzbek kinship terms have so many similarities from systematic, semantic and morphological aspects. From the systematic aspect the difference between Uzbek and Korean kinship terms is that Uzbek kinship terms of direct ancestors for both paternal and maternal lines are the same. From the morphological aspect, most of the kinship terms applied to other members of the family are derived from the root(어근) of kinship term in the paternal line, by adding suffix elements and prefix elements. Moreover the honorific expression is formed with the suffix ‘-님’(Korean) and ‘?jon’(Uzbek). Such fact shows that both languages are agglutinative languages, and have different features from Indo-European languages. Both languages are very close typologically. From semantic aspect, the result of the contrastive study of indication meaning and referent of kinship terms shows that the kinship terms in both languages uses the same symbol to indicate different referents, different concepts and uses different symbols to indicate one referent and one concept.
Kinship terms are categorized under basic vocabulary and are closely linked to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Therefore, known that Korean and Uzbek kinship terms belong to the same language system, both languages have not only typical structural features but show social and Cultural image. Such research study will make definite contribu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zbekistan.
본 연구는 한국어와 우즈베크 어의 친족 호칭어를 대조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두 언어의 친족 호칭어를 형태론적, 의미론적 그리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대조하여 그 차이점을 밝힌다.
...
본 연구는 한국어와 우즈베크 어의 친족 호칭어를 대조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두 언어의 친족 호칭어를 형태론적, 의미론적 그리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대조하여 그 차이점을 밝힌다.
이 연구는 1장 서론을 포함하여 4장으로 구성된다. 한국어와 우즈베크 어 호칭어를 부계, 모계, 처가계, 시가계의 네 계열로 나누어 친족 호칭어의 체계, 형태론적 구성, 지시 대상을 살핀다. 3장은 이 연구의 핵심이 되는 자으로 2장에서 드러난 특징들을 바탕으로 두 언어를 대조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힌다.
한국어와 우즈베크 어 친족 호칭어는 체계적, 읨적, 형태론적 관점에서 유사성이 매우 많다는 결과가 도출된다. 체계적 관점에서 볼 때 우즈베크 어는 한국어와 달리 부계와 모계 직계존속 호칭어가 동일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형태론적
관점에서는, 대부분의 친족 호칭어가 부계의 친족 어휘를 어근으로 삼고 그에 접미 요소나 접두 요소들을 첨가하여 다른 친족 구성원에 대한 호칭어를 파생시킨다는 점이 확인된다. 그리고 존칭 표현도 접미사 ‘-님’(한국어)과 ‘-jon’(우즈베크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실은 두 언어가 모두 교착어(첨가어)로서 인구어와는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준다. 두 언어는 유형적으로 매우 가까운 것이다. 의미론적인 관점에서 두 언어 친족 호칭어의 지시 의미와 지시 대상을 대조해 본 결과, 두 언어의 친족 호칭어는 같은 기호로 서로 다른 지시 대상, 서로 다른 개념을 나타내며 또 서로 다른 기호로 하나의 지시 대상과 하나의 개념을 나타낸다는 점이 확인된다.
친족 어휘는 기초 어휘에 속하는 계열 어휘로서 사회 문화적 현상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같은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한국어와 우즈베크 어의 친족 어휘는 두 언어가 가진 유형적 구조적 특징은 물론 사회 문화적 양상을 잘 보여 줄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도 일정한 기여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