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주석이 우연적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vocabulary learning effect and the memory effect derived from modified multiple-choice annotation through multimedia. The shortcoming of current multiple-choice annotation is its -based format. In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vocabulary learning effect and the memory effect derived from modified multiple-choice annotation through multimedia. The shortcoming of current multiple-choice annotation is its -based format. In the -based environment, learners are unable to check the answer of annotation immediately. Furthermore, without immediate answer check-up, learners regard their false assumption on answer as correct one. To make up the shortcoming, I suggest two types of multimedia-based annotation: immediate interactive multiple-choice annotation and delayed interactive multiple-choice annotation. This experiment measu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 of type of multimedia-based annotation and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Research questions for verifying the correlation are as follows:
1. Which of multimedia-based annotation is more effective i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nteractive or delayed?
2. Can how multimedia-based annotation is presented affect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3. Does the multimedia annotation positively affect learner's memory during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media-based annotation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are used.
Twenty Subjects from 3 major Korea language schools attached to a university in Korean have their 3, 4, 5 intermediate Korean as Second Language learners. They are grouped into an immediate group and a delayed group based on the measurement from correlation test. Subjects are given reading texts through multimedia, with immediate interactive multiple-choice annotation and delayed interactive multiple-choice annotation respectively.
Without pre-notification on test, subjects undergo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 and posttest vocabulary learning assessment. Especially, the level of vocabulary learning is tested through VKS. After the first test, delayed posttest including retrospective vocabulary test is given to all subjects and an interview is done to each subject. Data from testing is analyzed through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subjects are able to check the answer of multiple-choice annotation promptly through multimedia, the types of multimedia-based annotation meaningfully affect the level of vocabulary learning. The delayed group shows higher score on delayed posttest than immediate group and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meaningful.
Third,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a meaningful effect i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n the environment when multimedia-based annotation is given to subjects. Especially, if subjects prefer learning from reading and if they like to learn vocabulary by assuming its meaning in the given sentences, multimedia-based annotation is meaningfully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In conclusion, multimedia-based annotation meaningfully fosters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with its revised format from -based annotation. To focus on the shortage of -based annotation, this research tries to revise the -based format into multimedia-based one for better vocabulary learning through immediate answer check and also tries to figure out the potentiality of multimedia-based annotation. Multimedia-based multiple choice annotation indeed has a meaningful experimental result in this research. Furthermore, it enables individual vocabulary learning with immediate answer check up by learners themselves. Multimedia-based annotation can help learners and instructors above intermediate level in that it provides individual with their own learning material because instructors of higher level class cannot deal with vast ranges of individual needs for learning vocabulary.
Especially, multimedia-based annotation can be given variously according to individual's characteristics and it fosters efficient learning of vocabulary. With these merits, this research suggests multimedia-based vocabulary learning which meets the various needs for learning such as learning places, learning hours, and the number of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선다형 어휘 주석의 한계를 멀티미디어로 보완하였을 때 발생하는 어휘 학습 효과와 기억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있다. 기존 선다형 어휘 주석의 한계는 종이로 인쇄...

본 연구의 목적은 선다형 어휘 주석의 한계를 멀티미디어로 보완하였을 때 발생하는 어휘 학습 효과와 기억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있다. 기존 선다형 어휘 주석의 한계는 종이로 인쇄되었기 때문에 학습자가 어휘 주석의 답을 바로 확인할 수 없어 학습자가 잘못된 추측을 하게 되고 이를 학습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주석 유형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즉각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과 지연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이 그것이다. 본 실험은 어휘 주석 유형이 읽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영향뿐만 아니라 개인의 특성이 어휘 학습에 미치영향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인 즉각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과 지연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 중에 어떤 것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효과적인가?
연구 문제 2.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의 제시 방법에 따라 우연적 어휘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을까?
연구 문제 3.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 효과에 효과적인가?
연구 문제 4. 멀티미디어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우연적 어휘 학습의 효과에 차이가 있을까?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어휘 주석을 즉각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과 지연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으로 설정하고 1차 사후 어휘 평가와 2차 사후 어휘 평가 설계를 사용하였다. 국내 소재 3개의 대학 부설 언어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3, 4, 5급 한국어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동질성 시험을 치룬 후 시험 결과에 따라 즉각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 집단과 지연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 집단으로 나누어 멀티미디어로 읽기 텍스트를 제공하였다. 이후 읽기 이해 평가와 예고하지 않은 1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고 어휘 평가는 VKS를 활용하여 어휘 지식의 깊이까지 측정하였다. 2주일 후 회고적 어휘 평가가 포함된 2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연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 집단이 즉각적 상호작용 선다형 어휘 주석 집단보다 1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은 2차 사후 어휘 평가를 통한 기억 효과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두 유형의 어휘 주석 사이에서 기억 효과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과 개인의 특성에 관한 상호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특히 읽기 선호 유형과 어휘 학습을 문장 안에서 학습하는 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도 매우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어휘 주석은 우연적 어휘 학습 효과 촉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중급 이후 방대해지는 어휘의 양을 수업시간에 교사가 직접적으로 교수할 수 없는 어휘 교육에 대한 교수 대안으로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멀티미디어 주석을 통해 개인의 특성에 따라 어휘 학습을 촉진한다면 자발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