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교육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thesis is to study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and the teaching methods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educational institutes, and intends to suggest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for the martial ...

This thesis is to study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and the teaching methods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educational institutes, and intends to suggest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for the martial immigrant learner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and on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grammar for Korean students who study Korean language, and the comparative studies on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have been made more and more, the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passive expression for the martial immigrant learners has not been don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martial immigrants living with Koreans in Korea to speak Korean freely and fluently in context. But in many cases the lack of proper education and enough practice causes them to avoid passive expressions and to use improper active expressions.
So, this is to suggest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focusing on more frequently used words in their surroundings for the martial immigrant learners to communicate in a more natural way.
In chapter 1, it show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introduces the method of this study. Also as preceding studies, theses on teaching Korean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ses on Korean passive expressions in comparison to their mother tongues in comparative and analytical respect were studied respectively.
In chapter 2, studies on Korean passive expressions and the types of Korean passive sentences were shown and it studies passive expressions derived by suffixes, and the passive expression sentences of '-아/어지다‘ and ’게 되다‘ as types of the passive expressions.
In chapter 3, this analyzes the categories,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passive expression teaching, selecting the textbooks used in the institutes attached to universities which teach Korean for foreigners, and the textbooks for marital immigrant learners. And this studies the errors of passive expressions done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marital immigrant learners and analyzes derivational passive expression type errors and syntactic passive expression type errors, respectively divided into categories and vocabulary types.
In chapter 4, this designs teaching method of passive expressions derived by suffixes and syntactic passive expression sentence of '아/어지다‘ combined with transitive verbs, which are not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four principles based on teaching method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fields and the errors of passive expressions done by martial immigrant learners.
In chapter 5, finally, it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thesis, mentions the meaning of this thesis and suggests value of following studies.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teaching method of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for marital immigrants analyzing the textbooks used by marital immigrants and the errors of marital immigrants' passive expressions, which has not been studied yet. But the studies on the passive expressions such as '되다‘, ’받다‘, ’당하다‘ which are kind of lexical, and on syntactic passive expressions such as '-게 되다’ have not been done sufficiently. Also, it has some limit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eaching method. So it is expected that following studies will overcome and make up for them. And I suggest that the syntactic passive expressions such as '(transitive verb) /아/어지다‘ should be added in the textbooks for marital immigrants so as to help teach marital immigrants passive expressions.

연구한국피동에 관한 표현 방법과 한국교육 기관에서의 피동 표현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

연구는 한국어 피동에 관한 표현 방법과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의 피동 표현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피동 표현 교육 방법의 연구와 국문법에서의 피동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도 피동에 대한 비교 연구도 점점 많아지고 있지만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피동 표현 교육 방법은 연구되어 있지 않다. 결혼을 해서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결혼이민자들에게는 상황에 맞게 한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피동 표현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연습 부족으로 피동 표현을 피하고 상황에 맞지 않는 능동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결혼이민자들에게 피동 표현을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한 방법을 결혼이민자의 주변 상황에서 자주 쓰이는 어휘를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어 피동 표현 교육에 관한 논문과 모국어와 대조 분석적 관점에서의 한국어 피동 표현 논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피동에 관한 연구와 한국어 피동문 형식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 한국어 피동 표현 방법으로 접사 파생에 의한 피동 표현과 ‘-아/어지다’에 의한 피동문, ‘-게 되다’에 의한 피동문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재와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를 선정하여 피동 표현 교육 항목, 피동 표현 교육 내용, 피동 표현 교육 방법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중·고급 이상의 결혼이민자 대상으로 하여 피동 표현의 오류를 검사하고 접사 파생적 피동의 형태 오류와 통사적 피동의 형태의 오류를 각각 어휘별,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 방법과 결혼이민자의 피동 표현의 오류를 토대로 접사 파생에 의한 피동 표현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는 포함하지 않았던 타동사와 결합하는 ‘-아/어지다’에 의한 통사적 피동 표현 교육 방법을 네 가지 원리에 의하여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후행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들이 사용하는 교재와 결혼이민자들의 피동 표현에 대한 오류를 분석하여 지금까지 논의가 없었던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피동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되다’, ‘받다’, ‘당하다’처럼 어휘적인 특성이 강한 피동과 ‘-게 되다’와 같은 통사적 피동 표현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고 피동 표현 교육 방법의 효과성 검증에 한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고 보완하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에 ‘(타동사)/-아/어지다’와 같은 통사적 피동 표현 내용이 추가되어 결혼이민자의 피동 표현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