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말실행증(childhood apraxia of speech: CAS, 이하 CAS)은 과연 실제적으로 존재하는가와 진단명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그럼에도 임상가와 연구자들은 CAS의 존재에...
아동기 말실행증(childhood apraxia of speech: CAS, 이하 CAS)은 과연 실제적으로 존재하는가와 진단명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그럼에도 임상가와 연구자들은 CAS의 존재에 대해서는 부인하지 않고 있으며, 출현율이 1,000명당 1~2명 정도라고 가늠하였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수가 CAS로 진단된다. CAS의 진단 특성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와 미국언어청각학회(ASHA)의 발표는 말 움직임의 공간적 시간적 파라메타(parameters)의 손상된 프로그래밍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CAS 몇몇 특징들의 근본적인 결함은 맥락상에서 말운동의 계획이나 프로그래밍의 장애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발화에서 동시조음 결합들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CAS의 동시조음 측정을 통한 말운동 과정의 다양한 결과들을 통해 말의 계획 또는 프로그래밍에서의 문제를 살펴볼 수 있다.
CAS는 성인 말실행증과는 달리 임상적으로 일관적인 신경학적 결과나 특정한 신경해부학적 손상이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단 내리기가 어렵다. 또한, 한국어를 구사하는 CAS에 대한 의학적, 임상적으로 공식적인 진단이 가능한 진단도구가 아직 없고, CAS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임상 현장에서 CAS와 다른 아동기 말장애와의 감별진단을 위해서는 CAS에 대한 질적, 양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 5-6세 CAS 아동군 5명과 동 연령대의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군 5명, 정상발달 아동군 5명을 대상으로 동시조음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기적 동시조음과 유지적 동시조음을 보이는 1음절과 2음절 무의미 단어의 산출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두 개의 동시조음 문맥에서 모두 CAS 아동군의 폐쇄구간이 다른 두 집단보다 길었다. 이는 CAS 아동군은 파열음 산출 시 후두와 조음 기관들에 더 많은 긴장이 동반되었고, 성도 운동이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VOT는 /phu/ 산출 시 CAS 아동군이 다른 두 군보다 VOT가 길었으나, /thu/와 /ebe/에서는 CAS 아동군이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군보다 VOT가 길었고 정상발달아동군보다는 짧았다. 유지적 동시조음 문맥 중 /ede/ 산출 시에는 CAS 아동군이 다른 두 군보다 VOT가 짧았다. 이러한 결과는 CAS 아동군의 느린 발화 속도로 인해 목표 어음 산출 시 VOT가 길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예기적 동시조음 문맥인 /phu, thu/에서 CAS 아동군이 다른 두 군보다 F₂onset과 F₂vowel 모두 표준편차가 컸다. 큰 표준편차를 보인 CAS 아동군은 다른 두 아동군에 비해 /phu, thu/ 산출 시 비일관적인 혀 움직임을 보였음을 알 수 있고, 더 많은 조음 변이성이 나타났다고 생각할 수 있다. 유지적 동시조음 문맥에서 처음에 산출되는 /e/ 모음의 끝부분 F₂주파수의 경우, CAS 아동군과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군이 정상발달아동군보다 높았다. 그러나,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군은 동시조음의 영향으로 자음 /b, d/ 산출 후에 나타나는 뒷 /e/ 모음의 시작부분 F₂가 정상발달 아동들과 비슷하게 낮아졌으나, CAS 아동군은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CAS 아동군은 두 아동군과 다르게 약한 동시조음 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AS 아동들이 두 아동군과는 다른 동시조음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CAS 아동들을 치료할 때,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들과는 다른 중재접근법이 필요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후속연구로서 중증도에 따른 CAS 아동군과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군의 동시조음 특성 비교, 다양한 동시조음 문맥에서 집단 간 산출 비교 등과 같은 CAS 아동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Childhood apraxia of speech(CAS) has been under discussion for a long time as to its existence as well as its value as a diagnosis. Nevertheless, clinicians and researchers cannot deny about the presence of CAS, although estimates indicate a prevalenc...
Childhood apraxia of speech(CAS) has been under discussion for a long time as to its existence as well as its value as a diagnosis. Nevertheless, clinicians and researchers cannot deny about the presence of CAS, although estimates indicate a prevalence of 1-2 per thousand, there are in fact, more cases of CAS diagnosed.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and diagnostic features of CAS and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ASHA)`s presentation seemed to have reflected the damaged programming of the spatial and temporal parameters of speech. In addition, CAS and several features pertaining to its fundamental flaw can be identified in the planning of speech exercises from the context or in the programming failures. This kind of problem affects the binding of coarticulation in speech. Therefore, we can look for problems in the speech plan or programing from the results of a variety of speaking exercises by measuring the CAS coarticulation.
There is no official Korean medical or clinical diagnostic tool available for CAS and lacks various research regarding CAS. Therefore, differential diagnosis for CAS and other childhood speech disorders, there is a need for various studies to be performed with regard to CAS in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anner. In addition, this research tried to evaluate coarticulation patterns or characteristics of children by acoustically analyzing the random one-syllable and two syllable words, which show retentive and anticipatory coarticulation for children. The participants composed of fiv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5 to 6 diagnosed with CAS, and fiv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with similar age as well as five children that show normal growth.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points are as follows:
The close up section of both coarticulations context was longer for the children with CAS when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The movement in the vocal tract appeared differently as more tension was accompanied to the larynx and articulator organs when extracting a plosive consonant from children with CAS. The children with CAS showed smaller VOT than the other two groups. VOT is used as an indicator for speech coordination, which did not show positive results in the speech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CAS. In addition, the anticipatory coarticulation context showed more variation of the F₂onset and F₂vowel which can be seen as more movement of the tongue moving in and out than any other group for children with CAS. We can assume that children with CAS showed inefficient movement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as well as weak anticipatory coarticulation. As for the retentive coarticulation context, showed higher result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for children with CAS. The retentive coarticulation context was the F₂ which is from the end of the vowel / e /, extracted at the front and the F₂ which is from the start of the vowel / e /, extracted from the back. Due to the coarticulation the extracted vowel of / e / from F₂(Hz) changed similarly for the children group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normally developed group while the children with CAS did not.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the children with CAS when compared with other children groups show a weak form of coarticul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at children with CAS have a different coarticulation when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of children. These results, may require a different intervention approaches that was used for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when treating children with CAS. As a follow-up study, the coarticulation characteristics and various coarticulation contexts among the groups of children with CAS, based on various severity level and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In addition, we suggest that a variety of research related to children with CAS, be conducted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