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아의 평음과 격음 변별 능력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infants’ ability to recognize phonemes that do not exist in their native language from birth. Recently, a new aspect was suggested—that some phonemes require early language exposure to discriminate. It is not clear, ...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infants’ ability to recognize phonemes that do not exist in their native language from birth. Recently, a new aspect was suggested—that some phonemes require early language exposure to discriminate. It is not clear, however, how sensitivity of discriminating the Korean three-way contrast can develop in a linguistic contexts. Korean has a unique three-way contrast that is consisted of lenis, fortis, and aspirated stop consonants, while most languages have a two-way contrast. This distinctive property of Korean causes nonnative Korean listeners to experience obstruction in discriminating phonological differences in the three-way contrast. Unfortunately, it appears that no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discrimination of the Korean three-way contrast in infant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the phonetic discrimination ability in the lenis stop [pu] and aspirated stop [phu]. The visual habituation paradigm was employed to conduct the experiment. Infants aged 4–6.5 months and 10–12 month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fants in the 10–12-month-old group marginally discriminated the two phonemes, while 4–6.5-month-olds showed difficulties with percipience.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early language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of abilities to discriminate the Korean lenis and aspirated stops.

영아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모국어에 존재하는 음소뿐만 아니라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음소에 대한 구별 능력을 생득적으로 타고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능력은 지각적 협소화(perceptual na...

영아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모국어에 존재하는 음소뿐만 아니라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음소에 대한 구별 능력을 생득적으로 타고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능력은 지각적 협소화(perceptual narrowing) 현상을 통해 만 9개월이 지나면서 점점 모국어를 중심으로 재조직화 된다. 즉,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음소의 지각 능력은 점점 둔화되거나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발달 초기 입력 언어에 대한 노출이 선행되어야만 변별이 가능해지는 음소들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한국어의 대표적인 특성으로는 자음의 삼중대립 음소 체계가 있다. 이는,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자음의 유성음과 무성음의 이중 대립 체계를 가지고 있는 반면 한국어는 자음 중 파열음이 다른 언어에 없는 독특한 삼중대립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한국어 특성에 따른 영아들의 음소 구별 능력 발달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파열음에 대한 영아들의 지각 능력이 어떠한 양상으로 발달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한국어를 습득하는 영아들의 한국어 음소 지각 발달 궤도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영아들 4-6.5개월 집단과 10-12개월 집단을 대상으로 시각자극 습관화 패러다임(Visual Habituation Paradigm)을 사용하여 영아들의 모국어 음소 구별 능력을 측정하였다. 삼중대립 음소 중 외국인들이 변별하는데 특히 어려움을 보이는 평음과 격음 음소 쌍 [부]-[푸]를 사용하여 영아의 음소 지각 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10-12개월 영아들은 경계선에서 유의하게 두 음소의 차이를 구별 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6개월 영아들은 두 음소의 구별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는 한국어 자음의 삼중대립음소 지각능력 발달은 경험적 요소를 통해 발달되는 것임을 제시하며, 생애 초기의 적절한 모국어 경험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