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환경이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홍콩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upon the pragmatic awareness of the complaint speech ac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e Hong Kong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who lived in Korea and in Ho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upon the pragmatic awareness of the complaint speech ac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e Hong Kong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who lived in Korea and in Hong Kong.
In Chapter 1, we will look into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of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as well as pragmatic awareness, and the speech act of complaint. With re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there will be two main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see i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Hong Kong and in Korea have different pragmatic awareness compared to Korean Native speaker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compare the degree of pragmatic awareness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Hong Kong and in Korea.
In Chapter 2, the framework of analysis for this study is introduced and the writer has defined the complaint speech act after looking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pragmatic awareness and the speech act of complaint. In Chapter 3, the methodology was described and it includes the information of participants, the process of research, data gathering and data analysis. Furthermore, the method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analysis is also described.
In Chapter 4, we hav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t has shown that KHL learners (Korean Language learners in Korea) and HKL (Korean Language learners in Hong Kong) have a similar pragmatic awareness in the speech act of complaint. However, we find som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when we look into each complaint situation and strategy in detail.
The overall results have shown that both learning environments have scored lower than the Korean native speakers. Thus,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has not led to similar pragmatic awareness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Pragmatic awareness is imbedded in one’s culture and society. Other than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the period of residence and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native speakers are interesting factors which we can look into for further studies.
In Chapter 5, we summarized the results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by comparing the pragmatic awareness of Hong Kong Korean Language learners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focusing on the complaint speech act for the first time. Secondly, we fin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earners’ group when we look into each complaint situation and strategy. Thirdly, the writer has categorized the complaint speech act strategies in more detail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Moreo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will expand the field of pragmatic resear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ong Kong.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학습 환경홍콩한국학습자의 불평 화행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보기 위하여 한국에 있는 홍콩인 한국어 학습 환경(KHL)과 ...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학습 환경이 홍콩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보기 위하여 한국에 있는 홍콩인 한국어 학습 환경(KHL)과 홍콩에 있는 홍콩인 한국어 학습 환경(HKL)으로 분류하여 학습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언어 학습 환경에 따른 화용적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I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대한 논의하고 언어 학습 환경과 화용적 인식, 그리고 불평 화행에 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부터 언어 학습 환경과 홍콩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인식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언어 학습 환경에 따라 홍콩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불평 화행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 문제 2는 언어 학습 환경에 따라 홍콩내 학습자와 한국내 학습자의 불평 화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II 장에서는 언어 학습 환경, 화용적 능력, 불평 화행의 개념과 전략 유형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고 본고에서 분석하고자 한 틀을 설명하였다. III 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는 연구 대상 선정, 연구 절차, 자료 수집을 위한 실험 도구, 그리고 분석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 처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IV 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KHL 집단과 HKL 집단의 학습자가 불평 화행에 대한 인식 점수가 잘 나타났다. 그러나 인식 문항 상황별, 전략별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해 전체적으로 인식 문항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언어 학습 환경이 통계적으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기술통계 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그 영향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님을 또한 밝혀내었다.
V 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며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최초로 홍콩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화용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 결과에 의하면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없었지만 세부적인 논의를 통해 불평 상황과 전략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음을 밝혀내었다. 셋째,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직접적인 불평 전략과 간접적인 전략을 하나의 틀을 만들어냈다는 데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홍콩의 한국어 교육에서 화용적 인식 측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려 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앞으로 화용 인식과 교육 현장의 관련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