聯綿詞是指由兩個音節聯綴而成且兩個字聯綴在一起不可分開的單純詞,这类词在漢語詞彙體系中占有比較特殊的地位。聯綿詞在古代漢語中開始使用, 并流入到韓語中。
本論文的硏究目...
聯綿詞是指由兩個音節聯綴而成且兩個字聯綴在一起不可分開的單純詞,这类词在漢語詞彙體系中占有比較特殊的地位。聯綿詞在古代漢語中開始使用, 并流入到韓語中。
本論文的硏究目的在于,以被吸收到韓語中的聯綿詞爲對象,通過歷時和共時的措施考察其歷史以及在現代韓語中的使用情况。
本論文通過考察发现如下方面:
第一, 汉语聯綿詞被吸收到韓語中的時期集中在統一新羅和高麗時代。這時期被吸收到韩语中的聯綿詞占百分之九十, 特別是高麗時代占到百分之六十。從這一點可以得知,在高麗中期隨着漢字詞使用的普遍化而流入到韩语中的聯綿詞數量也随之增加。
第二, 流入到韓語中的聯綿詞經過詞彙體系、詞義、結構方面的變化, 一方面形成與漢語共通的面貌, 一方面在韓語詞彙體系中通過獨自的變化而形成現在的面貌。有些聯綿词與詞形相同的複合詞一起流入到韓語中, 有些聯綿詞受到漢字詞語音變化的影響而變成固有詞。在詞義方面,被吸收到韓語中的聯綿詞在韓語體系裏經過詞義的縮小、擴大、轉變而发展为現今的詞義和用法。并且在結構方面, 一部分聯綿詞遵守一般複合漢字詞的形成原理被加以略论和解释, 因而其詞義與性質开始发生變化。
第三, 對現代韓語中使用的聯綿詞的分布狀況进行考察的結果如是: 在語音方面, 屬於雙聲、疊韻或聲母或韻部類似的聯綿詞占百分之九十五。若依據韓國漢字音判斷,聯綿詞語音類似性的比率比較低。這可能是由於韓國漢字音本體發生的語音變化起到某種影响的原因, 比如韓語的齶化、根據形聲字的聲符類推字音的傾向等。在字形方面, 韓語中使用的聯綿詞當中存在異形的減少了许多。筆者估计這是因爲聯綿詞在韓語中以“文言”被吸收而以“文字”爲中心普及的原因。在詞法方面, 形容詞性聯綿詞最多, 爲63個。在韓語中有些聯綿詞一詞能擔當数種詞類, 像“筋斗”一词變成了前綴而具有構詞能力,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如“곤두박질”、“곤두서다”、“곤두세우다”。有些聯綿詞则成为人们经常使用的固定形式, 例如“虎視眈眈”、“支離滅裂”、“窈窕淑女”、“殺氣騰騰”、“申申當付”、“天眞爛漫”、“軒軒丈夫”等等。
第四, 現代韓語與現代漢語共通使用的聯綿詞具有同義關係、部分同義關係、異義關係等多種語義關係。形成同義關係的一部聯綿詞在漢語中主要用在書面語,因而語義色彩不同; 形成部分同義關係的聯綿詞在基本詞義上有相关性, 但由於語義引伸而使語義項之間存在交叉的部分; 形成異義關係的聯綿詞表明在韓語中使用的聯綿詞发生了新的变化。如此複杂的语义關係也正體现着聯綿詞的古今面貌。
第五, 通過句法方面的考察,現代韓語與現代漢語中使用的聯綿詞的異同则顯得更加明顯。首先, 由於聯綿詞結合成分上的層次而出现詞義上微妙的差異。有時雖然聯綿詞的語義範疇大體一致, 但在句子中的功能存在着差異, 这说明各個語言中使用的情況有所不同。總體来說, 被吸收到韓語中的聯綿詞在韓語日常用语中经常被使用并呈现出多样化,在語義範疇與句法功能上形成與漢語所不同的獨特面貌。
연면어는 이음절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일어로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는 낱말을 가리킨다. 이점에서 중국어 어휘 체계에서 비교적 특수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연면어는 고대중국어에서...
연면어는 이음절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일어로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는 낱말을 가리킨다. 이점에서 중국어 어휘 체계에서 비교적 특수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연면어는 고대중국어에서부터 사용되었으며 다른 한자어와 마찬가지로 한국어에도 수용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에 수용된 연면어를 대상으로 연면어의 수용 역사와 현대한국어에서의 사용 양상을 통시적․공시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현대한국어에서 상용되는 연면어를 역사적으로 거슬러 올라가 근원을 추적하였다. 연면어의 수용은 한자어의 유입과 사용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 즉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대부분 이루어져 이 시기에 유입된 연면어가 90%를 넘게 차지하고 있다. 특히 고려시대에 유입된 것이 60% 넘게 나타나는 점에서 미루어 보아 고려 중기에 한자어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수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한국어에 수용된 연면어는 통시적으로 어휘 체계, 의미, 구조 등의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원어인 중국어와 공통적인 면모를 보이면서도 한국어 어휘 체계에서 독자적으로 변화하면서 자리 잡았다. 한국어 어휘 체계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일부 연면어는 동일한 형태의 합성어와 함께 수용되었으며, 한자어에 일어나는 어음 변화에 의하여 고유어화하기도 하였다. 또한 수용 이후 한국어 체계에서 의미 축소, 확대, 전이 등의 변화를 겪으며 오늘날의 의미와 쓰임으로 정착하였다. 어휘 구조의 변화 역시 연면어의 수용에 영향을 미쳐 단일어인 연면어를 합성 한자어의 형성 원리에 준하여 분석하거나 설명함으로써 낱말의 성질과 의미에 변화를 일으킨 상황이 출현하기도 하였다.
3. 연면어의 공시적인 분포 상황을 어음, 자형, 형태 측면에서 파악한 결과 어음 유형에 따른 분포에 있어서 현대한국어에서 상용되는 연면어는 95%에 해당하는 낱말이 성모나 운부가 같거나 비슷하여 어음상 정연함을 띤다. 한국의 한자음을 기준으로 할 때 어음상 유사성을 띠는 비율은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한자음 자체에서 일어난 구개음화, 形聲字의 聲符에서 유추하여 字音을 정하는 경향 등 한국어 자체에서 일어난 어음 변화가 작용한 것에서 요인을 찾을 수 있다. 자형상에 있어서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연면어는 하나의 낱말에 여러 이형이 존재하는 특징이 많이 감소되었다. 이는 중국어에서는 어음에 기인하여 ‘말’로 수용되고 전파되었지만 한국어에서는 ‘글’로 수용되어 ‘문자’ 중심으로 전파된 영향이 아닐까 판단된다. 연면어의 품사는 형용사가 63개(39.4%)로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형태론 측면에서 연면어는 다양한 품사로 파생되어 활용되는 특징이 두드러지며 특정 낱말과 자주 결합하는 연면어는 ‘호시탐탐’, ‘지리멸렬’, ‘요조숙녀’, ‘살기등등’, ‘신신당부’, ‘헌헌장부’, ‘은근슬쩍’과 같이 고정된 형식의 낱말을 형성하여 활용되고 있다.
4. 현대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연면어는 공시적으로 중국어와 동의 관계, 부분 동의 관계, 이의 관계 등 다양한 의미 관계를 형성한다. 일부 낱말은 중국어에서 서면어에 주로 쓰여 의미 색채를 달리 하는 차이를 보인다. 부분 동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면어는 기본 의미와 연관성을 띠면서 의미 파생에 의하여 의미 항목이 교차하는 면모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의 관계를 형성하는 경우는 한국어에서 새로운 의미로 전이된 상황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복잡한 의미 관계는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연면어에 고금의 면모가 공존하고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연면어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은 통사적 측면의 고찰을 통하여 더 명확하고 자세하게 드러난다. 결합 성분에서 나타나는 층차로 인하여 의미상의 미묘한 차이를 갖는 경우가 나타난다. 또한 의미 범주가 대체로 일치하지만 문장 내에서 기능을 달리하여 각 언어에서 서로 다르게 활용되는 양상을 띠기도 한다. 전반적으로 한국어에 수용되어 상용하는 연면어는 언어생활에서 자주 쓰이며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의미 범주나 통사적 기능에 있어 중국어와 차별되는 면모를 드러내는 양상이 나타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