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블렌디드 러닝(Blended-Learning)활용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적응해서 살아가야 하는 중도입국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하면 좀 ...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블렌디드 러닝(Blended-Learning)활용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적응해서 살아가야 하는 중도입국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하면 좀 더 효과적으로 한국 문화를 가르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학령기까지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전혀 접하지 못하고 성장한 이들이 한국에서 ‘멜팅 폿 모델(Melting Pot Model)’이 아니라 ‘샐러드 볼 모델(Salad Bawl Model)’이 될 수 있게 하고 싶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를 학습하고 싶어도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제약 때문에 불가능했던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줄 뿐 만 아니라, 온 오프라인 혼합방식을 이용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교육이 현재의 한국어 교육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교수매체가 교사들의 교수능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확대시켜 주며, 철저한 교수전략으로 잘 활용 될 수만 있다면 교실에서의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문화 수업과 얼마든지 공존하여 교육의 시너지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한국어 문화 교육,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개발의 시사점을 찾았다.
2장에서는 논문의 흐름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먼저 중도입국 청소년의 현황과 중도입국 청소년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특징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더불어 왜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 교육이 필요한지를 필역하였다. 또한 이중언어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중도입국청소년들의 이중언어 교육이 반드시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문화 교육의 블렌디드 러닝 활용의 관계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교육 효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 간 활발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셋째,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다.
넷째, 교수자의 코칭과 조언을 받기 용이하다.
4장에서는 문화교육 방안과 주제를 찾기 위해 한국어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한 내용을 종합·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문화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 관점은 학문 목적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학생 둘 다 모두 포함된다.
셋째, 교수자의 외국어 능력이 학습자의 한국어 문화 교육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현재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문화 교육의 진행 방법은 미디어매체 이용과 학생들과의 이야기를 통해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다섯째, 한국어 문화 교육의 문제점은 학생들이 한국어를 잘 모르고, 한국어 문화교육에 관한 자료가 부족하고, 교육과정에 문화 부분이 포함되지 않고, 교육안과 교재가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각 교육기관에 한국어 문화 수업이 진행되기는 하지만 일정 수업시간이 배정 되었다기보다는 한국어 수업 중 간단한 문화 소개 정도이며, 교육안과 교재의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한국어 강사들이 가장 우선순위로 교육해야 하는 문화 항목은 ‘일상문화’였으며, 그 뒤를 이어 ‘언어문화’, ‘또래문화’, ‘문학’ 등이었다. 그리하여 교수자의 요구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 모형은 교실과 온라인 커뮤니티가 연결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였다. 이는 기존 교실에서 텍스트 위주의 교재를 가지고 단순 강의식으로 진행되던 문화교육 방식을 뛰어 넘어 다양한 자료 및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높이고 교실을 넘어 가정에서까지 학습이 이어질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또한 교실 수업의 경우에도 현 교재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여 추가적인 시각적 자료를 제시하고 학습자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수업 방법을 도입하여 학습자의 문화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였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낯선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및 학습 등에도 적응해야 한다는 고충을 안고 있다. 또한 이들의 한국어 문화를 교육하고 있는 한국어 강사들을 통해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문화교육 항목을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블렌디드 러닝 방법으로 문화 수업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