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초록)
읽기는 텍스트에 존재하는 메시지를 단순히 해독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의 경험에 바탕을 두고 이뤄지는 의미구성 과정이다. 특히 제2언어교육에서 읽기학습의 경우 읽기전략...
(국문 초록)
읽기는 텍스트에 존재하는 메시지를 단순히 해독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의 경험에 바탕을 두고 이뤄지는 의미구성 과정이다. 특히 제2언어교육에서 읽기학습의 경우 읽기전략이 부족한 학습자는 텍스트를 구조적으로만 해독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텍스트의 내재적인 의미와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성공적인 읽기를 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지식뿐만 아니라 읽기전략이 필요하다. 이 전략의 도구 중 하나로 삽화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읽기교육에서 삽화의 효용성을 인정하고 현행 중급 읽기교재에서 읽기 단계별로 텍스트와 삽화가 어떤 관계로 협력하는지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먼저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 교재의 시각자료에 대한 선행연구와 그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제 2장에서는 삽화분석을 위한 배경이론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먼저 제2언어교육으로서의 읽기의 정의와 읽기교재에서 삽화의 기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 삽화가 텍스트 내용의 이해를 돕는 원리를 밝히기 위하여서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주요 개념인 정보량(bit), 동위소(isotopie), 엔트로피(entropy), 잉여성(redundancy)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텍스트와 삽화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기호학의 주요개념인 정박(Anchorage)과 중계(Relay), 아이콘텍스트(Iconotext)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삽화 분석의 절차와 분석대상이 되는 삽화의 조건, 분석내용과 분석방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재 중에서 『서강한국어 3A, 3B』,『연세 한국어 읽기 3』,『이화한국어 3-1, 3-2』를 제 2장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읽기 단계별 텍스트와 삽화의 협력관계를 분석하고 교재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한국어 중급 읽기교재의 삽화 분석에 대한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그에 따른 결론과 한국어 중급 읽기교재 삽화 분석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