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확장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의 용언 파생 접미사 및 파생 용언의 교수·학습을 위한 연구이다. 언어 교육에서 단어 형성 원리를 이용한 어휘 교수는 ...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확장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의 용언 파생 접미사 및 파생 용언의 교수·학습을 위한 연구이다. 언어 교육에서 단어 형성 원리를 이용한 어휘 교수는 학습자들의 어휘 확장에 도움이 된다. 한국어 교수 현장에서 단어 형성의 원리를 통한 어휘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면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접사 및 파생어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교육을 위해서는 교수 자료와 방법의 연구가 필수적인데 지금까지의 관련 연구는 주로 접사나 파생어 전체를 아우르는 연구이거나 접사 연구 중에는 주로 명사 파생 접사에 관한 것이 많았고,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용언 파생 접미사 및 파생 용언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용언 파생 접미사는 다른 파생접사와 비교했을 때 그 생산성이 결코 낮지 않으며 용언 파생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어의 개별 출현 빈도 역시 높으므로 교육하기에 중요한 접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용언 파생 접미사끼리 비교·대조하여 개별 접사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용어 파생 접미사만을 대상으로 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에 따라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용언 파생 접미사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용 용언 파생 접미사를 선정하고 그것을 의미와 기능별로 분류하는 것과, 용언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과 빈도를 살펴보고 용언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과 빈도에 따른 특성을 보기 쉽도록 등급화 하는 것이 목적이다. 1 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파생 접미사와 파생어 특히 용언 파생 접미사와 파생 용언을 연구해야 하는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며 본 연구의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2 장에서는 파생어 및 파생 접미사에 대한 연구와 파생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그리고 한국어교육용 접사 선정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살핌으로써 본 논문에서 다루는 용언 파생 접미사와 파생 용언, 교육용 접사 선정과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3 장에서는 교육용 용언 파생 접미사 목록의 선정을 위해서 먼저 사전 분석을 통해 한국어의 용언 파생 접미사를 추출하였다. 이때 활용한 사전은 <표준국어대사전>이며 추출한 용언 파생 접미사를 의미,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접미사의 특징을 유형별로 알아보고자 했다. 4 장에서는 용언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과 빈도를 살펴보고 교육용 용언 파생 접미사를 선정하였다. 먼저 교육용 접사 선정의 기준 및 선정 방법을 밝혔다. 선정 기준은 생산성과 빈도로, <한국어 기초사전>에서의 파생어 추출을 통하여 각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을 분석하였고, 추출한 파생어들 각각의 빈도 조사와 그 누적빈도를 통해 접미사의 빈도를 가늠하였다. 그리하여 교육용 용언 파생 접미사를 선정하였고 그 최종 목록으로 접미사를 의미, 기능에 따라 재분류하여 제시하였다. 5 장에서는 4 장의 용언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과 빈도를 고려하여 일정 기준에 의거하여 등급화하였다. 본고에서의 등급화의 이유는 4 장에서 분석한 용언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과 빈도를 보기 쉽게 제시하기 위해서이다. 그리하여 용언 파생 접미사들끼리의 생산성이나 빈도를 비교·대조하여 보거나 각 용언 파생 접미사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의미와 기능에 따라 분류된 접미사들끼리의 생산성과 빈도를 비교·대조하였다. 6 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접사 선정 및 분류, 생산성과 빈도 분석 결과는 용언 파생 접미사 및 파생 용언의 교수·학습 뿐 아니라 어휘집이나 교재 개발 등 한국어교육에서 여러 목적에 따라 참고하여 응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