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착어로서 어미와 조사가 발달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몽골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나는 접속표현의 사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연결어미와 접속부사 사용상의 문제점을 ...
본 연구는 교착어로서 어미와 조사가 발달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몽골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나는 접속표현의 사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연결어미와 접속부사 사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몽골어의 언어적 특성을 바탕으로 몽골 학습자가 한국어 사용 시 필요한 문장 접속표현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종 참고 문헌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몽골어의 문장 구조와 분류 체계, 한․몽 연결어미와 접속부사의 특징을 비교하고, 접속표현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연결어미와 접속부사의 분석 기준을 도출하였다.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서술형 답안 자료 53편으로 몽골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와 접속부사의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몽골 학습자는 문장 구성 시 주로 복문 형태로 비교적 긴 문장으로 표현하고, 접속부사보다는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을 연결하는 특징을 보였다. 모두 형태․통사적 오류보다 의미기능에 맞지 않거나 유사한 연결어미의 의미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여 혼용하는 의미기능상의 오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습자의 실제 작문 자료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한 결과, 원인으로는 목표어에 대한 문법적 규칙 이해 부족, 의미와 기능 차이점에 대한 인식 부족, 양국 언어의 대응 표지 유무 및 다양성으로 인해 사용상의 혼란을 겪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몽골어 문법범주에 존재하지 않는 연결어미 이형태 사용이나 시제어미 결합에 대한 문법 규칙의 단계적인 설명과 제시, 맥락과 상황을 통한 의미기능의 정확한 이해 교육, 이전 학습과의 비교․대조 설명을 통한 의미적 차이 교육, 접속부사와 호응되는 표현 사용, 화용적 특성 이해를 강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몽골어 구사능력의 한계로 명확한 오류 원인 파악이나 세밀한 분석이나 교육 방안 제시가 약간 미흡하고 서술형 답안 자료의 수가 많지 않아 몽골어권의 접속표현 특성으로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몽골인과의 연계를 통해 몽골어의 특성을 반영하여 좀 더 몽골 한국어 학습자의 밀착적인 교재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through observing conjunction expression using condition of Mongolian Korean learners in their writing where Korean is developed in ending and proposition as agglutinative language, finds out problems in using connective ending and conjunc...
This study, through observing conjunction expression using condition of Mongolian Korean learners in their writing where Korean is developed in ending and proposition as agglutinative language, finds out problems in using connective ending and conjunctive adverb. Then, it has purpose in looking for effective education method in their learning Korean conjunctive expression based o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language.
For study, we compare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Mongolian sentence structure category system, connective ending, and conjunctive adverb based on various references and preceding research. Also, in order to observe conjunctive expression using condition, we deducted analysis standard of connective ending and conjunctive adverb.
Mongolian Korean learner's connective ending and conjunctive adverb using condition is as follows according to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swer to advanced descriptive problem answer no 53.
When constructing a sentence, Mongolian Korean learner tends to express in relatively complex sentence, and also are more likely to use connective ending than conjunctive adverb to connect two or more sentences. Other than type, syntatic structure error, all of them showed higher possibility of error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in meaning difference of similar connective ending. Thus, based on the analysis of learner's real writing, lack of understandings in grammar of target language, difference in meaning and function, variety of response indicator of two nations were the causes of the error.
Therefore, based on this, the suggested learning method for Korean is as follows. Education must be strengthened in areas of connective ending usage that does not belong to Mongolian language grammar range, integration of tense ending, exact delivery of meaning that also fits the context and situation, education difference through compare and contrast with previous learning, expression using to accord conjunctive adverb, and language u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does have limit in generalizing the result due to small number of descriptive answers, lack in education method suggestion, researcher's lacking in expressing in Mongolian language thus not drawing out clear error cause. Thus, in further research, it is needed to develop adhering textbook for Mongolian Korean learners through linking with Mongolian. And measuring its effectiveness is also highly suggested.
Key Words: Mongolian Korean learner, conjunctive sentence, connective ending, conjunctive adverb, conjunctive expression, sentence linking, sentence expansion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