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국인 결혼이민자 자녀 대상 이중언어 교육 방법 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Existing studies on the methods in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are mainly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so that they cannot present the methodology of bilingual education where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re us...

Existing studies on the methods in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are mainly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so that they cannot present the methodology of bilingual
education where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re used. This
in-depth study, however, delves deeply into the methodology of
bilingual education where Chinese language teaching is given more
weight to than it used to be.
This thesis is composed of four chapters: Chapter one analyzes
existing studies on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realizes their defects and sets a research model for correcting
the defects. Chapter two analyzes existing survey data on the language
use and the efficiency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Chapter three
raises the problems of the government policies on bilingual education and the bilingual education in schools,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home. Chapter four devises methods in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focusing on teaching methods,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teacher training and syllabus
development.
This study draws these conclusion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Chinese marriage immigrants think that their Korean spouses and
children have a positive view on their using Chinese language. Many
Chinese spouses (mothers) have experiences of teaching Chinese to
their Korean spouses and children. Chinese marriage immigrants
generally consider the Korean language efficiency of their children high
but the Chinese one low.
Second, the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was introduced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problem, however, is that most of the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centered o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the
bilingual teacher training has been carried out mostly in term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The bilingual education in schools and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s provided the most in Gyeonggi-do Province and in
elementary schools (113) compared to the higher schools. Bilingual
lecturers have the largest portion of the teachers and many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are weekend/after school programs.
Bilingual education at home is provided the most only in Korean
(56%), next most both in Korean and Chinese (32%) and the least only in Chinse (12%). Up to now, Korean language use accounts for the
large portion, but the other combinations also doing so comparatively
suggests the present state of bilingualism at home. Furthermore, we
come to know that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is much in demand
seeing that the sixty per cent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s have
responded positively to the question whether they would participate in
Chinese languag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ird, this study makes several proposals sinc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bilingual education and concerns for it. This study suggest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e Project Approach,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and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as teaching methods for multicultural children. In terms of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this study proposes the provision of on/offline
bilingual materials developed based on learner age and bilingual
materials associated with parents. In addition to that, a sample
material composed of fourteen chapters based on the themes and the
language functions appropriate for multicultural children has been put
in.
In view of teacher training, this study proposes that Korean or
Chinese teachers having had a Chinese language related education,
Chinese language instructors for children, home visiting Chinese
language educators and first or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each Chinese language to children. In light of syllabus
development, this study includes teaching listening and speaking
during the first class period and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during the second on a syllabus based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multicultural children
developing positive ego identities and growing into talent using two
languages proficiently.

기존의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주로 한국교육만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한국어와 중국어가 이중언어가 되는 이중언어 ...

기존의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주로 한국어 교육만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한국어와 중국어가 이중언어가 되는 이중언어 교육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전문성이 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출신국 언어 교육을 예전보다 더 강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중언어 교육 방법을 마련했고 한국어와 중국어가 이중언어가 되는 이중언어 교육 방법을 제시하여 전문성을 제고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이중언어 교육과 관련한 기존연구를 고찰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문제점 극복을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해 보았다. 2장에서는 기존연구 자료들을 수집하는 한편, 자녀의 언어 사용 현황과 자녀의 한국어와 중국어 구사능력 현황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정부 정책 현황과 학교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가정을 중심으로 이중언어 교육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관련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이중언어 교육 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법 연구, 교재 개발, 교사 양성, 강의안 개발에 초점을 맞춰 자녀 대상 이중언어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절반 이상의 중국인 결혼이민자들은 자신이 중국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한국인 배우자와 자녀가 지지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중국인 배우자(어머니)는 한국인 배우자와 자녀에게 중국어를 가르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인 결혼이민자들은 자녀의 한국어 구사능력은 전반적으로 높게, 중국어 구사능력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국내 이중언어 교육은 주로 교육부와 여성가족부에서 추진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문제는 지원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대부분 한국어 교육 중심이었다는 점, 이중언어강사 양성과정이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한편 학교,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이중언어 교육은 두 곳 모두 경기도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113개교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었다. 주교육자는 이중언어강사가 가장 많았으며 주말·방과후 프로그램 교육방식으로 많이 운영되고 있었다.
가정에서의 이중언어 교육은 주로 한국어를 사용한 비중이 5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32%, 중국어 12%의 순으로 많았다. 아직까지는 가정 내에서 주로 한국어 사용 비율이 높지만 한국어와 중국어, 중국어를 사용하는 비율도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이중언어를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녀에게 중국어 교육 시행 시 참석할 의사를 묻는 질문에 60%의 중국인 결혼이민자들이 참석 의사를 밝혔다는 점에서 이중언어 교육 수요가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절실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 교육 방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다문화가족 자녀에게 적용될 수 있는 교수법으로는 총체적 언어접근법, 프로젝트 접근법,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 과업 중심 교수법을 제시하였다. 교재 개발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연령을 고려한 온·오프라인 이중언어 교재와 부모와 연계된 이중언어 교재의 보급을 제시하는 한편, 다문화가족 자녀에게 적합한 주제와 기능을 선정하여 교재의 전체 단원을 14단원으로 구성하였고 이 가운데 9과에 해당하는 ‘신화·전설 이야기’를 주제로 선정하여 단원을 구성해 보았다.
교사 양성에 있어서는 중국어 관련 교육을 받은 한국인 교사나 중국인 교사, 어린이 중국어 지도사, 중국어 교육 방문교육지도사, 다문화가족 1세대나 2세대가 자녀에게 중국어를 가르칠 것을 제시하였다. 강의안 개발에 있어서는 교수법 중에서 총체적 언어접근법에 근거해서 1차시는 듣기, 말하기 영역을 다룬 수업을, 2차시에는 읽기, 쓰기영역을 다룬 수업이 진행될 수 있게 강의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족 자녀가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과 자부심을 가질 수 있고 더 나아가 이중언어 사용이 가능한 글로벌 인재로 성장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