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문학교육 모델 연구 : 현대단편소설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aspects of contemporary short stories learning in the fields of Korean edu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course books with Carter and Long’s(1992) models in the teaching of literature. They suggest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aspects of contemporary short stories learning in the fields of Korean edu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course books with Carter and Long’s(1992) models in the teaching of literature. They suggested three models: the language model, the cultural model, and the personal growth model. And this study also aims to make up for weak points and suggest improving organization of course books. In order to analyze the course books, 7 Advanced level books published from university-affiliated institute for adult Korean learners were examined.
The number of analyzing standards is 19 and they’re selected from Lazar’s evaluating criteria for text to be utilized in a literature classroom have much relevance with literature teaching models. In the Lazar’s text evaluating criteria, the language model is ‘language teaching’, the cultural model is ‘providing cultural and literary background information’, and the personal growth model is ‘relation between the text and learner’s own lives and experiences.’
In order to analyze the course books, First of all, the vocabularies and grammars of tasks and texts were examined in the language model and then cultural background information and literary background information of tasks and texts were examined in the cultural model. Lastly, the contents and subject of texts, and questions and tasks were examined in the personal growth model for inquiring into whether they showed the engagement with texts and learner’s own lives and experiences or not.
Based on the conclusion as stated above, contemporary short stories were chosen and ways to present them were suggested. When the texts are selected related to the language model, the vocabularies and grammars of the texts should be suitable to learner’s linguistic competence. And also tasks are related to learning vocabulary and new grammars. Secondly, when the texts are selected related to the cultural model, they should be presented Korean culture and achieved recognition as being worth history of literature. Course books should provide the appropriate tasks or explanations to getting information about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about times and author to understand texts. Also the tasks for improvement in literary competence and understanding content of texts are needed. Lastly, when the texts are selected related to the personal growth model, they should be able to have attention and interest, be engaged with learner’s own lives and experiences, and contain subject suitable to discuss learner’s personal feelings. Also some drawings, pictures, or questions for encouraging learner’s interest before reading texts and appropriate tasks to discuss learner’s personal feelings should be presented.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현대단편소설 교육의 양상을 언어모델, 문화모델, 개인성장 모델의 세 가지로 구성된 Carter & Long(1992)의 문학교육 모델을 토대로 분석한 후에 부족한 ...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현대단편소설 교육의 양상을 언어모델, 문화모델, 개인성장 모델의 세 가지로 구성된 Carter & Long(1992)의 문학교육 모델을 토대로 분석한 후에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개선된 교재 구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의 교재 중 고급 단계의 교재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이 중 현대단편소설이 실린 교재는 7권으로 총 8편의 현대단편소설이 실려 있었다.
분석 기준은 문학 작품이 실린 교재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Lazar(1993)의 교재 평가 기준에서 문학교육 모델과 연관된 기준을 골라 19개의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Lazar의 교재 평가 기준에서 문학교육 모델과 연관된 항목을 살펴보면 언어모델은 ‘언어적 지도’이며, 문화모델은 ‘문화적?문학적 지식 제공 여부’이고, 개인성장 모델은 ‘작품의 내용과 학습자 생활의 연계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언어모델에서는 어휘와 문법에 중점을 두고 교재에 나타난 과제와 교재에 실린 문학텍스트를 분석하였으며, 문화모델에서는 문화적 지식 제공 여부와 문학적 지식 제공 여부로 나누어 교재에 나타난 과제와 교재에 실린 문학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성장 모델에서는 교재에 실린 문학텍스트와 교재에 작품의 내용과 학습자 생활의 연계성이 나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재에 실린 문학텍스트의 내용과 주제를 살펴보고 교재에서는 질문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5장에서는 문학교육 모델에 알맞은 현대단편소설을 골라 교재 제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언어모델과 관련하여 작품을 선정 할 때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맞는 어휘와 문법으로 구성된 작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과제는 어휘 습득과 관련한 과제가 있어야 하며, 새로운 문법에 대한 제시 및 습득과 관련한 과제가 있어야 한다. 두 번째로, 문화모델과 관련하여 작품을 선정 할 때는 한국 문화가 잘 드러나고 문학사적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작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교재에 드러나야 하는 것은 학습자가 한국 문화에 대한 정보를 얻기에 적합한 활동이나 설명이며 또한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정보와 작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과제는 문학능력 향상을 위한 과제와 작품 내용 이해를 위한 과제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성장 모델과 관련하여 작품을 선정 할 때는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끌 만하고, 작품의 내용이 학습자 생활에 연계성이 있고, 학습자가 개인감정을 논의하기에 적합한 주제를 사용한 작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교재에 나타나야 할 사항은 작품을 읽기 전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그림, 사진 등이나 질문을 제시해야 하며, 학습자가 개인감정을 논의하기에 적합한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