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uggest the effective vocabulary list by analyzing how the beginner level's course textbook vocabulary is chosen includ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 of selection process.
Content of Korean textbook should be coherent wi...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uggest the effective vocabulary list by analyzing how the beginner level's course textbook vocabulary is chosen includ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 of selection process.
Content of Korean textbook should be coherent with the subject and function and the vocabularies should be all related to the subject instead of irrelevant words. Therefore, selection of educating words should be relevant to the each unit's subject and objective of the study.
Chapter 1, Analyze the previous study of vocabulary selection and education. Clarify the reasons and objective of the vocabulary selection and state the study methodology in detail.
Chapter 2, Describe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the vocabulary. vocabulary for educational Korean for foreigners (listed for specific purpose) needs to be addressed as Basic Vocabulary List. And then study the Field theory which is used for study syntax (meaning) and vocabulary education. Certain words which are related with meaning make up a field (it is called semantic field theory). Semantic field theory will be used for vocabulary selection.
Chapter 3, analyze the subject list for the beginner level of Korean textbook, "Standard Korean Educational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Stage 1)". Based on the analysis, choose 30 subjects for Korean for beginners. Beginner subject list level 1 is 19, level 2 is 11.
Selected subject is categorized by similar nature which is designed for easy search for subject and world expansion. Subjects categories are 7 such as human and life, food, house and clothing, relationship, social life, leisure life, nature.
Chapter 4, Analyze the vocabulary of 4 korean Universities Korean textbook by subject, level 1&2. According to the analysis, only 14 out of 35 subjects are similar. Second, some textbooks do not include basic level subject. Third, one unit was not coherent. (Hard to pin down one subjects) Forth, certain subject ration is too high. Fifth, different name for the same topic(hard to sort out subjects) Sixth, subject and vocabulary subject didn't match, in other words, not appropriate words for the subject.
Make up the vocabulary list for 30 subjects. Extracting the vocabulary based on the vocabulary list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Stage 1)" and "TOPIK Basic Vocabulary List" and then classify level 1 and 2 by the importance and frequency of words based on the 『Dictionary of Korean basic Words of Meaning and Frequency』. Level 1 vocabulary list is chosen by the 3 black stars, the rest of words are level 2. Exceptionally, vocabulary you can find the 4 different Korean textbook is included in the list.
Finally, Chapter 5, summarize the study, meaning of the study and stat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itle of the each unit is the subject and objective of the study in the current Korean textbook. Vocabulary syllabus should be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and the vocabulary should be grouped by the similar category for effective learning. Coherence and Closely interconnected meaning of the words for one subjec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and it is important to form a vocabulary by the subject for accomplishing the objective of the study.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 단계에 적절한 교육용 어휘 목록을 선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제와 기능에 따라 선정된 어휘가 초급 수준에 적절한지를 점검하기 위해 현재 교육 현장에서 ...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 단계에 적절한 교육용 어휘 목록을 선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제와 기능에 따라 선정된 어휘가 초급 수준에 적절한지를 점검하기 위해 현재 교육 현장에서 교육되고 있는 초급 어휘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급의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교육되어야 할 학습 어휘 목록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는 그 단원의 주제와 기능을 학습할 수 있는 맥락에서 제시되어야 하고 그 텍스트를 구성하는 어휘는 단순한 단어의 나열이 아닌 주제를 연상할 수 있는 어휘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용 어휘 선정은 각 단원의 주제와 학습 목표를 구체화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1장에서는 어휘 선정과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에서 주제에 따른 어휘 선정이 필요한 이유와 목적을 밝히고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과 내용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어휘의 개념과 분류를 기술하고, 어휘 선정에 관련하여 기초 어휘와 기본 어휘의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본고에서는 외국인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라는 특정한 목적을 가진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기본 어휘라는 용어를 선택하였다. 이어 의미 연구와 어휘 교육에 적극 활용되고 있는 장이론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 가운데 의미 관련성에 기반한 의미장 이론이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주제에 따른 어휘 목록의 선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아 이를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초급 단계 주제 목록과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2단계)’, 그리고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개발(1단계)’의 주제 유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초급용 한국어 주제 30개를 선정하였다. 초급용 주제 목록은 1급용 19개, 2급용 11개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제는 비슷한 속성끼리 범주화하여, 어휘 확장을 고려한 주제 검색과 어휘 목록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였다. 본고에서 정리한 주제별 의미 범주는 인간과 삶, 의식주, 대인 관계, 사회생활, 여가 생활, 일상생활, 자연 현상의 7개 범주이다.
4장에서는 주요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목표 어휘를 1급과 2급으로 나누어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제 목록과 주제별 어휘 목록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다. 먼저, 총 35개의 주제 중 4개 교재의 공통 주제는 14개로 나타났다. 둘째, 초급에서 다루어져야 할 주제가 나타나지 않은 교재도 있었으며 셋째, 한 단원에서 여러 주제가 다루어져 주제를 정하기 어려운 교재도 있었다. 넷째, 특정 주제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다섯째, 같은 주제에 다양한 이름이 사용되고 있어 주제 분류가 쉽지 않았다. 여섯째, 제목은 단원의 주제로 볼 수 있는데 해당 단원의 주제와 제시된 어휘 목록의 연관성을 찾아보기 어려운 것도 있었다. 즉, 제시된 어휘들이 해당 주제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어휘라고 판정하기 어려운 것들이었다.
다음으로 30개 주제 항목에 한정하여 주제별 어휘 목록을 구성하였다.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개발(1단계)’의 어휘 목록과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초급 어휘 목록을 바탕으로 어휘를 추출한 다음 『한국어 기본 어휘의 의미 빈도 사전』의 한국어 기본 어휘의 낱말 중요도와 사용 빈도를 참고하여 1급과 2급의 어휘를 분류하였다. 1급에 해당하는 어휘 목록은 초급 어휘 목록 중에 ‘올림말’과 검은 별(★)과 흰 별(☆)의 세 자리 조합으로 표시가 붙은 한국어 기본 어휘 중 검은 별 3개(★★★)가 붙은 어휘를 선정하였고 그 외의 어휘들은 2급 어휘 목록에 구성하였다. 예외적으로 검은 별 3개를 충족하지 못한 어휘라도 한국어 4종 교재에 공통으로 출현하는 어휘는 목록에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현재 한국어 교재는 혼합식 교수요목에 따른 것이 대부분이며, 주제 중심의 학습 목표 선정 비율이 높다고 하겠다. 주제는 곧 각 단원의 학습 목표이다. 이는 각 단원의 주제를 잘 나타내는 어휘 실러버스(syllabus)가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이는 것이다. 목표 어휘 목록을 선정한 후에는 이 어휘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단편적으로 각 어휘를 제시하기보다는 같은 범주의 어휘들을 함께 묶어 제시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위 주제를 중심으로 긴밀하게 관련되는 의미망을 고려한 어휘 제시 방법이 학습 목표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