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감각형용사 대조 연구 : 장편소설『長恨歌』에 나오는 감각형용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어휘의미론의 바탕 위에서 중국 작가 王安憶의 장편소설 『長恨歌』의 원본과 번역본『장한가』에 나타나는 한국어와 중국어 감각형용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미적 공통점과...

연구는 어휘의미론의 바탕 위에서 중국 작가 王安憶의 장편소설 『長恨歌』의 원본과 번역본『장한가』에 나타나는 한국어와 중국어 감각형용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의 감각형용사는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으로 하위분류된다. 한국어의 시각감각형용사는 명암의미를 표현하는 ‘밝다, 환하다, 어둡다, 으슥하다, 그윽하다’ 등이 있고, 색채의미를 표현하는 ‘검다, 희다, 붉다, 누르다, 푸르다’ 등이 있고, 공간의미를 표현하는 ‘멀다, 가깝다, 크다, 작다, 좁다, 넓다, 굵다, 가늘다, 깊다, 얕다, 높다, 낮다’ 등이 있다. 청각감각형용사는 [/소리]의 의미를 표현하는 ‘시끄럽다, 소란하다, 떠들썩하다, 시끌벅적하다, 왁자지껄하다’ 등이 있고, [-소리]의 의미를 표현하는 ‘조용하다, 고요하다’ 등이 있다. 미각감각형용사는 ‘시다, 달콤하다, 소박하다, 은은하다, 쓰라리다’ 등이 있고, 후각감각형용사는 ‘향기롭다, 노리다’만 있다. 그리고 촉각감각형용사는 표면촉각형용사(거칠다, 부드럽다, 딱딱하다, 매끄럽다), 온도촉각형용사(뜨겁다, 따뜻하다, 따스하다, 시원하다, 춥다, 서늘하다, 쌀쌀하다, 차갑다, 썰렁하다), 통각촉각형용사(아프다, 저리다, 쑤시다, 아리다, 쓰리다, 시큰하다)로 나누고 있다. 중국어 시각감각형용사는 명암의미를 표현하는 ‘亮, 明, 明淨, ?, 淡, 敞亮, 暗, 暗淡, 陰, 幽暗’ 등이 있고, 색채의미를 표현하는 ‘黑, 白, ?, ?, ?/?’ 등이 있다. 그리고 공간의미를 표현하는 ‘?/近, 大/小, ?/短, ?/窄, 粗/?, 高/低, 深/?’ 등이 있다. 중국어 청각감각형용사도 [/소리]와 [-소리]로 나누어 ‘??,熙攘,熱鬧, 安?, 寧靜, 寂?’ 등이 있다. 미각감각형용사는 ‘酸,?,苦,辣,淡’ 등이 있고 후각감각형용사는 ‘香,?臭’만 있다. 촉각감각형용사도 한국어와 마찬가지 표면촉각형용사(粗?,柔?,柔順,?滑), 온도촉각형용사(?暖,溫和,凉,?,冷,?冽,冷淡 등), 통각촉각형용사(疼,痛,酸脹,刺痛)로 나누고 있다.
본고에서 위의 감각형용사에 대하여 기본의미 분석, 파생의미 분석, 그리고 전이의미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소설에서 후각형용사의 파생의미를 가지고 있는 예문은 발견되지 않으므로 본고에서는 후각형용사의 파생의미의 분석을 제외하게 진행하였다. 소설에서 나오는 청각과 후각감각형용사는 다른 영역으로 전이하는 전이현상이 없으므로 본고에서 시각, 미각, 촉각을 다른 인지 영역으로의 감각 전이현상을 논의하였다.
본고의 제 4 장은 주로 중국어 소설 한국어로 번역시 양 언어의 대응양상의 차이점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다. 크게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의 차이점과 문장의 구문 방식의 차이점 이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있었다. 번역할 때의 차이점은 주로 번역문에서 다르게 번역하는 경우, 번역문에서 번역하지 않는 경우, 그리고 양 언어의 감각형용사가 속하는 영역이 다른 경우와 양 언어의 품사가 다른 경우를 통해 설명했다. 문장 구문방식의 차이점은 주로 양 언어 표현형식이 다른 경우와 수식 주체가 다른 경우를 통해 설명했다.
하지만 본고에서 선정한 감각형용사의 하위분류가 많기 때문에 자세하게 분석하지 못하고, 소설에 나타난 예시도 대표적인 것만 분석했다는데 아쉬운 점이 있다.

핵심 단어: 한국어, 중국어, 감각형용사, 의미분석, 번역문, 공통점, 차이점

This study has focus on semantic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novel 『Janghanga』, written by Chinese writer An-yi Wang, and its translation, especially on sense adjectives of Korean and Chinese, based on lexical semantics. ...

This study has focus on semantic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novel 『Janghanga』, written by Chinese writer An-yi Wang, and its translation, especially on sense adjectives of Korean and Chinese, based on lexical semantics.
The sense adjectives are subclassified into the sense of sight, hearing, taste, smell, and touch.
There are various visual sense adjectives in Korean, representing such brightness as bright, shining, dark, dim, and mellow, such colors as black, white, red, yellow, and blue, and such spaces as remote, near, big, small, narrow, spacious, thick, thin, deep, shallow, high, and low. There are two kinds of auditorial sense adjectives. The positive(/) sounds are noisy, rowdy, boisterous, tumultuous, and uproarious, and the negative(-) sounds are quiet and silent. Taste sense adjectives are sour, sweet, rustic, delicate, and bitter, and smell sense adjectives are fragrant and stinking. There are three kinds of touch sense adjectives. They are surface touch adjectives (tough, soft, hard, smooth), temperature touch adjectives (hot, warm, cool, cold, chilly, nippy), and pain sense adjectives (painful, numb, sore, chippy)
There are two kinds of visual sense adjectives in Chinese, representing such brightness as ‘bright, clean, clear, light, 敞亮, dark, light dark, shady, dark shady’, representing such colors as black, white, red, yellow, green, and representing such spaces as remote/near, big/small, long/short, thick/thin, high/low, and deep/shallow etc. Auditorial sense adjectives in Chinese also have positive sounds and negative sounds like ‘??,韩语论文,熙攘,熱鬧, 安?, 寧靜, 寂?’ Taste sense adjectives are sour, sweet, bitter, spicy, and hot. Smell sense adjectives are fragrant and ill-smelling. There are also three kinds of touch sense adjectives like in Korean. They are surface sense adjectives(粗?,柔?,柔順,?滑), temperature sense adjectives (?暖,溫和,凉,?,冷,?冽,冷淡), and pain sense adjectives (疼,痛,酸脹,刺痛).
This study analyzed basic meaning, derived meaning, and transferal meaning of sense adjectives above. This study didn't analyze the derived meaning of smell adjectives since there was no sentence which had derived meaning of smell adjectives. This study focused solely on the sense transferal phenomena of visual, taste and touch sense into other cognitive domains because of no sense transferal phenomenon of auditorial and smell sense adjectives into other domains.
The Chapter 4 in this study considered the differences of linguistic correspondences in translating Chinese novel into Korean.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when translating the original into Korean and when constructing the sentences.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among the cases when it translated differently, when it didn't translate, when the translated words belonged to different sense adjective domains in each language, and when the part of speech of the words differed. This study also explained the differences of constructing the sentences through the cases of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and different, modifying main agents.
This study has, however, some limitations. Because of too many subcalssifications of sense adjectives, it was almost impossible to analyze in detail and it also analyzed just some typical examples.

Key Words : Korean, Chinese, Sensory adjective, meaning analyzed, translation, commonalities, differences

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